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사회

인천경기

포토뉴스

인천애(愛)뜰은 공공청사부지(청사 경계 내 잔디광장)와 일반광장부지(바닥분수광장, 음악분수광장)로 나뉘어져 있다. 집회는 일반광장부지인 바닥분수광장과 음악분수광장에서 가능하며, 관련 조례에 따라 운영된다. ⓒ 인천시
 
'인천애(愛)뜰' 이름 제안자인 강태원씨는 지난 6월 4일 '500인 시민시장 토론회'에서 진행된 제안 설명에서 "인천 시민들이 가족처럼 잘 지냈으면 하는 바람을 담았다"며 "가족들이 옹기종기 모여 얘기할 수 있는 뜰을 생각했고, 가족의 사랑을 상징하는 애(愛)를 넣었다"고 말했다. ⓒ 인천시
  
인천애(愛)뜰.

인천시(시장 박남춘) 청사 앞마당의 새로운 이름이다. 빼곡하게 차들이 들어서 있던 공간이 큰 원형의 잔디밭으로 탈바꿈했다. 1985년 12월 구월동 청사가 처음 문을 연 지 34년만에 시청 앞마당이 시민들에게 개방된 열린 청사 시대를 맞았다.

차도와 담장에 둘러싸였던 시청사가 시민들에게 모습을 드러냈다. 시멘트 블록을 걷어낸 시청 앞마당에는 누구나 산책하고 뛰어놀 수 있는 넓은 잔디밭과 피크닉 테이블, 벤치가 곳곳에 놓여 있다. 지난 2002년 조성된 시청 앞 미래광장도 17년만에 묵은 때를 벗고 시민들을 위한 힐링공간으로 거듭났다. 

청사 앞마당에서 미래광장까지 길이 약 200m, 2만㎡ 면적에 조성된 인천시의 열린 광장 '인천애(愛)뜰'은 지난해 7월 취임한 민선 7기 박남춘 시장의 '1호 지시사항'이었다.
 
1980년대 박배근 시장 재임 당시 구월동 인천시청사와 주변의 모습. ⓒ 인천시
  
1980년대 박배근 시장 재임 당시 구월동 인천시청사와 주변의 모습. ⓒ 인천시
 
1981년 직할시 승격, 1985년 지금의 시청사 개청

인천시청사는 1960년대 폭발적인 인구 증가와 1981년 7월 직할시로 승격(당시 인구 114만 명)되면서 급속한 도시 성장에 따라 1985년 중구 관동인 지금의 자리로 옮겨왔다.

1980년대 구월동은 도시계획 확장에 따라 구획정리 사업이 진행되던 곳으로, 축사와 무허가 건물, 과수원 등이 있는 교외지역이었다. 시청이 들어섰을 때 주변은 허허벌판이었다. 당시 시청 앞에 아스팔트가 깔린 넓은 공터가 만들어져 이곳은 관 주도의 각종 행사와 주차장, 가을에는 시민들이 벼를 말리는 공간으로 사용되곤 했다.

그러던 공간이 2002년 미래광장으로 바뀌었다. 당시 언론에서는 미래광장을 '자연친화형 도심광장'이라고 표현했다. 그러나 차도로 둘러싸여 접근이 어려웠고, 시간이 지나면서 시설이 낡아져 시민들의 발길이 점점 줄었다.

인천애(愛)뜰은 그동안 단절됐던 공간을 '시민들의 소통·휴식·문화 공간으로 돌려준다'는 취지에 맞게 밑그림부터 활용안까지 오롯이 시민들의 아이디어를 담았다.

지난해 8월에는 시민 아이디어 공모를 받았다. 23명의 시민대표로 구성된 자문단 회의 등을 거쳐 기본 계획을 마련했다. 이후 여러 차례에 걸친 전문가 자문회의, 시민공청회, 유관기관 협의 등 다각도의 검토를 거쳐 안을 보완하고 시민제안을 최대한 실현하려고 했다.

'인천애(愛)뜰'이란 이름도 시민 공모와 투표를 통해 결정됐다. 제안자인 시민 강태원씨는 지난 6월 4일 '500인 시민시장 토론회'에서 진행된 제안 설명에서 "인천 시민들이 가족처럼 잘 지냈으면 하는 바람을 담았다"며 "가족들이 옹기종기 모여 얘기할 수 있는 뜰을 생각했고, 가족의 사랑을 상징하는 애(愛)를 넣었다"고 말했다.
  
시멘트 블록을 걷어낸 시청 앞마당 '인천애(愛)뜰'은 누구나 산책하고 뛰어놀 수 있는 넓은 잔디밭과 피크닉 테이블, 벤치가 곳곳에 놓여 있다. ⓒ 인천시
  
인천애(愛)뜰은 편안한 보행 공간과 새롭게 만들어진 횡단보도 4곳 등을 통해 누구나 쉽게 찾을 수 있는 사람 중심의 공간으로 탈바꿈했다. 남녀노소 모두 즐기고 소통하는 잔디광장, 바닥분수 등 물놀이터, 다양한 쉼터를 갖췄다. ⓒ 인천시
 
인천애(愛)뜰, 버스킹 공연과 야외 결혼식도 가능

정문 앞에 서있던 은행나무 밑에 데크를 설치해, 버스킹 공연이나 야외 결혼식, 벼룩시장 등 다양한 행사가 가능한 공간으로 꾸민 것도 시민단체의 바람이었다. 아름드리나무가 된 이 은행나무는 1985년 지금의 시청사 개청 당시 심어졌다. 시민과 직원들이 가족같이 생각하는 나무로, 이 주변을 사람들이 모이는 공간으로 꾸미자고 뜻을 모았다.

시청 담장을 허물고, 정문 앞 로터리를 폐쇄하고, 너른 잔디광장을 꾸민 것도 모두 시민의 의견을 반영한 것이다.

그 결과, 인천애(愛)뜰은 편안한 보행 공간과 새롭게 만들어진 횡단보도 4곳 등을 통해 누구나 쉽게 찾을 수 있는 사람 중심의 공간으로 탈바꿈했다. 남녀노소 모두 즐기고 소통하는 잔디광장, 바닥분수 등 물놀이터, 다양한 쉼터를 갖췄다.

인천시는 인천애(愛)뜰과 중앙공원을 연결해 공기청정기 역할을 하는 거대한 도심 속 숲길로 만들자는 시민 의견도 반영할 수 있도록 검토하고 있다. 인천시는 "인천애(愛)뜰을 시민들이 주인이 돼 콘텐츠를 채우는 문화공간이자 쉼터로 활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새로 꾸며진 바닥분수 광장 주변 등 인천애(愛)뜰 곳곳에서는 버스킹 공연이 가능하다. 야외 결혼식은 물론 벼룩시장, 전시회, 생활체육활동 등 다양한 문화·체육행사도 가능하다.

행사를 희망할 경우 방문, 우편, 이메일 등으로 사용신청이 가능하다. 사용료는 1㎡당 1시간에 10원으로 잔디마당(3160㎡)을 2시간 사용할 경우 6만3000원이다. 
 
인천시청사 앞 '인천애(愛)뜰' 공사 진행과정을 담은 사진. ⓒ 인천시
 
11월 8일 이후 주말 밤에는 '미디어 쇼'와 '은하수 조명'

또한, 11월 8일부터는 주말 밤마다 청사와 데이터센터 벽면을 무대로 한 미디어 쇼와 인천애(愛)뜰 곳곳의 나무에 은하수가 쏟아지는 조명을 연출해 인천의 야경명소로 꾸민다는 구상이다. 특히, 데이터센터 벽면과 잔디광장 양쪽에 시민들의 사진이나 사전 접수한 동영상을 상영하는 등 시민들이 직접 참여하고 체험하며 즐기는 공간을 마련할 계획이다.

인천애(愛)뜰은 공공청사부지(청사 경계 내 잔디광장)와 일반광장부지(바닥분수광장, 음악분수광장)로 나뉘어 있다. 집회는 일반광장부지인 바닥분수광장과 음악분수광장에서 가능하며, 관련 조례에 따라 운영된다.

안상윤 인천시 녹지정책과장은 "시청 앞 열린광장 '인천애(愛)뜰'은 이름처럼 시민들이 사랑하고, 시민들이 주인이 돼 채워나가는 공간으로 운영할 계획"이라며 "인근 상가, 주민들을 비롯한 300만 인천시민 누구에게나 쉼터가 되고, 소통·문화·휴식처로 거듭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
태그:#인천애뜰, #인천愛뜰, #인천시청사, #인천시, #박남춘공약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사람에 대한 기사에 관심이 많습니다. 사람보다 더 흥미진진한 탐구 대상을 아직 보지 못했습니다.

독자의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