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2017년 2월 28일 서울 중구 코리아나호텔에서 개최된 생활화학제품 안전관리 자발적 협약식에서 17개 기업 대표 및 임원들과 함께 협약을 체결한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17년 2월 28일 서울 중구 코리아나호텔에서 개최된 생활화학제품 안전관리 자발적 협약식에서 17개 기업 대표 및 임원들과 함께 협약을 체결한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환경부

관련사진보기


정부가 생활화학제품 전성분 공개를 제도화할 의사가 없는 것 아니냐는 비판을 받고 있다. 2019년 환경부의 화학제품 안전관리 사업 어디에도 '생활화학제품 안전관리 자발적 협약' 이후 생활화학제품 전성분 공개 관련 사업이나 예산이 편성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환경운동연합은 자발적 협약 이후 전성분 공개 및 활용 관련 사업과 예산을 편성하지 않은 것에 대해 "'생활화학제품 안전관리 자발적 협약' 이후 환경부가 생활화학제품 전성분 공개 제도화에 대한 의지가 없다는 뜻으로 보인다"며 "지금까지 진행되어온 '자발적 협약'이 여론 눈치 보기에 불과한 보여주기식이었음을 스스로 인정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문재인 정부는 100대 국정과제 중 하나로 '국민 건강을 지키는 생활안전 강화(57)'를 제시했다. 세부 실천과제인 '화학물질 유해성 평가 및 유해 정보 알권리 강화(57-2)'의 조치 중 하나로, 2017년 2월 환경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옥시레킷벤키저 등 17개 생활화학제품 업체와 '생활화학제품 안전관리 자발적 협약'을 체결하면서, 해당 협약 업체는 판매하는 제품에 포함된 전 성분, 기능 및 유해성 정보 등을 환경부(초록누리)와 식품의약품안전처, 해당 기업의 사이트를 통해 올해 말까지 공개해야 한다. 
 
17개 참여기업은 LG생활건강, 애경, 유한킴벌리, 한국피죤, 한국P&G, 옥시레킷벤키져, CJ라이온, 헨켈홈케어코리아, 보령메디앙스 등과 롯데마트, 홈플러스, 이마트, 다이소, 잇츠스킨 등이다.
 17개 참여기업은 LG생활건강, 애경, 유한킴벌리, 한국피죤, 한국P&G, 옥시레킷벤키져, CJ라이온, 헨켈홈케어코리아, 보령메디앙스 등과 롯데마트, 홈플러스, 이마트, 다이소, 잇츠스킨 등이다.
ⓒ 환경부

관련사진보기


하지만 11월 20일 현재, 전성분이 공개 된 제품은 545종에 불과하며, 협약 맺은 17개 기업 중 보령메디앙스, 잇츠스킨에서 판매하는 제품은 전무하다. 전성분 공개 대상 생활화학제품 50종의 품목 가운데 환경부가 관리하는 위해우려제품 18종만 공개되어 있을 뿐, 식품의약품안전처와 산업부에서 관할하는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13종), 비관리생활화학제품(10종), 위생용품(10종)은 찾아볼 수 없다.

지난 2년간 진행되어온 전성분 공개 관련해 협약 이행 여부, 진행 정도, 제품 안전관리 정책 등으로 어떻게 반영되고 활용되고 있는지 국민들은 체감할 수 없다는 불만이 나오고 있다. 게다가 2019년 환경부의 화학제품 안전관리 사업 어디에도 자발적 협약 이후 전성분 공개 관련 사업이나 예산 편성이 없다는 것도 우려를 증폭시킨다.  

환경운동연합은 "자발적 협약 이후 생활화학제품 '전성분 표시제'와 '전성분 공개 및 함량 등록 의무제 도입' 등 법제도 제정으로 이어져야 만이 소극적인 행정이라는 비난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수천 명의 피해와 사망자를 발생하게 한 가습기 살균제 참사를 겪은 정부가 내놓은 최소한의 대책인 생활화학제품 전성분 공개 마저도 기업의 자발적 협약에 묶여 반쪽짜리로 전락할 위기에 놓여있다. 

태그:#생활화학제품 전성분 공개, #생활화학제품 안전관리 자발적 협약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안녕하세요. 환경운동연합 생활환경팀 정미란 활동가입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