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살충제 검출 달걀' 파동을 두고 여야가 모두 정부 대응을 비판했다. 가장 문제가 된 건 류영진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의 발언이다. 불과 6일 전 류 처장은 "국내산 달걀과 닭고기는 지난주부터 모니터링했는데 피프로닐이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국내는 문제가 없으니 안심하고 생활해도 된다"고 밝힌 바 있다.

 

윤소하 정의당 의원은 16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업무보고에서 "류 처장은 당시 농식품부 조사가 진행 중인데도 '우리는 아무 상관이 없다, 먹어도 좋다'고 말했다"면서 "이 부분에 대해 최소한 유감을 표명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류 처장은 "식약처가 60건을 조사해서 이상이 없다고 보고를 받아서 안전하다고 했다, 지적한 부분에 대해 공감하고 유감을 표명한다"고 사과했다.

 

6일 전엔 "먹어도 좋다"던 식약처장 "유감 표명"


그러나 여야 의원들은 한 목소리로 정부 부처의 안일한 대응을 질타했다. 윤 의원은 "농림축산식품부가 살충제 달걀은 우리에게 없다고 말해 국민의 불안감을 키웠다"라고 지적했다.

 

김승희 자유한국당 의원은 "국민들은 피가 거꾸로 솟는다, 재난 수준"이라고 말했다. 같은 당 김순례 의원은 "올해 4월 유통 달걀 농약관리방안 토론회에서 국내산 진드기 감염률이 94.2%고 농약 사용 농가가 62%라는 문제제기가 있었는데 식약처가 대책을 수립하지 않았다"라고 비판했다. 그는 류 처장의 자진사퇴를 요구하기도 했다.

 

기동민 더불어민주당 의원 역시 "제2의 가습기 살균제 사건으로 비화될 수 있는 중요한 문제"라고 우려했다. 같은 당 김상희 의원은 "어떻게 이런 일이 발생하도록 방치했는지 정부와 식약처의 깊은 반성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정춘숙 의원도 "2016년에 971개의 양계농가에서 약 128억 개 달걀과 1억7000마리의 식용 닭이 유통됐지만 식약처에서 피프로닐을 조사한 샘플 수는 60마리였다"며 "전체 유통된 달걀의 0.0000009%, 닭의 경우 0.00004%에 불과해 무의미한 조사가 됐다"고 꼬집었다. 검수 시스템 자체가 지나치게 협소한 샘플로 진행돼 국민 안전을 담보할 수 없다는 것이다.

 

비판이 이어지자 류 처장은 "(발언 이후) 바로 이 사건이 터져서 진심으로 그 부분에 대해 사과 드린다"고 재차 사과했다.

 

지난해 10월 "살충제 사용" 지적 나와... 관리감독 일원화 필요성


그러나 이 같은 사태는 이미 지난 해 10월 예고된 바 있다. 기동민 의원은 지난 해 10월 7일 보건복지위 국감에서 "축산 농가들이 (닭의) 진드기를 털어낼 수 있는 방법이 없기 때문에 그냥 농약을 뿌리고 있다"라며 "선진국은 케이지(사육) 방식을 전면적으로 폐기했는데 우리는 중국에서 폐기한 것까지 (케이지를) 수입해서 사용하고 있다"라고 지적했다.

 

기 의원은 "(좁은 데서 사육하니) 진드기를 털어낼 수 없다, 암을 유발하는 살충제까지 혼합해서 막 쓰고 있다"라며 "2개월에 한 번씩 해야 하는데 여름 같은 경우에는 2주에 한 번씩, 계사를 비우지도 않고 (살충제를) 직접 닭들한테 뿌려대니 (닭이) 얼마나 오염돼 있는지, 그리고 달걀이 얼마나 오염돼 있는지 아무도 모른다"라고 우려했다.

 

이에 당시 손문기 식품의약안전품처장은 "달걀 안전관리 종합대책을 마련하겠다"라고 답했지만 말뿐이었다. 생산 단계는 농림수산식품부 소관, 유통 단계는 식약처 소관으로 나뉘어 사각지대가 발생했기 때문이다.

 

이날 문재인 대통령이 이낙연 국무총리에게 "이번 건의 주무부처가 농림축산식품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처로 이원화돼 중복발표가 되는 상황이다, 총리가 범정부적으로 종합 관리해 필요한 조치를 취해달라"고 지시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때문에 이번 사태를 계기로 달걀 등에 대한 관리감독의 일원화가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 힘을 얻고 있다.


태그:#살충제, #달걀, #피프로닐
댓글5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