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핵재처리실험저지30km연대'는 26일 오전 대전 유성구 덕진동에 위치한 한국원자력연구원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지난 20일 발생한 화재사고에 대한 특별감사와 책임자처벌, 핵재처리실험 중단 등을 촉구했다.
 '핵재처리실험저지30km연대'는 26일 오전 대전 유성구 덕진동에 위치한 한국원자력연구원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지난 20일 발생한 화재사고에 대한 특별감사와 책임자처벌, 핵재처리실험 중단 등을 촉구했다.
ⓒ 오마이뉴스 장재완

관련사진보기


지난 20일 발생한 한국원자력연구원 내 폐기물처리시설 화재사고와 관련, 대전지역 단체들이 원자력연구원을 강력 규탄하고 나섰다. 이들은 초기대응도 엉망인데다 보고도 누락하는 등 도무지 원자력연구원을 믿을 수 없다면서 '특별감사 실시'와 '핵재처리실험 중단'을 촉구했다.

대전세종충남지역 단체로 구성된 '핵재처리실험저지30km연대'는 26일 오전 대전 유성구 덕진동에 위치한 한국원자력연구원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불도 못 끄는 원자력연구원이 무슨 핵재처리실험이냐"며 "정부와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이번 사건의 진상조사와 책임자 처벌, 대책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기자회견문을 통해 한마디로 "모든 것이 엉망진창이다"라고 표현했다. 이들은 "핵폐기물을 가건물에 보관하고, 화재가 발생한 지 1시간 동안이나 화재 위치도 찾지 못해 우왕좌왕했다"며 "심지어 화재대응 과정을 축소·은폐하여 보고한 사실도 드러났다"고 밝혔다.

이어 "그 창고 안에 200리터짜리 핵폐기물 34드럼이 있었고, 또 다른 핵폐기물 저장고 5곳도 샌드위치 패널로 지어진 건물로 화재에 매우 취약한 상황"이라면서 "원자력연구원 반경 1.5km 인근에 4만여 주민들이 살고 있는데, 어떻게 이런 원자력연구원을 믿고 안심하고 살 수 있겠느냐"고 주장했다.

이들은 또 "화재가 난 건물 바로 옆에는 액체와 금속 핵폐기물처리 시설이, 멀지 않은 곳에는 연구용 원자로인 '하나로'가 있다"며 "만약 화재 진압이 더 늦어졌다면 끔찍한 대재앙이 일어날 뻔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들은 "지자체와 시민검증단, 시의회 차원의 현장 조사를 거치면서 매우 이례적으로 연구원장이 25일 기자회견을 열어 사과한 뒤, 축소 발표를 시인했다. 그리고 관련자 직위해제와 재발 방지 대책을 약속했다"며 "그러나 이것으로는 부족하다. 정확한 화재 원인과 방사능 유출 여부, 근무자들의 피폭 가능성, 방호 방재 시스템에 대한 정밀한 점검 등 특별감사가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이들은 또 "원자력연구원은 단순한 연구소도 아니고 자재 보관소도 아니다. 고준위핵폐기물과 중저준위핵폐기물이 보관된 방폐장이며, 하나로원자로가 가동 중인 핵발전소"라면서 "심지어 핵재처리실험을 하겠다고 예산을 달라고 하는 시설이다. 그리고 국가기밀이며 1급 보안시설이라면서 주민들에게는 문턱이 높은 시설이다. 그런데 이렇게 엉망진창이라는 게 정말 믿기지 않는다"고 개탄했다.

이들은 ▲정부와 원안위는 진상조사와 책임자 처벌, 안전대책을 마련할 것 ▲특별감사와 함께 전면적인 안전 점검을 실시할 것 ▲안전점검 결과에 따른 재발 방지책이 마련될 때 까지 모든 실험과 연구를 중단할 것 ▲하재주 원장은 직접 주민들 앞에서 진상을 밝히고 해결방안을 내놓을 것 ▲정부는 원자력연구원의 인적 쇄신을 포함한 전면적인 혁신안을 마련할 것 ▲정부는 핵재처리실험을 전면 폐기할 것 등을 촉구했다.

이날 규탄발언에 나선 지역주민 안옥례씨는 "한국원자력연구원은 핵폐기물 무단 폐기에 이어 1시간 동안 불이 난 곳도 찾지 못하는 상상 그 이상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며 "거짓말을 계속하면 스스로에게 부메랑으로 돌아오는 양치기소년의 교훈을 잊지 말아야 한다. 이제는 제발 주민들 앞에 거짓말 좀 그만하고, 모든 핵실험과 연구를 멈추라"고 말했다.

한편, 한국원자력연구원은 25일 자체 정밀 재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화재 초동대처가 미흡했고, 관련 부서의 보고 누락으로 대외적으로 잘못된 정보를 제공한 것인 확인됐다.

이에 따르면, 이날 19시 23분 '화재조기경보기(USN)'가 작동했다. 이에 따라 상황실 근무자가 즉시 비상 출동했으나 화재가 난 '가연성폐기물처리시설'이 아닌 '수송용기실험동'으로 화재장소를 '오인'했다.

이후 19시 32분에는 '화재감지기 경보'가 울렸고, 19시 52분에는 비상출동차량이 출동했으나 '화재 없음'을 확인 후 상황실로 복귀했다. 19시 53분 지속적인 화재경보기가 울려 '수송용기실험동'으로 재출동했으나 화재 위치를 찾지 못했다. 다만 이때 연기 냄새를 감지하고, 전 야간 근무자를 동원, 각 건물별 화재 발생 여부를 조사했다. 여기까지는 그 동안의 보고에서 누락된 부분이다.

이후 20시 07분에 화재감지기를 리셋(Reset)했고, 20시 21분에야 화재 위치를 확인하게 됐다. 이에 따라 근무자가 화재 현장에 도착한 것은 20시 23분이었다. 이때서야 상황실에서 소방서에 신고가 됐다. 20시 34분에 소방대원들이 도착했고 20시 53분에 화재가 완전 진압됐다.

결국 원자력연구원은 화재조기경보기가 작동한 지 1시간가량을 화재 장소도 찾지 못한 채 우왕좌왕한 것이다.

원자력연구원은 화재 조기 감지를 위해 법적으로 설치 의무가 있는 화재감지기 외에 조기에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화재조기경보기(USN)을 추가로 설치·운영 중이라고 밝혔다.

이러한 조사결과와 관련 원자력연구원은 "근무자의 초동대처 미흡과 최초 화재 인지 시각에 대한 담당부서의 임의적인 보고 누락으로 잘못된 정보를 제공하게 된 것이 밝혀져 담당부서장을 즉시 직위해제했다"며 "추가 조사를 통해 관련자에 대한 엄정한 처벌과 재발방지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태그:#한국원자력연구원, #핵재처리실험, #30KM연대, #원자력연구원 화재, #핵폐기물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향나무는 자기를 찍는 도끼에게 향을 묻혀 준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