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한국오라클노동조합 김철수 위원장
 한국오라클노동조합 김철수 위원장
ⓒ 한국노동안전보건연구소

관련사진보기


미국계 IT회사 한국오라클(ORACLE)은 대표적인 소프트웨어 회사이다. 데이터베이스 관리 솔루션,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을 기업에 공급하는 업체로, 서버를 공부하는 사람이라면 꼭 한번은 들어보는 곳이다. 그러다 보니 외국계 IT업계에서도 많은 이들이 선망하기도 하는 곳이기도 하다. 하지만 정작 한국오라클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은 자신의 일터에서 행복하지 않았다고 고백했다.

한국오라클노동조합은 지난 5월 16일부터 무기한 전면파업을 진행하며 일터를 바꾸기 위한 행동에 돌입했다. 자세한 이야기를 들어보기 위해 지난 6월 12일 한국오라클노동조합 김철수 위원장을 만났다. 이날도 조합원들은 파업 참여를 위해 용산 철도회관에 모여 간담회를 진행하고 있었다.

2017년 10월에 설립된 한국오라클노동조합의 역사는 짧다. 하지만 노동자들은 이미 오래전부터 부당한 대우가 있었다고 말한다.

"사람들이 외국계 회사인 한국오라클을 보면 돈을 잘 벌고, 거의 놀면서 일한다는 인식이 있습니다. 그래서 노동조합을 안 만들어도 되는 거 아니냐고 묻기도 했죠. 하지만 실제 일하는 노동자들의 면면을 살펴보면 전혀 그렇지가 않습니다."

한국오라클의 임금 체계는 성과급제다. 회사는 계속해서 기본급을 인상하지 않고, 직원들에게 성과를 내야 인센티브를 주는 방식을 택했다. 회사를 오래 다녀도 소위 성과가 좋지 않을 경우, 오히려 임금이 삭감되는 상황에 놓이기도 한다.

"한국오라클은 매니저 중심의 회사입니다. 매니저와 친한 사람이 좋은 고객사를 받아가죠. 그런데 이런 식으로 성과를 내는 사람이 얼마나 있겠습니까. 대다수는 그렇지 못하죠. 오히려 눈 밖에 나면 압박을 하며 내보내려고까지 합니다. 노조가 파악한 것으론 직원 90% 정도가 10년째 임금이 동결된 상황입니다. 신입직원이 연봉이 높아요. 오래 일한 직원들은 얼마나 자괴감이 들겠습니까."

한국오라클은 노동강도가 높기로도 유명한데, 노조가 파악한 것으론 주당 110시간 이상 근무하는 노동자도 있었다. 엔지니어의 경우 문제가 생기면 바로 출동해서 업무를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주말에도 24시간 대기한다는 게 노조 쪽 설명이다. 이들은 만약 규모가 큰 장애가 발생하면 일주일 이상 밤새고, 집에 조차 가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고 주장한다. 인력이 부족해 교대를 하는 것도 쉽지 않단다.

한국오라클노동조합은 1일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엔지니어들이 과노동에 시달리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데일리> 기사 등에 따르면, 노조 측은 이 자리에서 "일주일에 80시간 이상, 심지어 100시간 이상 근무하는 등 업무과다에 시달리고 있다"고 말했다. 또 "시간외 수당으로 일부 보상하고 나머지는 대체 휴가로 보상해준다고 하는데, 사람이 모자라 휴가를 제대로 쓰지도 못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옆에 있던 동료들이 하나둘씩 회사를 나가는 모습을 지켜보면서 노조 활동에 나서게 됐다고 말한 김 위원장은 "노동 여건이 너무 열악하다"고 말했다. 그는 회사를 떠나는 동료들이 "본인이 원해서 나가는 것 같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오라클이 3~4년 전부터 클라우드로 비즈니스 모델을 바꿨는데, 이후 비용 문제가 생기면서 회사가 직원들을 정리했다는 게 노조의 주장이다.

하지만 한국오라클은 이러한 노조 측의 주장을 부인하고 있다. 지난 5월 18일 뉴시스를 통해 "당사는 국내 법령을 존중하며, 지금까지 성실히 노조와의 교섭에 임해왔다"고 밝혔다. 또, "향후 원만한 합의를 이루기 위해 노조와 대화를 이어나갈 준비가 돼 있다. 다만 노조와의 교섭 내용에 관해 구체적으로 말씀드릴 수 없는 점 양해 바란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노조는 '한국지사가 미국 본사 핑계를 대며 어떤 의무와 책임도 지지 않으려 한다'고 생각한다.  

한국오라클은 지사장과 매니저에게 모든 권한과 소통이 제한되어 있다. 노조 측은 한국지사가 '본사가 완강해 협상에 임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주장했다. 노조는 이러한 한국지사의 주장을 절대 받아들일 수 없고 말한다. 그러면서 철저하게 한국지사가 정보와 소통구조를 장악하고 있는 조건이라, 노조의 활동이 어렵다고 설명했다. 이들이 파업을 선택한 이유다. 일을 멈추는 것, 그렇게 해서라도 자신들의 목소리에 제대로 귀 기울이고 변화의 바람이 불기를 간절히 바라고 있다.

"저희가 노동조합을 만든 이후 집행부, 대의원 분들 중 이전에 노동조합 만드려고 했던 분들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용기를 못낸 거죠. IT업계는 이직이 심합니다.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절이 싫으면 중이 떠나면 되지'라는 생각을 많이 합니다. 그리고 본인이 '노동자'라는 인식도 희박해요. 소위 전문직이라고 생각하죠.

노동조합에서도 이런 인식을 변화시키는 데 굉장히 힘들었습니다. 교육도 하고, 홍보도 하니 점차 가입률도 높아지고 파업 참가율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쟁의행위 찬반투표에서도 찬성이 96%로 압도적이었죠. 하지만 여전히 한국지사장은 본인이 뭘 잘못했냐, 자기는 잘못한 게 하나도 없다고 주장합니다. 본사에도 상황을 계속 알리려고 노력하고 있는데, 회사가 들으려고도 안 합니다."

"노동 사각지대인 IT 업계, 우리가 바꿀 겁니다"

파업 투쟁 중인 조합원들의 모습
 파업 투쟁 중인 조합원들의 모습
ⓒ 한국오라클노동조합

관련사진보기


오라클은 한국지사 뿐만이 아니라 해외 곳곳에 지사가 있다. 당연히 그곳에도 노동조합이 있다. 한국오라클 노동조합의 소식을 들은 다른 나라의 노동조합의 반응은 놀라움이었다고 한다. 물론 유럽 지사 노동조합도 문제는 있지만 한국 상황과는 다르다. 노조 측은 한국이 더 열악한 상황이라고 본다.

그렇지만 투쟁을 멈출 순 없었다. 김철수 위원장은 무엇보다 조합원이 힘들더라도 지치지 않게, 즐겁게 투쟁하려 노력한다고 했다.

"IT노동자들의 의식을 바꾸는 데 오래 걸렸습니다. 노동조합 활동이 아직 낯설죠. 우선 다 같이 모여 재미있게 하려는 방식으로 투쟁을 하려고 합니다. 파업에 참가하는 조합원들도 우리가 회사에 굽히고 들어갈 수 없다, 어려움이 있겠지만 계속 해야 한다고 얘기합니다.

특히 여러 프로그램 중 회사 한 바퀴 돌기가 반응이 제일 좋았습니다. 노동조합 가입한 사람이어도 가입을 아직 못한 사람이어도 회사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파업에 참여한 사람들과 얼굴도 보고, 설득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기 때문에 계속 했으면 좋겠다고 합니다. 서로 봐야지 얘기가 되고, 나는 왜 이럴 수밖에 없는지 어려움을 얘기할 수 있으니까요. 아주 소중한 시간입니다."

노동조합이 생기고 나서 조합원들에게도 큰 변화가 일어났다. '이건 내가 얘기할 수 있는 권리구나, 당당하게 회사에 요구할 수 있구나'라는 깨달음과 자신감이 생긴 것이다. 아무도 알려주지 않았고, 사측에 의해 억눌려왔던 권리를 향한 의식과 행동들이 뭉치니 깨어난 것이다.

"오라클이란 회사에 처음 들어왔을 때 느낌과 경험은 '자유롭다'였습니다. 출퇴근 시간에 구애 받지 않고, 여분 시간에 쉬거나 개인 생활도 할 수 있었죠. 그런데 회사에 '실적이 인격이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사실 이런 자유는 실적이 내야 보장되는 겁니다. 만약 실적이 나오지 않으면 노동자를 압박해대죠. 엄청 쪼는 거예요. 여러 방식으로 노동자들이 압박을 가하기도 합니다. 한국식으로 굴리는데, 더 심하게 굴리고 결국 해고하는 겁니다."

급격한 기술의 발달과 빠르게 변화하는 IT업계에서 노동자들은 강도 높은 업무 능력을 요구 받는다. 개발을 위한 장시간 노동과 몰아붙이기 식의 근무 스케쥴로 인해 다양한 건강상 문제를 겪는다. 노조 측은 한국오라클 노동자들도 마찬가지라고 말한다.

"퇴사한 사람들에게 들은 얘기인데 마감 때만 되면 영업 사원들이 가위에 눌려 일찍 깬다고 합니다. 제가 요즘 노동조합 활동하면서 오전 7시 정도에 회사에 나갈때가 많아요. 그런데 그 시간에 오는 직원들이 있습니다. 왜 이렇게 일찍 출근했냐고 물으면 마감을 해야 하는데, 잠이 안 와서 그냥 출근했다고 합니다. 사람들이 스트레스 때문에 잠도 못자는 상황이예요. 그리고 고용불안에 시달리죠. 업무 성과와 모든 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윗 사람에게 찍혔다는 '찍퇴'에 큰 불안이 있습니다. 매니저에게 무조건 굽신할 수밖에 없어요. 불만이 있어도 얘기 못하죠. 이런 스트레스를 푸는 방식은 술이나 흡연입니다. 그런 사람들이 결국 정신질환에 시달립니다. 노동조합 만들고 나서 굉장히 많이 오는 상담 중 하나가 '병원에 가서 정신 관련 상담을 받고 안정을 취해야 한다고 했는데 회사가 병가 신청을 안 받아준다'는 거예요. 회사가 병가 대상이 아니라고 해버리는 바람에 일을 해야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겁니다.

엔지니어 분들은 잠도 못잡니다. 우울증이 기본이에요. 덤프 트럭이 지나가는데 문득 거기에 부딪히고 싶다는 생각을 했다고 합니다. 그러면 잠을 잘 수 있다고 생각했다는 거예요. 이게 다 우울증 증상이고, 심각한 문제인거죠."

노동조합은 지금도 파업 중이다. 최근에는 거래처 기업의 고위임원 자녀들을 대상으로 이른바 '귀족 인턴'을 받아온 사실까지 언론에 보도됐다. 또 한국오라클 임원이 부하 여성 직원을 성추행하고도 사건을 축소한 뒤 피해 여성 직원의 퇴직을 강요했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여러 문제들이 드러나고 있는 상황 속에서 노동조합은 계속해서 소식을 알리고 있다. 국회, 정부, 외국까지 염두에 두고 투쟁의 방향을 잡고 있다. 김철수 위원장은 한국오라클 노동자들을 대표해 IT노동자가 안전하고, 건강하고, 행복하게 일 할 수 있기 위한 방법을 말했다.

"한국오라클에는 거의 100개 이상의 조직이 있습니다. 1명인 조직도 있어요. 당연히 서로 잘 몰랐죠. 그러다 보니 사람들이 잘 뭉치지 못했습니다. 서로 이해관계도 다르고 모르니까요. 그런데 노동조합이 생기고 자유발언도 하고, 서로 어려운 점도 이야기하다 보니깐 단합을 하기 시작했습니다. 각 부서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 전체의 문제라고 인식하고, 힘이 생겼죠.

IT업계가 노동의 사각지대에 놓여있습니다. IT노동자들이 내가 월급을 받는 건 맡겨진 일을 하고 있기 때문이고, 정해진 시간보다 더 일을 하는 건 회사의 문제라는 걸 인식했으면 좋겠습니다. 회사에 인력도 요구하고, 일도 줄여달라고 해야 하는 게 맞는 거죠. 노동자의 권리를 찾아서 근무 환경을 바꿨으면 합니다. 바꾸는 행동은 남이 해주지 않습니다. 바로 내가 바꾸는 거죠."

덧붙이는 글 | 이 글을 쓴 이나래님은 한국노동안전보건연구소 상임활동가 입니다. 또한 이 글은 한국노동안전보건연구소에서 발행하는 잡지 <일터>에도 연재한 글입니다.



태그:#한국오라클, #노동조합, #IT업계, #장시간노동
댓글1

한국노동안전보건연구소는 모든 노동자의 건강하게 일할 권리와 안녕한 삶을 쟁취하기 위해 활동하는 단체입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