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광주 양림동 펭귄마을 입구. 건물 벽에 펭귄을 그려놓고, 가스통과 소화기를 이용해 펭귄 모형을 만들어 놓았다.
 광주 양림동 펭귄마을 입구. 건물 벽에 펭귄을 그려놓고, 가스통과 소화기를 이용해 펭귄 모형을 만들어 놓았다.
ⓒ 이돈삼

관련사진보기


참 이상한 마을이다. 도심 한가운데에 펭귄마을이라니. 실제 아무리 둘러봐도 펭귄은 한 마리도 보이지 않는다. 골목이 색다를 뿐이다. 일상에서 쓰던 벽시계부터 기타, 액자, 절구통까지 오래된 생활용품으로 골목을 꾸며 놓았다. 친숙한 시구도 내걸려 있다.

'빛고을' 광주의 남구 양림동 '펭귄마을' 이야기다. 광주천변과 접해 있는 오래된 마을이다. 집들도 대부분 낡았다. 옛 도심의 전형이다. 근대와 현대의 역사문화가 함께 살아있는 마을이다. 일찍이 외국인 선교사들이 들어온 덕이다.

선교사 유진 벨이 세운 교회가 양림교회다. 1904년이었다. 광주 최초의 교회다. 오웬기념각은 선교사로 살다 순교한 오웬을 기념하는 건축물이다. 선교사 윌슨 사택은 광주에서 가장 오래된 서양식 주택이다. 윌슨은 양림동에서 고아원을 운영했다. 100년을 훌쩍 넘은 이장우 가옥도 양림동에 있다.

광주 양림동에 있는 선교사 윌슨 사택. 광주에서 가장 오래된 서양식 주택이다.
 광주 양림동에 있는 선교사 윌슨 사택. 광주에서 가장 오래된 서양식 주택이다.
ⓒ 이돈삼

관련사진보기


광주 양림동 펭귄마을 만남의 광장 풍경. 펭귄주막 앞에 있다. 주민들의 만남의 공간이다.
 광주 양림동 펭귄마을 만남의 광장 풍경. 펭귄주막 앞에 있다. 주민들의 만남의 공간이다.
ⓒ 이돈삼

관련사진보기


"3년 전이죠. 화재로 한 집에 불이 났어요. 다 타버렸죠. 그 자리에 쓰레기들이 쌓여 갈수록 흉물로 변해서 눈살을 찌푸리게 했죠. 그 쓰레기를 치우고, 안 쓰는 생활용품을 가져다가 '텃밭 정원'으로 꾸민 게 펭귄마을의 시작이었어요. 이춘대·김동균 어르신이 앞장서고, 주민들이 거들었죠."

양림동에 있는 515갤러리 이승찬 대표의 말이다.

마을 이름이 '펭귄'이 된 것도 재밌다. 텃밭 정원을 꾸민 주민들의 걸음걸이에서 따 왔다. 나이 든 주민들의 걸음걸이가 갓 걸음마를 시작한 어린아이처럼 뒤뚱거린 데서 비롯됐다. 오래된 관절염이나 허리 통증 탓이었다.

언뜻 펭귄의 걸음걸이와 흡사했다. 주민들이 꾸민 텃밭 정원이 '펭귄정원'이 되고, 마을 이름이 펭귄마을로 불리게 된 이유다. 주민 모두가 펭귄이고, 그 펭귄이 사는 마을인 셈이다.

펭귄마을에는 실제 펭귄은 없지만, 펭귄을 만난 것보다도 훨씬 더 재미를 선사한다. 볼거리가 골골마다 널려 있다. 집에서 안 쓰는 벽시계와 손목시계가 벽에 걸려 있다. 시간이 맞는 건 하나도 없다. 고장 난 것들이 모여서 더 정감이 넘친다.

펭귄마을의 출발점이 된 펭귄텃밭. 쓰레기더미에서 소소한 볼거리로 가득 찬 정원이 됐다.
 펭귄마을의 출발점이 된 펭귄텃밭. 쓰레기더미에서 소소한 볼거리로 가득 찬 정원이 됐다.
ⓒ 이돈삼

관련사진보기


양림동 펭귄마을 촌장을 맡고 있는 김동균 씨. 펭귄텃밭을 일군 당사자다.
 양림동 펭귄마을 촌장을 맡고 있는 김동균 씨. 펭귄텃밭을 일군 당사자다.
ⓒ 이돈삼

관련사진보기


"쓰레기가 어마어마했어요. 그것을 치우느라 얼마나 애를 먹었는지 몰라요. 스무 날은 치운 것 같아요. 그걸 치우고 보니, 땅이 나왔어요. 거기에 야채를 심었죠. 나눠 먹으려고요. 집에서 안 쓰는 물건을 가져와서 꾸미기도 하고요. 이쁘게 해놨더니 좋더라고요. 사람들이 쓰레기도 안 버리고요."

쓰레기더미 쌓인 빈 터를 텃밭으로 만든 김동균(63) 펭귄마을 촌장의 말이다. 골목과 마을이 깔끔해진 것을 본 김씨는 흐뭇했다.

"이웃사람들이 이쁘네, 잘했네 하시는 거예요. 저도 기분 좋았죠. 더 잘하고 싶어지고요. 그래서 폐품을 가져다가 더 꾸몄죠. 이웃들도 집에서 안 쓰는 물건들을 가져다주고요. 혼자였으면 못했겠죠. 주민들이 칭찬해 주고, 거들고, 도와줘서 가능했죠. 우리 마을 사람들이 같이 만든 거예요. 지금도 계속하고 있고요."

김 촌장의 말에서 자부심과 겸손함이 함께 묻어난다.

펭귄마을 주민들이 펭귄주막 앞에 모여서 얘기를 나누고 있다. 광주 양림동 펭귄마을의 꽃, 펭귄들이다.
 펭귄마을 주민들이 펭귄주막 앞에 모여서 얘기를 나누고 있다. 광주 양림동 펭귄마을의 꽃, 펭귄들이다.
ⓒ 이돈삼

관련사진보기


펭귄마을 펭귄주막 앞 풍경. 마을주민들의 만남의 공간이다.
 펭귄마을 펭귄주막 앞 풍경. 마을주민들의 만남의 공간이다.
ⓒ 이돈삼

관련사진보기


펭귄주막 앞 마당에는 예닐곱 명의 주민들이 모여 있다. 마을주민들의 만남의 장소다. 주막에서는 주민 서너 명이 술잔을 기울이고 있다. 주막 앞 골목에는 네댓 명이 둘러앉아 이야기꽃을 피우고 있다. 전형적인 마을 골목 풍경이다. 다른 게 있다면, 펭귄을 닮은 주민들이라는 것이다.

주막에도 수십 개의 양철냄비가 대롱대롱 매달려 있다. 소소한 전시품이다. 간판 위에는 '술은 취하지 않는다, 다만 몸이 흔들릴 뿐'이라고 씌어 있다. '유행 따라 살지 말고, 형편 따라 살자' '겨울 멋쟁이 얼어 죽고, 여름 멋쟁이 더워 죽는다'는 말도 가슴에 와 닿는다. 반듯하지 않지만, 투박해서 더 정감 넘치는 글귀들이다.

크고 작은 액자와 사진들도 장식품으로 내걸려 있다. 시인의 시구도 군데군데 걸려있다. 시를 적어놓은 것도 반듯한 판넬이 아니다. 옛 집에서 나온 창틀이나 천을 활용했다. 이름 하여 시시(詩詩)한 골목이다.

펭귄마을 골목 풍경. 소소한 볼거리들을 배경으로 방문객들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6월 23일 오후 해질 무렵이다.
 펭귄마을 골목 풍경. 소소한 볼거리들을 배경으로 방문객들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6월 23일 오후 해질 무렵이다.
ⓒ 이돈삼

관련사진보기


광주 양림동 펭귄마을 풍경. 주민들의 손때 묻은 오래된 용품들이 골목마다 줄지어 있다.
 광주 양림동 펭귄마을 풍경. 주민들의 손때 묻은 오래된 용품들이 골목마다 줄지어 있다.
ⓒ 이돈삼

관련사진보기


세월의 무게를 이기지 못하고 금이 간 담벼락에는 포도 넝쿨이 그려졌다. 기다란 넝쿨을 그려서 금이 간 흔적을 자연스럽게 지웠다. 아기자기한 작품들은 마을에 있는 초등학교 학생들의 체험 결과물이다. 방문객들의 공예체험 작품도 벽에 걸려 있다. 펭귄 그림은 대학생들의 재능 기부로 그려졌다.

골목에다 마을의 잡동사니를 다 모아놓은 것 같다. 주민들의 손때 묻은 오래된 물건들로 알락달락하다. 그래도 제법 질서가 묻어난다. 눈에 거슬리지 않는다. 이색적인 볼거리가 즐비한 골목박물관을 연상케 한다.

광주 양림동 펭귄마을 골목. 오래된 집의 창틀까지도 전시물품으로 활용되고 있다.
 광주 양림동 펭귄마을 골목. 오래된 집의 창틀까지도 전시물품으로 활용되고 있다.
ⓒ 이돈삼

관련사진보기


양림동 펭귄마을의 전시 작품. 방문객과 주민, 학생들의 체험공예 작품이 골목 벽에 걸려 있다.
 양림동 펭귄마을의 전시 작품. 방문객과 주민, 학생들의 체험공예 작품이 골목 벽에 걸려 있다.
ⓒ 이돈삼

관련사진보기


입소문을 들은 젊은이들이 많이 찾아온다. 광주를 찾는 외지인들의 발길도 이어지고 있다. 주민들은 찾아오는 젊은이들을 위해 띠기(달고나), 꽈배기 등 먹을거리와 비눗방울 풍선놀이 등 추억의 체험거리도 골목에 만들어 놓았다.

마을주민들이 오래되고 낡은 용품으로 직접 꾸며서 정겨운 펭귄마을이다. 사라져가는 골목길 문화를 되살려서 더 정감 넘치는 마을이다. 주민들의 일상과 정서가 예술과 버무려져서 더 아름다운 마을이다. 양림동 펭귄마을이 빛고을 광주의 새 명소로 자리잡고 있다.

광주 양림동 펭귄마을 풍경. 6월 23일 오후 펭귄마을을 찾은 방문객들이 골목길 화단에서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광주 양림동 펭귄마을 풍경. 6월 23일 오후 펭귄마을을 찾은 방문객들이 골목길 화단에서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 이돈삼

관련사진보기




태그:#펭귄마을, #양림동, #김동균, #광주근대역사문화마을, #우월순사택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해찰이 일상이고, 일상이 해찰인 삶을 살고 있습니다. 전남도청에서 홍보 업무를 맡고 있고요.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