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문재인 대통령이 27일 부산 누리마루에서 열린 제1차 한-메콩 정상회의에 앞서 메콩강 유역 국가 정상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통룬 시술릿 라오스 총리, 아웅산 수치 미얀마 국가고문, 쁘라윳 짠오차 태국 총리, 문 대통령, 응우옌 쑤언 푹 베트남 총리, 프락 속혼 캄보디아 부총리 겸 외교부 장관.
 문재인 대통령이 27일 부산 누리마루에서 열린 제1차 한-메콩 정상회의에 앞서 메콩강 유역 국가 정상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통룬 시술릿 라오스 총리, 아웅산 수치 미얀마 국가고문, 쁘라윳 짠오차 태국 총리, 문 대통령, 응우옌 쑤언 푹 베트남 총리, 프락 속혼 캄보디아 부총리 겸 외교부 장관.
ⓒ 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제1차 한-메콩 정상회의가 27일 오전 부산 벡스코에서 열렸다.

문재인 대통령은 정상회의가 끝난 직후 발표한 공동언론발표문에서 "메콩 지역의 발전은 개발 격차를 줄이는 것으로부터 시작한다"라며 인프라 확충을 통한 역내 연계성 강화를 강조했다.

제1차 한-메콩 정상회의에는 베트남(응우옌 쑤언푹 총리)과 태국(쁘라윳 짠오차 총리), 미얀마(아웅 산 수치 국가고문), 라오스(통룬 시술릿 총리), 캄보디아(쁘락 소콘 부총리 겸 외교장관) 등 '메콩국가' 5개국 정상이 참석했다. 훈센 캄보디아 총리는 장모의 건강을 이유로 불참했다.

문 대통령은 "한-메콩 협력의 새로운 원년으로 기억될 오늘, 우리는 한-메콩 관계를 획기적으로 발전시켜 나갈 초석을 마련했다"라고 평가했다. 

'한-메콩 공동번영을 위한 미래 협력 방향'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정상회의는 지난 2011년 이후 해마다 장관급으로 열린 한-메콩 협의체를 정상급으로 격상해서 연 행사다.

메콩국가란 베트남과 태국, 미얀마, 라오스, 캄보디아 등 '넥스트 베트남'으로 부상하고 있는 아세안(ASEAN, 동남아시아국가연합) 국가들을 가리킨다.

메콩 국가에 공공 연구기관 설립

문재인 대통령은 이날 공동언론발표문에서 "세계는 지금 메콩국가들의 역동성과 성장 잠재력에 주목하고 있다"라며 "한국은 메콩국가들의 성장과 함께하고 미래 상생번영을 위해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가 되기를 희망하며 협력을 계속해왔다"라고 말했다.

지난 2018년 한-메콩 무역 규모는 845억 달러로 이는 한-메콩 협의체가 처음 열린 지난 2011년에 비해 2.4배 증가한 것이다. 한-메콩 협력기금을 통한 사업들 규모도 확대해왔고, 인적 교류도 2.8배나 증가한 700만 명에 이른다. 메콩은 한국 ODA(공적개발원조) 자금의 20% 이상을 공여받고 있다.

문 대통령은 "메콩 정상들은 한국의 신남방정책에 대해 적극적인 지지를 표명하셨고, '한-메콩 비전'을 바탕으로 '사람 중심의 평화와 번영의 한-메콩 동반자' 관계 구축을 위한 세 가지 발전 방향에 대해 협의했다"라고 전했다.

먼저 '상호 경험의 공유를 통한 공동번영'이다.

문 대통령은 "한국개발연구원(KDI),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한국 경제발전의 초석이 되었던 연구기관들이다"라며 "이를 모델로 삼아 메콩 국가에 공공 연구기관을 설립하고, 공공행정 분야 협력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라고 말했다.

그는 "4차 산업혁명에 함께 대응하며 교육, 신성장산업, 산림보존 등 분야에서 ICT를 바탕으로 한 협력사업을 진행하고, 미래 혁신 인재를 함께 양성하기로 했다"라며 "한국의 새마을운동을 전파한 농촌개발사업과 미래 협력의 주역인 차세대 역량 강화를 위한 다양한 사업들도 함께 전개해 나갈 것이다"라고 전했다.

한국-메콩수자원연구센터, 메콩-메콩생물다양성센터

두 번째는 '지속가능한 번영을 위한 긴밀한 협력'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우리는 메콩강 유역을 둘러싼 초국경 위협에 공동대응하고, 생물다양성, 수자원, 산림 분야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라며 "메콩 국가에 설립될 '한-메콩 생물다양성 센터'를 통해 메콩의 풍부한 생물자원을 보존하고, 유용생물자원을 발굴해 바이오산업의 신성장 동력을 마련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한국수자원공사에 설치될 '한-메콩 수자원 공동연구센터'는 메콩강의 풍부한 수자원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이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한-메콩 미래 평화공동체 조성사업'은 메콩 농촌 지역의 지뢰와 불발탄을 제거하고, 피해자에 대한 지원과 농촌 공동체 개발로 지역 주민의 삶이 행복해지도록 도울 것이다"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메콩 정상들은 산림협력을 통한 평화를 위해 한국의 '평화산림 이니셔티브'(PFI)를 지지해주셨다"라며 "우리는 '한-메콩 산림협력센터'와 '아시아산림협력기구'(AFoCO)를 통해 산림협력 사업을 계속해 나가기로 했다"라고 전했다.

인프라 확충 통한 역내 연계성 강화
 
 문재인 대통령이 27일 오전 부산 누리마루 APEC하우스에서 열린 제1차 한-메콩 정상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이 27일 오전 부산 누리마루 APEC하우스에서 열린 제1차 한-메콩 정상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 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세 번째는 '평화와 상생번영의 동아시아 실현'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한-메콩 장관급 협력 10주년을 맞는 2021년을 '한-메콩 교류의 해'로 지정하는 것을 정상들 모두 환영해줬다"라며 "한-메콩 국민들이 더 자주 교류하고 서로의 문화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특히 문 대통령은 "메콩지역의 발전은 개발격차를 줄이는 것으로부터 시작한다"라며 "한국은 한-미얀마 우정의 다리 건설사업과 같은 도로, 교량, 철도, 항만 등 인프라 확충을 통해 역내 연계성 강화에 기여해 나가기로 했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메콩 정상들은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이 한-메콩 공동번영에 필수적이라는 데에 공감했다"라며 "비무장지대(DMZ)의 '국제평화지대화' 구상을 공유했고,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를 위해 함께 노력하기로 했다"라고 전했다.

'비무장지대 국제평화지대화 구상'은 문 대통령이 지난 9월 25일(한국 시각) 제74차 유엔 총회 기조연설에서 제안한 것이다. 비무장지대를 평화연구·평화유지(PKO)·군비통제·신뢰구축 활동의 중심지로 만들겠다는 구상이다.

전날(26일) 열린 환영만찬에서 문 대통령은 "북한이 비핵화를 통해 세계 속으로 나온다면, 경험을 나누며 가장 잘 도와줄 수 있는 나라도 메콩 국가들이다"라며 "정상 여러분의 지지와 성원으로 언젠가 남북의 정상이 메콩 정상들과 함께 식사 자리를 가질 수 있게 되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한강-메콩강 선언' 채택, "경제협력을 넘어서..."

한편 이날 정상회의에서는 한-메콩 국가들의 미래협력 방안을 담은 '한강-메콩강 선언'이 채택됐다. '한강-메콩강 선언'에서는 문화·관광, 인적자원 개발, 농업·농촌개발, 인프라, 정보통신기술(ICT), 환경, 비전통안보 협력 등을 '7개 우선협력분야'로 선정했다.

문 대통령은 "정상회의의 결과문서로 채택한 '한강-메콩강 선언'은 경제협력을 넘어 '사람 중심의 평화와 번영의 동반자'로 가는 이정표가 되어 줄 것이다"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태그:#제1차 한-메콩 정상회의, #문재인, #공동언론발표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1970년 전남 강진 출생. 조대부고-고려대 국문과. 월간 <사회평론 길>과 <말>거쳐 현재 <오마이뉴스> 기자. 한국인터넷기자상과 한국기자협회 이달의 기자상(2회) 수상. 저서 : <검사와 스폰서><시민을 고소하는 나라><한 조각의 진실><표창원, 보수의 품격><대한민국 진보 어디로 가는가><국세청은 정의로운가><나의 MB 재산 답사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