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서울 수색동이 배경으로 나오는 영화 춘몽.
 서울 수색동이 배경으로 나오는 영화 춘몽.
ⓒ 률 필름

관련사진보기


제21회 부산국제영화제의 개막작인 <춘몽(春夢, 2016 장률 감독)>을 봤다. 다양한 성격의 등장인물들과 사건이 나오지만 영화 전체에 흐르는 드라마틱한 스토리텔링이 없는 독특한 영화로 화면도 무채색의 흑백이다. 서사에 빠져들지 않아서였을까, 주인공들이 살아가는 동네가 시선을 끌었다.

서울시의 서쪽 경계를 이루고 있는 동네 수색동과 경의중앙선 수색역이 영화의 배경이다. 화면 속 수색은 영화 제목처럼 '봄날의 짧은 꿈'같이 보이는 동네였다. 시간이 멈춘 듯, 당장 내일 재개발을 해도 이상하지 않은 분위기의 동네 건너편엔 높다란 마천루 빌딩들이 솟아있는 디지털미디어시티(DMC)가 보였다. 재개발 예정지에 흔한 야경 좋은 달동네 혹은 언덕동네도 없었다.

동네 사이를 잇는 유일한 길, 지하통로

상암동 DMC와 수색동을 이어주는 지하통로.
 상암동 DMC와 수색동을 이어주는 지하통로.
ⓒ 김종성

관련사진보기


장률 감독은 수색이라는 동네를 일컬어 '어제 갔다 와서 오늘 생각하면 그 컬러가 잘 생각나지 않은 곳'이라 했단다. 내겐 어떤 컬러로 비춰질까 궁금했고, 머지않아 재개발로 사라질 동네풍경을 기록하고픈 마음을 안고 서울 6호선 전철 DMC역에 내렸다. 영화에 나온 것처럼 상암동 디지털미디어시티와 수색동을 오가는 지름길이자 이채로운 지하통로가 가까이에 있다. 영화는 철길과 지하터널로 나뉜 수색동과 상암동 DMC의 절묘한 대조를 통해 재개발 지역 원주민들의 애환과 희망을 보여주는 듯했다.

동네와 동네 사이에 이어진 지하터널은 서울에선 보기 드물어서 그런지 통로를 걸어 지나가면서도 무척 비현실적이고 꿈같다는 생각을 하게 했다. 지하통로를 지나가면 전혀 다른 풍경의 동네가 갑자기 나타나니 말이다. 이 지하통로는 길이 188m, 폭 2.9m, 높이 2.1m의 오래된 지하보도다.

1908년 서울과 북한 의주 사이에 생겨난 경의선 철도로 인해 마포구 상암동과 은평구 수색동은 단절됐었다. 이후 1936년 두 지역을 연결하는 이 지하통로가 생겨났다. 꽤 긴 지하터널은 사람이나 자전거가 지나가게 돼있고, 벽화처럼 그려져 있는 그림 가운데 1908년 지어진 아담한 옛 경의선 수색역이 눈길을 끌었다.

옛 수색역 옆에 있었던 역전 이발관이 아직도 남아있다.
 옛 수색역 옆에 있었던 역전 이발관이 아직도 남아있다.
ⓒ 김종성

관련사진보기


옛 이발관 모습이 고스란히 남아있는 수색동 역전 이발관.
 옛 이발관 모습이 고스란히 남아있는 수색동 역전 이발관.
ⓒ 김종성

관련사진보기


<춘몽>이 내가 알고 익숙했던 영화의 규칙을 깨버렸듯, 수색동이란 동네는 도시 서울을 규정했던 것들을 깨버렸다. 이를 테면 "서울, 무엇도 영원한 것 없이 쓰러져 가는 것들로 가득 한 좌충우돌의 도시 - 론리 플래닛(Lonely Planet)" 같은 것 말이다. 놀랍게도 옛 경의선 수색역 바로 옆에 자리하고 있던 이발관이 사라지지 않고 남아 있었다.

이발소도 반가운데 앞에 '역전'이 붙어있어 더욱 반가웠다. 어디 멀리 소읍 여행을 떠나온 것 같은 기분에 이발소 간판 사진을 찍는데, 내 어머니뻘의 가게 안주인 아주머니가 날도 추운데 커피 한 잔하라고 권했다. 문을 살며시 열고 들어서자 잊고 살았던 내 유년시절 풍경이 고스란히 나타났다. 타임머신이 따로 없었다.

부부가 함께 운영하고 있는 40년이 넘었다는 이발소 안은 의자며, 이발 기구, 돈을 보관하는 소리나는 금고 등 옛 모습 그대로였다. 리모델링을 새로 하려다 그냥 두었단다. 난로에 올려놓은 주전자로 끓인 물로 타주신 믹스커피가 유난히 달달했다. 조금 후 나타난 이발사 아저씨가 동네 얘기, 수색역 얘기를 들려주었다. 이발사 노부부의 유일한 고민은 미국유학까지 시켰는데 결혼을 안 하고 일만 하고 있다는 30대의 딸이다.

수색역에 있는 기차들의 쉼터 기지.
 수색역에 있는 기차들의 쉼터 기지.
ⓒ 김종성

관련사진보기


기차구경을 실컷 할 수 있는 수색역 차량기지.
 기차구경을 실컷 할 수 있는 수색역 차량기지.
ⓒ 김종성

관련사진보기


옛날 이 동네는 '무르치(물빛골)'라는 마을이었단다. 한강 하류지역의 이 마을은 장마철만 되면 물이 차올라 마을과 벌판이 온통 물 일색으로 변해버린다고 하여 무르치가 되었고 이를 한자로 표기하여 수색(水色)이 됐다고.

지금은 멀끔한 현대식 전철역으로 바뀐 수색역엔 다른 기차역과 다른 곳이 하나 있다. 무궁화호에서 관광열차 등 갖가지 열차들이 와서 쉬면서 수리나 정비를 받는 차량기지가 있다. 공식명칭은 서울차량사업소다.

덕분에 도시 서울에서 보기 드문 풍경을 자아내어 기차를 좋아하고 사진 찍기를 즐기는 기차 마니아 혹은 '철덕(철도 덕후)'들의 인기 출사지다. 기차는 책 <여행의 기술>을 쓴 알랭 드 보통도 찬미하는 대상이다. 세상의 모든 운송수단 가운데 사색에 가장 도움을 주는 것이며, 풍경을 안달하지 않을 정도로 빠르게 그러면서도 사물을 분간할 수 있을 정도로 느리게 움직여 좋단다.

서울시 미래유산이 된 형제 대장간

서울 미래유산이 된 형제 대장간.
 서울 미래유산이 된 형제 대장간.
ⓒ 김종성

관련사진보기


화덕의 열기에 후끈후끈한 형제 대장간.
 화덕의 열기에 후끈후끈한 형제 대장간.
ⓒ 김종성

관련사진보기


수색역 옆에 있는 '형제 대장간(서울시 은평구 수색로 249)'도 빼놓을 수 없는 수색동의 명물이다. 요즘 같이 추운 초겨울 날씨에도 이곳은 후끈후끈하다. 간판처럼 두 대장장이 형제가 의좋게 화덕 앞에서 무쇠를 달구고 망치질하고 있는 보기드문 대장간. 형님 대장장이는 13살 때부터 대장간 일을 했단다. 1960년대 대장간이 자리한 이 대로변은 별별 대장간들이 많이 늘어선 일종의 대장간 거리였단다.

이제 하나 남은 형제 대장간은 그 끈기와 가치를 인정받아 서울미래유산이 됐다. 게다가 형님(류상준氏) 대장장이 아저씨는 문화재청이 충남 부여에 설립한 한국전통문화대학교에서 문화재수리기능자 양성과정 강의를 하는 객원교수로 나가고 있단다. 50여 년간 대장장이 일에 정진한 세월에 대한 인정과 보상을 받는 것 같아 흐뭇했다.

그런데 뜨거운 화덕 앞에서 웬 20대 청년이 땀을 흘리며 쇠를 열심히 달구고 있었다. 조수로 일하며 대장장이 일을 배우고 있단다. 대장간에 한결 활력이 돌고 쇠를 두드리는 망치 소리가 힘찼다. 말과 행동이 꾸밈이 없고 조금은 거칠었던 <춘몽>의 인물들처럼 수색동은 희노애락이 있는 인간미가 느껴지는 동네지 싶었다.

수색동엔 서울 둘레길 7코스(봉산~앵봉산길)에 나오는 봉산의 초입길이 수색 청구 아파트 뒤로 나있다. 봉산의 길고 부드러운 능선 길은 경기도 고양시 서오릉까지 이어진다. 편안한 봉산능선을 걷다 문득 뒤돌아보니 어느새 수색동이 저 뒤로 보였다. <춘몽>에 나오는 인물들이 불렀던 노래, 산울림의 '창문너머 어렴풋이 옛 생각이 나겠지요'가 떠올랐다.

'그런 슬픈 눈으로 나를 보지 말아요
가버린 날들이지만 잊혀 지진 않을 거예요'

수색동엔 서울둘레길7코스의 초입 봉산 들머리가  나있다.
 수색동엔 서울둘레길7코스의 초입 봉산 들머리가 나있다.
ⓒ 김종성

관련사진보기


덧붙이는 글 | 지난 12월 1일에 다녀왔습니다.
서울시 '내 손안에 서울'에도 송고했습니다.



태그:#춘몽, #수색동, #수색역, #역전이발관, #형제대장간
댓글
이 기사의 좋은기사 원고료 5,000
응원글보기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