영화 <나는보리> 포스터

영화 <나는보리> 포스터 ⓒ 영화사 진진

 
영화 <나는보리>는 아이의 눈으로 바라본 세상에 대한 이야기다. 이 작품은 들리지 않는 세상(가족)에서 오히려 외롭다고 생각하는 보리를 통해 우리 안의 편견을 뒤집는다. 영화에서 보여주는 보리 가족의 따스한 일상은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이 결코 다르지 않음을 확인시켜 준다.

따라서 '나는보리'는 띄어쓰기 오기가 아닌 의도적인 제목이다. 자신을 소개하는 일차적인 뜻, 나는 보겠다는 세상을 향한 의지, 훨훨 날아가는 보리의 성장이란 중의적 의미를 담고 있다. 

열한 살 인생 최대의 고민 "소리를 잃고 싶어요"

보리(김아송)는 가족 중 유일하게 들을 수 있는 세상의 중계자다. 중국집, 치킨집, 피자가게 배달 음식을 시킬 때, 할아버지 댁에 가기 위해 버스 표를 끊을 때, 슈퍼에서 물건을 살 때, 택시 아저씨에게 목적지를 말할 때. 들리고 말할 수 있는 보리가 있어 아빠(곽진석), 엄마(허지나), 정우(이린하)는 외부와 단절되지 않는다.
 
 영화 <나는보리> 스틸컷

영화 <나는보리> 스틸컷 ⓒ 영화사 진진

 
"엄마랑 아빠랑 정우 보고 있으면 되게 행복해보며. 나만 다른 사람 같아."

하지만 보리는 가족 중 자신만 달라 속상하다. 가족들이 수어로 이야기하면 외롭기만 하다. 가족과 함께 있지만 집에서는 혼자 있는 것 같은 기분이 든다. 보리가 가족과 똑같아지고 싶어 하는 마음은 사회의 고착화된 인식 변화를 촉구한다. 왜 나만 다른 걸까 자꾸만 되묻게 된다. 시끄러운 고요함 속에서 보리는 생각이 많아진다. 남들보다 일찍 찾아온 사춘기, 열한 살 인생 최대의 고민이 생긴다.

매일 아침 등굣길에 사당에 들러 "소리를 잃고 싶다"라고 간절히 소원을 빈다. 그러던 어느 날 TV에서 오랜 물질 때문에 잘 안 들린다는 해녀의 말을 듣고 무작정 바다에 뛰어든다. 그 후 아이는 들리지 않는다는 거짓말로 가족과 동질감을 쌓아가려 한다.

그러나 들을 수 없음은 기쁨이 아니라 차별이었다. 소리가 들리지 않고 말할 수 없음은 험난한 숲길을 맨몸으로 걸어가는 것임을 깨닫는다. 친구들에게 무시를 당하고 옷 가게 점원의 멸시를 받아도 아무렇지 않은 척해야 했다. 점점 보리는 질문이 늘어난다. 세상은 왜 다름을 인정하지 않는 걸까?

아이는 태어나 자라면서 '작은 사회'인 부모를 닮고 싶어 한다. 하지만 보리는 닮고 싶어도 닮을 수 없어 괴롭기만 했다. 수많은 궁금증을 속 시원히 해결해주지 못하는 가족으로 인해 소녀는 점점 쓸쓸하고 고독한 존재가 되어간다.

편견 없이 제대로 보기 위한 시도
 
 영화 <나는보리> 스틸컷

영화 <나는보리> 스틸컷 ⓒ 영화사 진진

 
<나는보리>는 어린이의 고민을 함께하는 기회이자 우리 모두가 불안했던 사춘기를 떠오르게 한다. 나만 다른 것 같아 주춤했던 때가 있었다면 공감할 내용이 많다. 또한 청각장애인은 물론 코다(CODA: Children Of Deaf Adult, 농인 부모를 둔 자녀)의 일상을 들여다보는 계기가 된다.
 
영화는 단편 <높이뛰기>를 연출한 김진유 감독의 장편 데뷔작이다. 옷 가게 장면이나 단오제에서 잃어버렸던 가족을 찾는 장면은 감독의 유년 시절이 반영되어 있는 자전적인 이야기다. 아역 배우들 모두 연기 경험이 없지만 사랑스러움이 가득하다. 영화를 위해 배우들이 직접 수어를 배웠는데 가족 사이에서 은어처럼 사용되는 홈사인도 있어 자연스럽게 느껴진다. 부모를 연기한 곽진석, 허지나 배우는 실제 부부이며 그들의 반려견 코코도 등장한다.

독특하게도 한글자막이 포함되어 있다. 청각장애인들은 자막이 있어야 영화를 볼 수 있기 때문에 실제로 한국 영화를 보고 싶어도 외국영화를 선택하는 일이 많다는 점에 착안했다. 극장에 베리어 프리(Barrier-Free) 영화가 많지 않아 관람이 어려운 청각장애인을 적극적으로 배려한 것이다. 봉준호 감독이 수상 소감으로 말한 '1인치의 장벽'을 허무는 진정한 소통이라 하겠다.
 
 영화 <나는보리> 스틸컷

영화 <나는보리> 스틸컷 ⓒ 영화사 진진

 
영화는 그동안 소리의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했기에 좀 더 특별하게 다가온다. 네가 들리든 안 들리든 똑같이 사랑한다는 엄마의 말이 어느 때보다 와닿는다.

서로 다른 외모와 성격을 가진 사람들이 부대끼며 사는 사회에서 장애는 조금 불편할 뿐이라는 유려한 시선도 한 몫 한다. 오랜 편견을 허무는 균열은 다름을 이해하려는 사소한 행동에서부터 시작됨을 잊고 살아간다. 너와 내가 다름을 굳이 나누어야만 하냐는 질문 같다. 들리지 않아도 가까이에서 자세히 보면 들린다. 조금만 허리를 숙여도 전혀 다른 세상이 있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처럼 말이다.
나는보리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보고 쓰고, 읽고 쓰고, 듣고 씁니다. https://brunch.co.kr/@doona9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