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아침에 일찍 일어났는데도 커피 마시고 마을 마실 다니며 여유 부리다 배 시간에 아차차 늦을 뻔해서 목숨 걸고 밟은 덕에 10시 30분 차귀도 입항배를 무사히 탔다네. 하마터면 '제주도 교통사고 전국 상위엔 여행객 렌트카'라는 기사에 한몫할 뻔했지.

차귀도 참 좋드만~ 제주 무인도 가운데 가장 큰 섬이라는데 다른 무인도를 가보지 못했으니 크기에 대한 실감은 잘 모르겠더군. 오름인 듯, 평야인 듯 넓은 억새밭을 오르면 기암괴석이 둘러싼 절벽 아래로 진쪽빛 파도가 시원 아찔하게 펼쳐져 있지.

'무인도'는 사람이 '살지 않는 곳'이지 '사람을 볼 수 없는' 곳은 아니란 걸 곧 알았지. 이 무인도에 가려면 '자구내 마을'이란 곳에서 배를 타야 하는데 나는 이 마을 이름이 자꾸 '지구내 마을'로 읽히더군. 배를 타면 '10분'만에 갈 수 있는 이곳은 무인도 가는 길이 너무 빠르고 쉬워서 약간 허망했는데다가 무인도에 뭔 사람이 그리 많담~

친구들
 친구들
ⓒ 이종미

관련사진보기


등대
 등대
ⓒ 이종미

관련사진보기


너른 황금벌판이 머리 위의 푸른 하늘과 발아래 쪽빛 바다 사이를 기분 좋게 경계 짓고 있다. 약한 인간은 새처럼 날아올라 구름 위에 앉을 수도, 절벽 아래 파도 위에 앉을 수도 없으니 하늘 한 번 보고 억새밭 한 번 보고 바다 한 번 보며 그저 감탄사나 내뱉을 수밖에-

좁고 가파르지만 짧아서 다행인 경사 길을 오르면 넓게 펼쳐진 황금벌판 속에서 바람과 함께 군무를 추고 있는 억새들 너머 저 멀리 하얀 무인 등대가 제일 먼저 눈에 들어온다. 이 그림 같은 절경을 보려면 가파른 언덕을 올라야 되는데 이 언덕 이름은 '볼레기 언덕'이다. 볼레기는 '헐떡거린다'는 제주도 말로 등대를 만들 때 섬 주민들이 '볼렉볼렉(헐레벌떡, 헐떡벌떡)' 이 언덕길을 오르내리며 돌과 흙을 힘들게 져 날랐다는 데서 생긴 이름이라고 한다.

흰 등대와 겨우 남은 집터의 흔적 몇몇이 지금은 무인도인 이곳에도 한때는 사람이 산 자취를 희미하게나마 알려 주고 있다. 차귀도는 1911년도에 처음으로 사람이 들어와 살기 시작해서 그 뒤로 열몇 가구가 모여 살았는데 68년 김신조 간첩 사건과 74년 추자도 간첩단 사건으로 주민 전원 퇴거 명령이 내려 무인도가 된 것이란다.

 억새밭에서
 억새밭에서
ⓒ 이종미

관련사진보기


황금벌판
 황금벌판
ⓒ 이종미

관련사진보기


억새 사이로
 억새 사이로
ⓒ 이종미

관련사진보기


억새와 하늘
 억새와 하늘
ⓒ 이종미

관련사진보기


늘 억새와 갈대가 헷갈리는데 강이나 바다 근처 '물' 가까이 있는 것은 갈대이고 산에 있는 것은 억새라는군.

억새밭에서 내려다 본 섬1
 억새밭에서 내려다 본 섬1
ⓒ 이종미

관련사진보기


해안 절벽에서 바라 보는 풍광은 수년 전 가 본 베트남 하롱베이 못지 않았다네~

억새밭에서 내려다 본 섬2
 억새밭에서 내려다 본 섬2
ⓒ 이종미

관련사진보기


배를 기다리는 승객들
 배를 기다리는 승객들
ⓒ 이종미

관련사진보기


섬 한 바퀴를 대충 돌 수 있는 시간을 주고 데리러 오는 중소형 관광선은 대체로 만선이더군. 아마 나혼자 갔음 한 대 보내고 이 구석, 저 구석 더 노닥거리다 다음 배를 탔을 테지만 대체로 사람들은 노는데도 시간을 너무 잘 지키더군.

자구내 마을의 한치
 자구내 마을의 한치
ⓒ 이종미

관련사진보기


자구내 마을 선착장에선 바닷 바람에 말린 차귀도표 '화살오징어'를 팔고 있더군. '한치'는 들어 봤어도 화살오징어는 처음 들었는데 그게 그거라는구먼. '한치'가 다리가 짧아 한치(3cm)밖에 안 된다고 하여 한치라고도 한다는 거, 한겨울 추운 바다에서도 잡힌다고 하여 찰한(察)자를 써서 한치라고도 하는 건 이번에 알았구먼~ 정태춘의 이어도(떠나가는 배)나 김추자의 무인도를 들으며 버터 고추장 찍은 소주 한 잔 꼴깍하면 참 맛 좋겠지?


태그:#차귀도, #자구내 마을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