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장이 홍해 바다처럼 갈라졌다. 뜨겁던 촛불의 열기로 타오르던 광장이 불과 몇 년 만에 서로 다른 목소리로 나뉜다. 입장의 차이라고 한다. 진보와 수구의 문제라고도 한다. 혹은 시대적 과제와 집권층의 부도덕의 문제라고도 한다. 그리고 세대와 세대의 갈등이라고도 한다. 모두가 틀린 말은 아니다. 하지만 이들이 서로 '합의'에 이를 길은 요원해 보인다.

1000회를 맞이한 EBS <다큐 프라임-진정성의 시대>는 6부작의 대장정을 통해 '진정성'에 대해 이야기한다. 누가 더 '진정성'을 가지고 있느냐가 아니라, 그 '진정성'이라는 게 시대에 따라 변하지 않았느냐는 이야기다. 
 
 EBS <다큐 프라임-진정성 시대>의 한 장면

EBS <다큐 프라임-진정성 시대>의 한 장면 ⓒ EBS

 
정의의 시대, 1980년대

6부 <진정성이란 무엇인가>은 586세대 양석주씨의 이야기로 시작했다. 전남 나주에서 태어난 석주씨, 1980년 휴교령이 떨어지자 6.25 한국 전쟁을 겪은 아버지는 아들을 산 속 텐트로 보내버려 한 발도 나오지 못하게 했다. 휴교령이 풀리고 나서야 돌아간 학교, 하지만 돌아오지 못한 친구들을 기다리는 그는 죄책감을 느꼈다. 그리고 그 마음은 1983년 대학에 입학한 그를 자연스레 시위로 이끌었다. 

다큐멘터리는 지금의 586세대들이 과거 자신을 내던졌던 1980년으로부터 이야기의 물꼬를 튼다. "학우여"의 "학" 자만 꺼내도, 교내 곳곳에 포진되어 있던 사복 경찰이 와서 잡아가던 시대였다. 그래서 학생들은 자신을 도서관 난간에 매달았다. 그 난간에서 '황정하' 열사가 세상을 떠났다. "산 자여 따르라"던 김세진, 이재호 열사가 자신의 몸에 불을 붙였고 이한열, 박종철 등 많은 젊은이들의 목숨도 희생되었다. 동료 학생들의 죽음을 목도한 박혜정 열사는 "아파하면서 살아갈 용기가 없어 부끄럽게 죽을 것"이란 유서를 남기고 스스로의 목숨을 거두었다.

1980년대를 살았던 학생들은 눈 앞에서 목도한 사회적 폭력 앞에 자신을 내던졌다. 당시 공권력의 폭압은 이들에게 극단적인 저항 수단을 고민하게 만들었다. 그야말로 저항과 죽음으로 쌓아올린 정의의 시대였다. 1987년 거리로 나온 넥타이 부대는 이들 '선봉'에 섰던 학생, 청년들이 외쳤던 주장이 사회적으로 확산되고 결과물을 얻는 계기가 되었다. 그리고 1990년대 '후일담' 문학 등을 통해 당시 이들의 정의에 대한 헌신은 '그 시대의 진정성'으로 자리매김되었다. 
 
 EBS <다큐 프라임-진정성 시대>의 한 장면

EBS <다큐 프라임-진정성 시대>의 한 장면 ⓒ EBS

 
달라진 시대, 삶의 가치가 변하다 

그러나 시대의 시곗바늘은 멈추지 않았다. 1997년 말 우리 사회를 강타한 IMF 구제금융 위기는 지금까지와는 전혀 다른 사회적 경험을 불러왔다. 불황, 대규모 구조조정, 실업을 겪으면서 정의는 물질 체제에 기반을 둔 생존주의에 압도 당한다. 서바이벌 생존 체제 속에서 살아남아야만 했던 사람들은 20세기를 살아왔던 고통과는 질적으로 다른 고통의 바다를 헤엄쳐가야만 했다. 

운동권 출신들이 대거 정치에 입문하며 우리 사회 정치의 주요한 세력으로 자리매김 하는 동안, 현장을 지키며 486, 586이 되어가던 사람들은 이 시기에 실존에 대해 고민해야 했다. 운동권 특채로 대기업에 들어갔던 양석중씨 역시 이때 퇴직을 했다. 생계를 위해 일용직 노동을 전전했다. 그러다 '나무'를 만났고 그 매력에 빠져들었다. 비로소 자신의 마음에 무엇이 있는지 들여다 보게 되었다. 자연을 거스르지 않고 따라가며 사는 삶, 늦었다 싶었지만 비로소 자신의 방향을 찾은 듯했다.  

하지만 모두가 방향을 찾은 건 아니다. 4부 <나는 잘 살아왔는가>의 윤남진씨는 학생운동을 하고 이후 20여 년간 시민단체에서 일을 해 왔다. 하나뿐인 딸 윤서는 기특하게 사회 운동으로 바쁜 아빠가 제대로 돌봐주지도 않았는데 어느덧 대안학교 졸업반이 되었다. 윤서는 술에 취해 과거 감옥에 갔던 얘기를 하며 상처를 떠안고 힘들어 하는 아빠를 보다 못해, 아빠와 함께 티벳 불교의 성지를 향해 떠난다. 아빠가 가고싶어하던 곳이었기 때문.

윤남진씨는 몇 년 전 위 절제 수술을 받고 낙향했다. 가정에 소홀했던 그는 막상 해발 고도 6000m가 넘는 고갯길을 오르면서도 딸과의 서먹함을 쉽사리 풀지 못한다. 아빠는 뭐라고 말을 붙여 보려하지만 정작 딸은 그런 아빠를 더 어색해 한다. 딸뿐만이 아니다. 이곳 티벳에서는 길잡이를 따라가기만 하면 되지만 그는 정작 고국에서 길을 잃었다. 중생을 이롭게 한다는 '정의'의 마음으로 시작했던 시민단체의 일, 이루고자 하는 일은 여전히 요원하고 벗은 갈라지고 흩어졌다. 

오롯이 자신의 내면을 비춘다는 가파른 티벳의 고갯마루를 넘으며 그는 겨우 23살이었던 30년 전을 떠올린다. 당시 그는 영문도 모르고 학생운동의 총책으로 잡혀가 혹독한 취조와 고문을 받으며 누군가를 보호하려 했다. 그 일로 그는 결국 3년간 옥살이를 해야 했다. 그때 다른 선택을 했다면 나의 삶이 순탄했을까. 윤남진씨는 가끔 되묻곤 하는 그 시간을 티벳에 와서야 다시 꺼내본다. 참 열심히 살았는데 아무 것도 이룬게 없다는 남진씨. 주변에 사람이 많았는데 지금은 혼자라는 윤서 아빠. 마음이 단단해지려면 겪어내야 한다는 고통의 산마루를 넘어서 남진씨를 안아준 건 유일한 혈육 윤서였다. 
 
 EBS <다큐 프라임-진정성 시대>의 한 장면

EBS <다큐 프라임-진정성 시대>의 한 장면 ⓒ EBS

 
과정 중심의 진정성 

우리 사회에서 진정성이 언급되기 시작한 것은 뜻밖에도 예능이었다. 제 아무리 미션을 먼저 달성했어도 '꼼수'를 쓴 출연자는 탈락하는 예능의 룰은 어느덧 사회로 확산됐다. 목표뿐만 아니라 수단과 과정도 중요해진 것이다. 물론 그에 따라 개인에 대한 도덕적 잣대도 점점 더 엄격해져만 갔다. 

미국 미시건대 교수 로널드 잉글하트는 그의 책 <조용한 혁명>에서 이러한 변화를 '가치관의 변화'라는 흐름 속에서 정의내렸다. 탈권위주의적이고, 문화적 민주주의를 추구하는 오늘날에는 환경 보호, 평등, 관용, 공존, 성적 소수주의 등 다양한 가치가 통용된다는 것이다. 

이어 다큐멘터리는 '21세기의 진정성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으로 수도권 남녀 700명의 사회 인식을 조사했다. '착한 사마리아인 이야기'처럼 남을 위하는가, 사회 공헌 기업의 제품을 구입하려 하는가, 대의를 위한 일에 동참하는가 등에 대해 물었다.

이 사회인식 조사에서 상위 22%, 중위권 35%의 사람들이 사회적 책임과 이타주의, 공존 의식, 생태주의에 대한 공감을 표시했다. 공유하고 나누고, 더불어 사는 삶을 실천하는 것에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1980년대 정의도, IMF 이후 물질주의도 극복해낸 새로운 시대의 가치관이 도래하고 있음을 이 조사는 보여주고 있다. 
 
 EBS <다큐 프라임-진정성 시대>의 한 장면

EBS <다큐 프라임-진정성 시대>의 한 장면 ⓒ EBS

 
물론 생태적인 삶의 길이 쉽지만은 않다. 3부 <가고 또 가다보면>은 21세기의 라이프 스타일을 적극적으로 실천에 옮긴 전직 회계사 김정연씨의 사례를 다룬다. 31살의 정연씨는 지난해 전남 영광 <야생초 편지>의 저자 황대권씨가 운영하는 '바우 다른 세상 연구소'에 들어갔다. 그는 인생의 한 시기를 불행하지 않고 재밌게 살아내기 위해 '생태주의적인 삶'의 방식을 택했다. 

콩 3알을 넣고 100번을 돌려야 하는 맷돌처럼 느리게 가는 삶, 햇살보다 밝은 웃음으로 정연씨의 대안적 삶의 공동체의 장점을 소리높여 전한다. 그리고 도심 속 네트워크가 공허했던 강동하씨는 '해야'가 돼서, 상자에서 상자로 옮겨지는 도시의 삶을 견딜 수 없었던 김도희씨는 '자야'가 된다. 이들은 모두 대안 공동체의 동료다. 척박한 산 속에서 1만5천 그루의 가시오가피 나무를 보살피고, 직접 만든 캠핑카로 도시의 전통 시장에 커리를 팔러 나가던 그녀. 하지만 1년이 지난 후 정연씨는 더 이상 그곳에 없었다. 정연씨뿐만이 아니다. 

그저 꾸준히 하고자 했지만 사소한 생각의 차이는 갈등을 쌓이게 만들었고 결국 공동체를 허물었다. 처음이 아니다. 2013년 대안적 삶을 위해 황대권씨가 만들었던 이전의 공동체도 인건비도 안되는 수입을 가지고서는 살아낼 수 없어 사라져갔다. 생태주의적 삶의 현실은 그때도 지금도 가혹하다. 

의식은 변화하고 있지만 그 의식을 담보해낸 사회는 아직 갈 길이 멀다. 어쩌면 지금 우리 사회가 겪고 있는 이 대혼란은 또 변화하는 시대를 향한 거대한 용트림일지도 모르겠다. 수척해진 얼굴로 하지만 정연씨는 다시 길을 떠난다. 남진씨도 티벳의 설산을 고통스럽게 완주하며 살아낼 용기를 얻었다.
다큐프라임 진정성시대 진정성이란무엇인가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