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bs1


역사를 배경으로 한 영화들이 최근 빈번하게 제작되고, 흥행에도 좋은 성과를 내고 있다. 하지만 그와 동시에 과거를 보는 시각에서 논란이 되고 있다. 역사란 과거의 사실이지만 그 일부 사실을 현재의 잣대로 편집할 수밖에 없는 과정에서 피치 못하게 왜곡이나 오역의 늪에 빠질 가능성이 다분하다는 것이다.

줄리언 반스의 책 <예감은 틀리지 않는다>에서 주인공 에드워드는 '역사란 과거와 현재의 끊임없는 대화'라는 E.H.카의 명제애 대해 '역사란 부정확한 기억이 불충분한 문서와 만나는 지점에서 빚어지는 확신'이란 해석을 내놓는다. 무엇보다 최근 개봉하는 대부분의 영화가 '과거'를 빌미로 민족 감성에 호소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한데, 과연 근대적 산물인 민족이란 개념을 그것이 탄생하기도 전인 조선시대나 일제강점기를 배경으로 논하는 것이 옳은 일일까. 현재의 민족적 감성을 부추기기 위해 과거를 이용하지 않았느냐는 의문에서 최근 한국 영화들은 그다지 자유롭지 않아 보인다. 그리고 그 질문은 팩츄얼 드라마 <임진왜란 1592> 역시 피해갈 수 없다. 이에 <임진왜란 1592>는 '현답'을 제시한다.

조선의 바다를 지킨 사람들

ⓒ kbs1


<임진왜란 1592> 1회에서 선조는 도읍 한양을 버리고 "곧 돌아오겠다"는 말만 남기고 평양성으로 향했다. 하지만 파죽지세로 몰려드는 왜군에 선조는 다시 평양성을 버린다. 이미 류성룡의 <징비록>을 통해 알려졌듯이 조선의 임금 선조는 조선까지 버리고 강을 건너 중국으로 망명하려 했다. 그래도 자신은 '강국의 그늘에서 거둬질 수 있으니'라며. 그렇게 임금조차 떨어진 짚신짝처럼 버리는 나라. 과연 그 나라를 지킨 사람들은 누구였으며 어떤 마음이었을까.

왜군에 의해 도륙당하는 조선의 바다에 아직 단 한 사람 지지 않은 장수가 있었다. <임진왜란 1592>는 그 한 사람의 장수 이순신에 대해 굳이 설명을 덧대지 않는다. 대신 그가 남긴 '징한' 기록 <난중일기> 속 그의 말을 그대로 옮겨 적는다. 구구절절 부연 설명을 하지 않아도 이순신의 몇 마디 말로 조선의 바다를 지키려는 그의 심정과 마음에 가닿을 수 있다. 그리고 2회, 그런 이순신을 따라 바다로 나간 사람들을 '팩츄얼 드라마' <임진왜란 1592>는 그려낸다.

2회에 등장하는 사람들을 설명하기 위해 드라마는 1회에서 왜군의 칼에 맞아 죽어가는 아들을 짊어진 채 이순신의 군영을 찾은 막둥이 아빠(조재완 분)를 등장시킨다. '군영'이니 당연히 '민간인'을 들일 수 없는 형편이다. 하지만 죽어가는 아들을 등에 짊어진 아버지는 읍소한다. 자신의 아들을 살려달라고. 그런 그를 막아서는 병졸들. 하지만 이순신의 수하 이기남(이철민 분)이 호통을 친다. 죽어가는 아이를 데리고 경상도에서 전라도 좌수영까지 그 먼 길을 찾아온 백성을 여기서 내치면 죽으라는 이야기밖에 더 되겠냐며. 그리고 그런 이기남의 군율에 어긋난 행동을 이순신은 모른 척한다. 하지만 죽어가는 아이는 이기남이 보기에도 어쩔 수 없었다.

그리고 귀선(鬼船), 즉 거북선의 첫 출정. 이순신과 좌수영의 야심작이지만, 검증되지 않은 배는 홀로 전장의 선봉에 서야만 했다. 죽음을 각오한 이기남이 귀선의 격군들에게 이 출정이 '죽을 자리'일 수도 있음을 알리고 살길을 터놓는다. 그때, 격군이 아닌 막둥이 아빠가 귀선에 뛰어들어와 노를 잡겠다고 승강이를 벌인다. 이미 아이는 죽어버린 상황, 아내 역시 일찍이 왜군의 손에 죽임을 당한 그에게 귀선에 노를 젓는 일은 곧 자신의 아내와 자식을 죽인 왜군과 싸우는 일이었다. 막둥이 아빠가 그러자, 또 다른 격군이 말한다. 나는 어머니가 죽었다고, 그러자 또 다른 격군이 받는다. 나는 동생이, 그렇게 귀선의 격군들은, 자신의 가족을 죽인 왜군을 향한 복수의 마음으로 자신의 손을 노에 묶는다.

어설픈 민족주의 이데올로기 대신

ⓒ kbs1


바로 이 지점이다. 어설픈 민족주의 사관은 이순신을 '민족'의 영웅이라 칭송하고, 그와 그를 따라 전장으로 나갔던 이들을 '민족'이란 테두리로 묶어 세우려 한다. <임진왜란 1592>는 그날 전장의 그들을 묶어낸 것은 다름 아닌 내 사람들을 잃은 그 '울분'이며, '통한'이라고 말한다. 임금조차 버린 나라에서, 낫지 않은 상처를 무릅쓰고 지지 않고 싸우려는 이순신은 바로 그들이 '조선'이라 일갈한다. 그들이 죽지 않아야, 죽지 않고 이겨 살아서 돌아와야 조선이 살 수 있다고 덧붙인다.

'나라님'이 버린 조선 바다에서 이순신과 그의 군사들은 7년 동안 단 한 번도 지지 않는다. 그 가운데 도륙된 육지를 지키려 의병들이 나섰다. 신분제 사회인 조선, 늘 양반에게 빼앗기기 바빴던 백성들이 스스로 자신의 땅과 사람들을 지키겠다고 떨쳐 일어섰다. 역사는 양반을 중심으로 의병의 활동을 기록하지만, 그 지도자들을 따라 목숨을 바쳤던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이다. 바로 <임진왜란 1592>에서 그리고 있는 '그들'. 그 의병들의 마음을 드라마는 그리고 있다.

1회에서 '제아무리 망해가는 나라라도 제대로 된 지도자가 한 사람이라도 있으면 상황이 어떻게 역전될 수 있는가를 이순신을 통해 보여줬다면 2회에서는 그 한 사람의 지도자를 뒷받침해주는 사람들의 헌신을 고스란히 담아낸다. 이순신의 전과가 커질수록, 그를 상대하는 왜군의 규모도 나날이 커져만 간다.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일곱 장수 중 한 사람인 와키자카 야스하루는 111척의 배를 이끌고 이순신을 향해 온다. 그런 왜군에 대항해 싸우는 이순신의 배는 불과 26척이다.

1회서 양측의 전술과 무기 배치를 통해 이순신의 승전을 재해석해냈던 <임진왜란 1592>는 2회서도 그 '사실'의 진가를 유감없이 발휘한다. 와키자카 야스하루의 기습, 아직 전열이 다듬어지지 않은 조선 수군, 선봉장인 귀선과 이기남을 비롯한 귀선의 군사와 격군들... 이들은 자신들의 귀환이 여의치 않음을 직감한다. 하지만 주먹질을 할 정도로 강한 의지를 보였던 이기남 장군의 저돌성은 군사들을 독려한다. 하지만 제아무리 철심과 단단한 송판으로 무장했다 해도 왜군들이 쏘아대는 조총의 물량 공세에 결국 귀선의 이기남을 비롯한 다수는 목숨을 잃고 만다.

그렇게 귀선이 목숨을 던져 '시간'을 벌어주는 사이, 그 뒤를 이순신이 뒤따른다. 26척의 불리한 조건을 이겨내기 위해, 이순신의 대장선은 불과 50보를 두고 첫 포성을 울린다. 와키자카 야스하루는 포를 장전하는 사이, 왜군의 전략인 '키리코미' (배에 올라타 칼로 사람을 베어 죽이는 전술) 명령을 내린다. 이미 함포 사격 연습에서 일본의 키리코미에 이길 수 없음이 드러난 상황, 바로 그때 이순신은 배를 돌리고, 반대편에 장전되어 있던 함포로 포격한다. 그 지점에서 불과 26척의 배로 학익진을 만든 전략이 가장 절묘하게 진가를 발휘한다. 와키자카 야스하루는 59척을 배를 잃고 대패하고 만다.

드라마는 승전보의 팡파르 대신, 이순신이 그의 <난중일기>에 남긴 죽어간 병사들의 모습과 이름을 차례로 보여준다. 순천에서 온 이기남을 비롯해 막둥이 아빠, 박개춘, 조언부, 그리고 노비들까지. 이순신은 장계에 자신의 이름은 뺀 채 그들의 이름을 기록해 승전이 그들로 인해 가능했음을 적어 조정에 올린다. 드라마 또한 조선의 바다에 있던 '그들'을 이순신 장군의 장계처럼 증명해낸다. 나라님도 버린 나라를 지킨 민초들, 나라의 진짜 주인들을.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이정희 시민기자의 개인 블로그(http://5252-jh.tistory.com)와 <미디어스>에도 함께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임진왜란 1592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2016년부터 오마이뉴스에서 근무하고 있습니다. 팟캐스트 '말하는 몸'을 만들고, 동명의 책을 함께 썼어요. 제보는 이메일 (alreadyblues@gmail.com)로 주시면 끝까지 읽어보겠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