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는 27일 오후 1시 30분쯤 <오마이뉴스>에서 지난 3월 17일 만든 '국회의원 정치자금 사용총액 상위 20위'라는 웹문서(031702.html)을 파일명만 바꿔(031702_0527.html) 바꿔 카카오톡 대화방에서 공유했다. 그러자 약 1시간 뒤인 오후 2시 30분쯤 다음 검색에 이 웹문서가 검색됐다.
 <오마이뉴스>는 27일 오후 1시 30분쯤 <오마이뉴스>에서 지난 3월 17일 만든 '국회의원 정치자금 사용총액 상위 20위'라는 웹문서(031702.html)을 파일명만 바꿔(031702_0527.html) 바꿔 카카오톡 대화방에서 공유했다. 그러자 약 1시간 뒤인 오후 2시 30분쯤 다음 검색에 이 웹문서가 검색됐다.
ⓒ 오마이뉴스

관련사진보기


카카오가 2일 카카오톡 공유 웹문서(URL) 다음 검색 노출에 대해 공식 사과했다. 지난달 27일 <오마이뉴스> 첫 보도 직후 사실을 인정하고 다음 검색 연동을 중단한 지 6일만이다.(관련기사: "카톡에 링크했을 뿐인데", 1시간만에 다음검색 노출)

카카오는 이날 오전 자사 블로그에 발표한 사과문에서 "저희는 2016년 1월부터 카카오톡 'URL 미리보기'를 위해 수집된 웹페이지 주소 중 검색이 허용된 웹주소들을 다음 웹검색에 연동해 왔다"면서 "검색 결과의 품질을 높이기 위해서였다"고 해명했다.

카카오 "검색 결과 품질 높이려... 서비스점검위원회 만들 것"

'크롤러(웹문서 수집 로봇 프로그램)'가 인터넷을 돌아다니면서 웹문서를 수집하려면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한데 카카오톡 대화방에서 URL을 제공받으면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더 많은 웹문서를 확보해 검색 품질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하지만 카카오는 "카카오톡 대화나 이용자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웹주소만 사용하는 것이어서 문제라고 미처 생각하지 못했다"면서 "원래 검색을 목적으로 추출된 정보가 아니기 때문에 검색 연동 자체가 잘못된 결정이었음을 깨달았다"고 거듭 사과했다.

다만 "5월 27일 한 언론(<오마이뉴스>)의 보도로 문제를 인지한 직후, 카카오톡으로 공유된 웹주소와 다음 검색 연동을 바로 중단했고 활용된 URL은 모두 검색에서 삭제했다"고 밝혔다.

또 카카오는 이번 일을 계기로 임지훈 카카오 대표가 위원장을 맡는 서비스 점검 위원회를 만들고 외부 전문가들 검증을 받는 한편, 카카오톡으로 공유한 웹주소가 다음 검색에 공개됐는지 이용자들이 확인할 수 있는 절차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공개된 URL'에 포함된 사진-연락처는 개인 정보 아니다?

카카오의 공식 사과에도 여전히 의문은 남는다. 카카오가 사적인 대화 내용 가운데 수집한 웹문서(URL)를 '개인 정보'로 볼 수 있는지와, 이용자가 대화 상대방하고만 공유하길 원하는 사적인 웹문서까지 '검색이 허용된 공개된 URL'이라는 이유로 검색에 바로 노출해도 되는지다. 이는 앞으로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정보통신망법)과 통신비밀보호법 위반 여부와 피해자 손해배상 여부를 판단하는 중요한 잣대가 될 수 있다.

카카오는 이날 이용자들이 카카오톡 대화방에 공유한 URL을 허락 받지 않고 다음 검색에 연동한 '행위'를 사과했을 뿐, 그로 인해 발생한 '프라이버시 침해'는 인정하지 않았다.

카카오 관계자는 이날 <오마이뉴스> 전화 통화에서 "카카오톡에서 수집한 URL에 개인 식별 정보는 포함되지 않아 '개인 정보'로 볼 수 없다"면서 관련 법 위반 사실을 부인했다. 아울러 다음 검색에 노출된 웹문서에 담긴 주소록, 연락처, 사진, 동영상 등 개인 정보에 대해서도 "검색이 허용된 공개된 URL이기 때문에 문제 없다"는 입장이다.

카카오는 이날 사과문과 함께 발표한 '기술리포트'에서 지난해 6월부터 도입한 카카오톡 URL 미리보기 기능과 지난 1월부터 진행된 URL 다음 검색 연동 과정을 설명했다.

카카오가 2일 블로그에 공개한 카카오톡 메시지 URL 미리보기 기능 구현 과정. 카카오는 URL 정보를 메시지 서버와 분리된 API 서버에서 처리해 개인정보와 무관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카카오가 2일 블로그에 공개한 카카오톡 메시지 URL 미리보기 기능 구현 과정. 카카오는 URL 정보를 메시지 서버와 분리된 API 서버에서 처리해 개인정보와 무관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 카카오

관련사진보기


카카오는 카카오톡 서버가 메시지를 주고받는 '메시징 서버'와, 친구 목록 등 다른 기능을 담당하는 'API 서버'로 분리돼 있고, 이번에 문제가 된 'URL 미리보기' 기능은 이용자 스마트폰과 PC에 깔린 카톡 앱과 'API 서버', 카카오 공통 플랫폼인 '스크랩 서버'간 연동으로 구현돼 '메시징 서버'와는 무관하다고 주장했다.

이용자간 대화 내용 가운데 'URL'만 따로 분리해 'API 서버'에 전송하는데, 이 과정에서 필터링을 통해 '대중적으로 사용하는 클라우드/노트 같은 개인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서비스'는 카톡 앱에 오류 메시지와 함께 미리보기 말풍선도 나타나지 않게 하고, '스팸이나 불법, 악성 URL'은 '경고 메시지'를 띄운다고 밝혔다.

미리 개발자가 지정한 알고리즘에 따른 기계적 행위라고 해도 이용자 관점에선 자신의 대화 내용이 누군가에게 감시받고 있다는 인상을 줄 수 있다.

또 카카오는 API 서버를 통과한 URL만 스크랩 서버를 거쳐 다음 검색과 연동되기 때문에 드롭박스나 네이버 클라우드, 구글 드라이브처럼 개인간 파일 공유에 활용되는 클라우드 서비스는 다음 검색에 노출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카카오 "공개 원치 않는 URL 포함 가능성 생각 못해"... 방통위 조사 검토
카카오가 2일 블로그에 카카오톡에서 수집한 URL을 다음 웹 검색 결과에 반영하는 과정을 소개했다.
 카카오가 2일 블로그에 카카오톡에서 수집한 URL을 다음 웹 검색 결과에 반영하는 과정을 소개했다.
ⓒ 카카오

관련사진보기


하지만 마이크로소프트 클라우드 서비스 '원드라이브'의 경우 한 단톡방(카카오톡 단체 채팅방)에서 링크를 공유한 뒤 다음 웹검색에 노출된 사실이 이미 드러났다. 이에 카카오는 "필터링 패턴은 담당자들이 수동으로 관리하기 때문에 목록이 완벽하지 않을 수 있다"면서 "원드라이브는 단순 실수로 누락된 것"이라고 밝혔다. '원드라이브'뿐 아니라 제대로 걸러지지 않은 미공개 URL들도 포함됐을 가능성이 있는 셈이다.

아울러 카카오는 다음 웹검색 크롤러인 Daum, Daumoa는 robots.txt 파일로 검색 로봇을 제한하는 사이트는 수집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검색로봇을 차단하지 않은 '원드라이브 공유 파일'이나 개인-기업 웹사이트 내부에 있는 '미공개 웹문서'라도 '공개된 URL'에 해당한다는 것이다.

카카오는 "카카오톡과 검색을 직접 연동하지 않았고, 개인 정보 없이 URL 만을 이용했으며, 로봇 규약을 준수하면서 검색이 허용된 문서를 수집했기 때문에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판단했다"면서도 "그러나 검색을 목적으로 추출한 정보가 아니기 때문에 공개를 의도하지 않은 웹문서의 URL이 포함될 가능성을 깊이 생각하지 못했다"고 스스로 잘못을 스스로 인정했다. 이제 남은 건 그 잘못된 결정에 따른 책임을 지고 피해를 보상하는 일이다.

앞서 녹색소비자연대는 1일 성명에서 "정보통신망에서 처리·보관·전송되는 타인의 정보를 침해·도용·누설하는 행위를 금지하는 정보통신망법 및 '통신비밀보호법 규정을 위반한 사안"이라며 미래부와 방통위 조사를 촉구했다. 카카오톡에 공유한 URL도 수집이나 공개가 금지된 대화 내용에 해당하기 때문에 '공개된 URL' 여부는 큰 의미가 없다는 것이다.

방통위와 미래부는 2일 오후 카카오 관계자를 불러 사건 경위 파악을 한 뒤 조사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방통위 관계자는 "카카오톡 URL 유출이 '개인정보 유출'에 해당하면 방통위에서, 통신비밀보호법상 금지된 '사생활 침해'에 해당한다면 미래부에서 조사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카카오톡 URL 무단 노출 파문 관련 기사]
[첫 보도] "카톡에 링크했을 뿐인데", 1시간만에 다음검색 노출
[보도 후] 카카오톡 웹문서 수집 인정 "다음 검색 연동 중단"
[녹색소비자연대 성명] 카카오톡 URL 무단수집 파문 확산 "프라이버시 침해"



태그:#카카오톡, #카카오, #URL 수집, #다음검색
댓글2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사회부에서 팩트체크를 맡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