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신용현 바른미래당 의원이 7일 국회에서 열린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 참석하고 있다.
 신용현 바른미래당 의원이 7일 국회에서 열린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 참석하고 있다.
ⓒ 남소연

관련사진보기

 
'라돈 침대 사태'가 불거진 지 1년이 지났지만 최근까지 생활 방사선 안전 기준치를 초과한 제품들의 수거율은 53%에 불과한 것으로 확인됐다. 라돈 사태를 불러온 원료물질인 모나자이트 3.35톤도 아직까지 행방이 묘연한 것으로 드러났다. 라돈(Rn)은 가장 최근에 발견된 방사능 원소로 1급 발암물질이다. 지난 2009년 세계보건기구(WTO) 산하 국제암연구센터(IARC)의 조사 결과 라돈은 세계 폐암 발병 원인의 14%를 차지했다.

7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신용현 바른미래당 의원은 "라돈 침대를 포함해 원안위가 지난해 7월부터 올해 9월까지 국내 25개 업체의 22만 개가 넘는 방사선 안전 기준치 초과 제품에 대해 수거 명령을 내렸는데, 실제 수거율은 53%에 불과했다"라며 "침구는 물론 속옷, 유아용 베개의 수거율이 5% 이하인 곳도 있다"라고 비판했다.

이어 "판매한 다음 수거를 못 할 바에는 제품이 만들어지지 않도록 제재를 가하는 게 우선이다"라며 "이미 수거한 제품도 그냥 쌓아만 두고 있고 원안위의 명확한 조치가 없다 보니 업체들도 어떻게 해야 할지 난감한 상황이다. 이 제품들은 경주 방폐장으로 갈 수도, 태울 수도 없는데 왜 구체적인 처분 방안이 아직도 나오지 않고 있냐"라고 지적했다.

더불어민주당 이상민 의원도 "원안위는 국민 건강과 안전의 지킴이 아니냐. 국민 건강에 빨간불이 켜져 시끄러워졌는데 무슨 역할을 했냐"라며 "수거율을 높이기 위해 어떻게 하는지 구체적으로 무엇을 하는 건가"라고 질책했다.

자유한국당 송희경 의원은 속옷을 직접 들고 나왔다. 송 의원은 최근 라돈이 기준치 이상 검출된 것으로 알려진 가게에서 산 속옷이라고 설명했다. 송 의원은 "업체들이 수거 계획 제출은커녕 일선에서는 상인들이 좋은 제품이라고 소개하며 판매하고 있다"라며 "제품을 뜯어보더라도 소비자들은 안전 여부를 전혀 알 수 없고 교환을 받으려 해도 연락이 두절됐다"라고 밝혔다.
  
'라돈 침대 사태' 후 1년이 지났지만 생활 방사선 안전 기준치를 초과한 제품들 가운데 53%만이 수거된 것으로 확인됐다.
 "라돈 침대 사태" 후 1년이 지났지만 생활 방사선 안전 기준치를 초과한 제품들 가운데 53%만이 수거된 것으로 확인됐다.
ⓒ 신용현 의원실 제공

관련사진보기

 
신 의원은 모나자이트 3.35톤의 행방이 확인되지 않는 것도 문제 삼았다. 신 의원은 "구매한 업체 66곳 가운데 폐업한 9곳이 보관하던 모나자이트 약 3.35톤의 행방이 파악되지 않는다"라며 "벌써 1년 4개월 전에 '생활주변방사선 안전관리법 일부 개정 법률'이 시행됐는데, 아직도 이런 문제가 개선되지 않고 있다"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원자력안전위원회 엄재식 위원장은 "기존에 수입된 모나자이트가 제조 업체들로 들어가 문제가 되고 있다"라며 "지난해 `찾아가는 라돈 측정 서비스`를 운영하면서 16개 업체 정도는 적발을 했다. (앞으로) 수거율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라고 답했다.

태그:#라돈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