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대전현충원 둘레길을 걸으며 평화통일을 염원하는 ‘이야기가 있는 현충원 평화 둘레길 걷기’ 행사가 10월 21일 오후 대전현충원에서 진행되었다.
 대전현충원 둘레길을 걸으며 평화통일을 염원하는 ‘이야기가 있는 현충원 평화 둘레길 걷기’ 행사가 10월 21일 오후 대전현충원에서 진행되었다.
ⓒ 임재근

관련사진보기

   
대전현충원 둘레길을 걸으며 평화통일을 염원하는 ‘이야기가 있는 현충원 평화 둘레길 걷기’ 행사가 10월 21일 오후 대전현충원에서 진행되었다. 참가자들은 파란색 한반도 모양이 새겨진 손 깃발과 손수건을 들거나 묶고 둘레길을 걸었다.
 대전현충원 둘레길을 걸으며 평화통일을 염원하는 ‘이야기가 있는 현충원 평화 둘레길 걷기’ 행사가 10월 21일 오후 대전현충원에서 진행되었다. 참가자들은 파란색 한반도 모양이 새겨진 손 깃발과 손수건을 들거나 묶고 둘레길을 걸었다.
ⓒ 임재근

관련사진보기

   
10월 21일 오후 대전현충원에서 둘레길을 걸으며 평화통일을 염원하는 ‘이야기가 있는 현충원 평화 둘레길 걷기’ 행사가 진행되었다. 출발 직전 참가자들은 한반도 손 깃발을 들고 기념 촬영을 했다.
 10월 21일 오후 대전현충원에서 둘레길을 걸으며 평화통일을 염원하는 ‘이야기가 있는 현충원 평화 둘레길 걷기’ 행사가 진행되었다. 출발 직전 참가자들은 한반도 손 깃발을 들고 기념 촬영을 했다.
ⓒ 임재근

관련사진보기

 
지난 21일 일요일 오후, 대전현충원 둘레길을 걷기 위해 인파가 몰렸다. 초록빛 상록수와 노랗고 붉게 물든 단풍잎 사이로 파란색 한반도 모양이 그려진 손 깃발을 든 사람들이 둘레길을 줄지어 걷고 있었다.

바로 6.15공동선언실천 남측위원회 대전본부(상임대표 김용우)가 주최한 '평화로 한걸음! 통일로 더 큰걸음! 이야기가 있는 현충원 평화 둘레길 걷기' 행사 참가자들이었다. 휴일을 맞아 아이들의 손을 잡고 참가한 가족 참가자들도 상당수 눈에 띄었다.

걷기대회 출발에 앞서 진행된 개회식에서 유성겨레하나 김강식 대표는 "좋은 날, 좋은 분들과 좋은 취지로 함께 걸음을 걸을 수 있다는 것이 감사한 일"이라며, "이 걸음이 평화와 통일을 염원하는 모든 사람들의 발걸음으로, 큰 걸음으로 또 하나의 족적이 남겨지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평화통일교육문화센터 노원록 사무처장은 "내년이 3.1독립만세운동 100주년이 되는 해"라며, "뜻깊은 해를 앞두고 선조들이 바랬던 한반도의 완전한 독립은 지금에서는 통일"이라며, "이번 행사를 통해 통일의 의지를 높이자"고 호소했다.

이날 평화둘레길 걷기행사는 대전지역 사회참여 대학생 동아리협의회, 민족문제연구소대전지부, 민중당유성구위원회, 유성겨레하나, 평화통일교육문화센터가 함께 주관했다. 
  
‘이야기가 있는 현충원 평화 둘레길 걷기’ 행사 주관단체 대표자들이 출발에 앞서 인사를 하고 있다. 민중당유성구위원회 강민영 위원장이 발언을 하고 있다.
 ‘이야기가 있는 현충원 평화 둘레길 걷기’ 행사 주관단체 대표자들이 출발에 앞서 인사를 하고 있다. 민중당유성구위원회 강민영 위원장이 발언을 하고 있다.
ⓒ 임재근

관련사진보기

   
걷기대회 출발에 앞서 참가자들은 몸풀기 체조를 했다. 걷기대회에 참가한 정용래 유성구청장(왼쪽 2번째)과 오광영 시의원(왼쪽 3번째)이 몸풀기 체조를 따라 하고 있다.
 걷기대회 출발에 앞서 참가자들은 몸풀기 체조를 했다. 걷기대회에 참가한 정용래 유성구청장(왼쪽 2번째)과 오광영 시의원(왼쪽 3번째)이 몸풀기 체조를 따라 하고 있다.
ⓒ 임재근

관련사진보기

 
정용래 유성구청장도 참석해 축사를 전했다. 정용래 청장은 "대전현충원은 역사를 많이 돌아볼 수 있는 장소인데, 이곳에서 평화 둘레길 행사를 하게 돼서 굉장히 의미가 있다"며, "현 시점이 우리나라에서는 한반도 평화와 번영으로 가는 전환기"라며, "통일 한반도를 준비하는 마음으로 즐겁게 이 길을 걸었으면 한다"고 밝혔다.
정 청장은 또한 "이런 행사가, 발걸음들이 더 크고 확장될 수 있도록 유성구에서도 노력하겠다"고도 덧붙였다.

 
대전현충원에는 어떤 이야기들이 있을까?

평화 둘레길은 대전현충원 보훈매점 옆 만남의 장소에서 출발해서 '빨강길(1.4km)'을 따라가다 '순직 공무원 묘역'을 들른 후, '빨강길'에 이어진 '주황길(1.3km)'을 따라 '사회공헌자 묘역'으로 이어진다. 사회공헌자 묘역을 나와 국가원수묘역 뒤편으로 이어진 다시 주황길로 접어 들면 보훈샘터를 만나게 된다. 여기서 계단을 따라 장군 제1묘역으로 올라간 후 노랑길(1.4km)의 일부를 거쳐 애국지사 제2묘역으로 내려오면 평화 둘레길은 끝이 난다.

평화 둘레길은 2015년 11월 조성된 대전현충원 보훈 둘레길을 활용해 약 4km 구간으로 기획되었다. 보훈 둘레길은 무지개 빛깔의 이름을 따 7개 구간으로 구성되어 있고, 지난해 4월 기존 8.2㎞에서 10.4㎞로 증설됐다. 
  
해설사 이지수 학생(충남대 정외과 4학년)이 순직공무원묘역에 양승진 선생님의 사연을 설명하고 있다.
 해설사 이지수 학생(충남대 정외과 4학년)이 순직공무원묘역에 양승진 선생님의 사연을 설명하고 있다.
ⓒ 임재근

관련사진보기

   
순직공무원묘역에 안장된 세월호 교사들의 사연을 듣고 있는 참석자들. 순직공무원묘역에는 세월호 순직 교사 10명이 안장되어 있다.
 순직공무원묘역에 안장된 세월호 교사들의 사연을 듣고 있는 참석자들. 순직공무원묘역에는 세월호 순직 교사 10명이 안장되어 있다.
ⓒ 임재근

관련사진보기

 
  
평화 둘레길을 걷는 동안 순직 공무원 묘역, 사회공헌자 묘역, 제1장군 묘역, 애국지사 2묘역에서는 걸음을 멈추고 '이야기'를 듣는 시간을 갖기도 했다. 이야기 해설사는 충남대, KAIST 등 유성구 소재 대학교 학생들이 준비했다.

순직 공무원 묘역에서는 양승진, 유니나, 김초원, 이지혜 선생님 등 세월호 희생자 교사 10명이 안장되어 있어, 학생들을 구하기 위해 순직한 교사들의 사연이 소개되었다. 유해를 수습하지 못해 '유해 없이 현충원이 안장할 수 없다'는 관련법 때문에 안장을 못 할 뻔하다가 머리카락과 체모를 모아 안장할 수 있었던 양승진 선생님 사연, 19명을 탈출시킨 후에도 배 안에서 구조를 기다리는 학생의 전화를 받고 다시 선실로 들어갔다가 순직한 유니나 선생님의 사연 등을 들으면서 참가자들은 숙연해지고, 눈물을 훔치기도 했다.

  
매주 화요일 저녁 으능정이 거리에서 노란 리본 나눔 행동을 지속하고 있는 ‘님들의 행진’에서는 이날 순직공무원묘역을 찾은 평화 둘레길 행사에 참석자들에게 노란 리본을 나눠줬다.
 매주 화요일 저녁 으능정이 거리에서 노란 리본 나눔 행동을 지속하고 있는 ‘님들의 행진’에서는 이날 순직공무원묘역을 찾은 평화 둘레길 행사에 참석자들에게 노란 리본을 나눠줬다.
ⓒ 임재근

관련사진보기

   
금용선 해설사(충남대 언론정보학과 1학년)가 사회공헌자 묘역에서 손기정 선수와 오제도 검사 이야기를 소개하고 있다. 손기정 선수의 묘소(10번)와 오제도 검사의 묘소(8번)는 바로 인접해 있다.
 금용선 해설사(충남대 언론정보학과 1학년)가 사회공헌자 묘역에서 손기정 선수와 오제도 검사 이야기를 소개하고 있다. 손기정 선수의 묘소(10번)와 오제도 검사의 묘소(8번)는 바로 인접해 있다.
ⓒ 임재근

관련사진보기

 사회공헌자 묘역에서는 비슷한 시기에 태어났지만 서로 다른 선택을 한 손기정 선수와 오제도 검사의 이야기가 소개되었다. 1936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대회 우승자로 잘 알려진 손기정 선수는 올림픽 우승 이후 강제로 일본제국 주의를 찬양하는 데 동원되기도 하였으나, 그의 행적 곳곳에는 식민지 조선 청년으로서 일제에 대한 저항과 울분이 자리 잡고 있었다.

손기정 선수는 몽양 여운형 선생을 만나 건국동맹에 참여하기도 했다. 평안북도 신의주 출신의 손기정 선수는 죽을 때까지 언제나 고향을 그리워하며 살았으며, '죽기 전에 남북통일이 된다면 신의주-부산 간 역전경주 대회에 나가고 싶다'고 말하였으나 안타깝게도 그 꿈을 이루지 못한 채 2002년 눈을 감아 대전현충원 국가사회공헌자묘역에 안장되었다.

국가보안법의 초안을 잡고, 보도연맹 결성을 주도해 '사상검사'로 알려진 오제도 검사는 한국전쟁 당시 군․검․경 합동수사본부 총지휘관을 맡아 부역혐의자 처벌과 학살에 앞장섰다. 또한 국회 프락치 사건, 진보당 사건 등에 관여하며 무고한 희생을 자아내기도 했다. 하지만 2001년 사망한 그는 "'반공검사'로서 건국에 이바지한 공적을 인정받아" 법조인 최초로 국가유공자로 인정되어 대전현충원 사회공헌자묘역에 안장되었다.

장군 제1묘역에서는 군·검·경 합동수사본부 본부장을 맡으며 오제도 검사와 함께 민간인 학살에 앞장섰던 김창룡과 12.12 군사반란으로 징역 6년 형을 받았지만, 대법원 확정 판결을 20여일 앞두고 지병으로 사망해 대전현충원에 안장된 유학성, 1980년 광주민중항쟁 당시 전투병과 교육사령관으로 광주 진압 책임자였던 소준열의 이야기를 들으며 부적절하게 안장된 이들의 이장을 위해 국립묘지법 개정의 필요성이 이야기됐다.

  
박준형 해설사(KAIST 동아리 쏘셜메이커 회장)가 장군 제1묘역에서 유학성, 소준열 등 반민주인사들의 이야기를 해설하고 있다.
 박준형 해설사(KAIST 동아리 쏘셜메이커 회장)가 장군 제1묘역에서 유학성, 소준열 등 반민주인사들의 이야기를 해설하고 있다.
ⓒ 임재근

관련사진보기

   
10월 21일 ‘이야기가 있는 현충원 평화 둘레길 걷기’ 행사에 참가해 둘레길을 걷고 있는 참가자들.
 10월 21일 ‘이야기가 있는 현충원 평화 둘레길 걷기’ 행사에 참가해 둘레길을 걷고 있는 참가자들.
ⓒ 임재근

관련사진보기

   
10월 21일 ‘이야기가 있는 현충원 평화 둘레길 걷기’ 행사에 참가해 둘레길을 걷고 있는 참가자들.
 10월 21일 ‘이야기가 있는 현충원 평화 둘레길 걷기’ 행사에 참가해 둘레길을 걷고 있는 참가자들.
ⓒ 임재근

관련사진보기

 
평화 둘레길의 마지막 지점은 '애국지사 2묘역'으로 김구 선생의 어머니 곽낙원 지사와 장남 김인 지사가 안장되어 있는 곳이었다. 이곳에서 해설을 맡은 오미선 학생(충남대 정외과 4학년)은 "일제 강점기 나라를 찾기 위해 떨쳐나섰던 분들은, 독립 이후에 분단에 반대하는 활동에 나섰고, 분단 이후에는 통일을 위해 한평생을 바친 반면, 일제 강점기 나라를 팔고 민족을 배신한 친일파들은, 독립 이후에 분단에 앞장섰고, 분단 이후에는 자신들의 권력 유지를 위해 반공을 내세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2018년 올 한해는 판문점 선언이 있었고, 9월 평양공동선언 이이어지며 역사에 길이 남을 해가 될 것"이라며, "독립운동가, 애국지사로부터 이어지는 우리 민족의 염원인 통일을 위해 그리고 평화를 위해 모두 함께 노력하자"고 덧붙였다.
   
‘이야기가 있는 현충원 평화 둘레길 걷기’ 행사를 마친 이들이 곽낙원 지사와 김인 지사의 묘소가 있는 ‘애국지사 2묘역’에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이야기가 있는 현충원 평화 둘레길 걷기’ 행사를 마친 이들이 곽낙원 지사와 김인 지사의 묘소가 있는 ‘애국지사 2묘역’에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 임재근

관련사진보기

 

 독립운동가와 친일파가 한 자리에? 

평화 둘레길 행사에 참가한 최현진(유성구 지족동, 51)씨는 "반민족행위자, 친일파가 아직도 이곳(현충원)에 묻혀 있다는 게 가슴 아프다"며, "여기에 김구 선생님의 어머님과 자제분도 여기에 계시던데, 항일운동을 했던 분들과 그분들을 핍박했던 사람들이 한곳에 있다는 게 굉장히 아이러니다"고 참가 소감을 말했다.

오광영 대전시의원(온천1동,온천2동,노은1동)도 "이야기도 듣고 대전현충원 둘레길을 걸으면서 역사를 되돌아보는 계기가 되었다"며, "평화 둘레길 행사를 지속적으로 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유성 장대중학교에서 친구들과 함께 참가한 지홍아 학생은 "몰랐던 것을 많이 알게 되어서 슬프고, 한편으로는 꼭 통일이 됐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황서영 학생은 "(손기정 선수와 김구 선생 등)책에서만 읽었던 위대한 인물들의 이야기를 여기에서도 듣게 되어 좋았다"고 말했고, 김민주 학생은 "이런 곳에 있어서는 안 될 법한 사람들이 있다는 이야기를 듣고 조금 기분이 안 좋았다"고 말하기도 했다.

한편, 출발지점에서는 남북정상회담과 평창올림픽 개최 등 최근 남북관계 변화를 보여주는 판넬 전시가 진행되었고, 지난 9월 남북정상회담 당시 남북 두 정상이 손을 잡은 장면을 배경으로 인증샷을 찍는 코너도 마련되었다. 평화 둘레길 행사가 끝난 후에 참가자들은 애국지사 묘역에서 묘비 닦기 및 환경정화 활동을 진행하기도 했다. 이날 행사에는 약 200여명이 참가했고, 오후 2시에 시작해 5시경에 끝났다.

대전현충원은 1985년 약 322만㎡(97만 4천평) 규모로 준공됐다. 시설공사를 마치기도 전인 1982년 8월 첫 안장을 시작해 현재는 애국지사와 순국선열, 국가유공자, 군인 등 8만 5천여명이 안장되어 있다.
  
평화 둘레길 행사가 끝난 후에 참가자들은 애국지사 묘역에서 묘비 닦기 및 환경정화 활동을 진행하기도 했다. 묘비 닦기를 하고 있는 학생들.
 평화 둘레길 행사가 끝난 후에 참가자들은 애국지사 묘역에서 묘비 닦기 및 환경정화 활동을 진행하기도 했다. 묘비 닦기를 하고 있는 학생들.
ⓒ 임재근

관련사진보기

   
출발지점에서는 지난 9월 남북정상회담 당시 남북 두 정상이 손을 잡은 장면을 배경으로 인증샷을 찍는 코너가 마련되었다.
 출발지점에서는 지난 9월 남북정상회담 당시 남북 두 정상이 손을 잡은 장면을 배경으로 인증샷을 찍는 코너가 마련되었다.
ⓒ 임재근

관련사진보기

   
출발지점에서는 남북정상회담과 평창올림픽 개최 등 최근 남북관계 변화를 보여주는 판넬 전시가 진행되었다.
 출발지점에서는 남북정상회담과 평창올림픽 개최 등 최근 남북관계 변화를 보여주는 판넬 전시가 진행되었다.
ⓒ 임재근

관련사진보기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통일뉴스에도 실립니다.


태그:#대전현충원 평화 둘레길 걷기, #대전현충원, #6.15대전본부, #평화 둘레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