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28일,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에서 공개된 63호분 내부 모습.
 28일,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에서 공개된 63호분 내부 모습.
ⓒ 창녕군청

관련사진보기

 
도굴된 적 없는 '비화가야' 지배자의 무덤이 처음으로 공개되었다.

문화재청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소장 박종익)는 28일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의 63호분 매장주체부의 뚜껑돌을 크레인으로 옮기는 작업을 벌였다. 매장주체부는 시신을 안치하는 공간을 말한다.

연구소에서는 2014년부터 비화가야 최고 지배층의 묘역인 창녕 교동과 송현동고분군(사적 제514호) 내 미정비지역(목마산성의 남서편 구릉부분)에 대한 학술 발굴조사를 추진하고 있다.

2014~2015년의 조사에서는 5세기 중반경의 봉토분(封土墳) 9기, 돌덧널무덤(석곽묘) 15기 등 총 24기의 고분을 조사하였다.

2016년부터는 5세기 중반부터 후반에 걸쳐 조성된 것으로 보이는 고분군의 동쪽 제일 상단부분에 대한 조사를 하고 있다.

연구소는 "63호분은 과거에 한 번도 도굴되지 않은 완전한 상태로 확인되었다"고 했다.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에는 약 250여기의 고분이 분포하는데 이렇게 도굴된 흔적 없이 깨끗한 상태로 발견된 것은 63호분이 최초다.

63호분 바로 위에 위치해 있으면서 나중에 축조된 39호분 봉토에 가려져 있어서 도굴 피해를 입지 않은 것으로 보여진다.

무덤 위에는 길이 2m의 편평한 뚜껑돌 7매가 얹혀져있고, 점질토로 밀봉된 상태였으며, 매장주체부의 내부에는 시신과 부장품을 매장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공간이 당시 모습대로 남아 있었다.

문화재청은 "이번 조사에서 확인된 비화가야 지배자 무덤의 축조기법과 장송의례, 출토유물 등은 가야와 신라의 접경지역에 위치하면서 복잡하고 다양한 문화가 나타나는 비화가야의 성격을 이해하는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했다.

발굴 현장은 이날 오후 일반에 공개됐다.
 
28일,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에서 크레인을 이용해 63호분 매장주체부의 뚜껑돌을 옮기고 있다.
 28일,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에서 크레인을 이용해 63호분 매장주체부의 뚜껑돌을 옮기고 있다.
ⓒ 창녕군청

관련사진보기

  
default
 default
ⓒ 창녕군청

관련사진보기


태그:#창녕군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부산경남 취재를 맡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