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정일영 인천공항공사 사장 취임, '책임 막중'

정일영 인천국제공항공사 제7대 사장.
 정일영 인천국제공항공사 제7대 사장.
ⓒ 인천국제공항공사

관련사진보기

인천국제공항공사(아래 공사) 7대 사장에 정일영 전 교통안전공단 이사장이 임됐다. 정 신임 사장은 낙마한 전력이 있는 데다 '관피아' 논란이 일어 당초 재공모 가능성이 점쳐졌지만, 정부는 리더십 공백을 줄이기 위해 서둘러 인사를 마무리했다.

이는 올해 초 인천공항에서 발생한 '수하물 대란'과 인천공항출입국관리사무소가 관리하는 CIQ 지역에서 두 차례 보안이 뚫리며 발생한 밀입국 사고를 조기에 수습하려는 정부 의지로 풀이된다. 참고로 CIQ란 세관(Customs), 출입국관리(Immigration), 검역(Quarantine)의 약칭으로, 출입국 때 반드시 거쳐야하는 3대 수속이다.

지난 2일 취임한 정 사장은 충남 보령 출신으로 연세대 경영학과를 나와 행정고시 23회(1979년)로 공직에 입문했다. 그 뒤 국토교통부 국제항공협력관, 국제민간 항공기구 대표부 참사관, 항공철도국장, 항공정책실장 등을 지낸 뒤 교통안전공단 이사장을 역임했다.

올해 초 수하물 대란과 밀입국 사고가 발생하면서 세계 공항서비스 평가 '10년 연속 1위'에 가려진 인천공항의 이면이 드러났다. 정부가 서둘러 사장 선임을 마무리한 것은 이를 조기에 수습하려는 포석으로 풀이된다. 그만큼 정 신임 사장의 책임이 막중하다.

첫 번째 숙제는 '제2여객터미널 조기 완공'

정부는 수하물 대란의 결정적인 원인이 제어장치의 오류와 사고 초기 현장대응 미흡이라고 했지만, 여객처리능력을 초과한 과부하 탓이 크다. 인천공항의 여객처리능력은 4400만 명인데, 지난해 528만 명을 초과했다. 이는 제2여객터미널 준공이 2015년에서 2017년으로 지연됐기 때문이다.

또한 인천공항의 환승률은 2013년 18.7%에서 지난해 15.2%로 3.5%포인트 떨어졌다. 여객처리 규모도 세계 공항 20위권 밖이다. 2000년 김포공항보다 아래에 있던 중국·홍콩·말레이시아·싱가포르·태국 등 동아시아의 경쟁 공항이 인프라 투자를 확대하며 인천공항을 앞질렀다.

아울러 인천공항의 국제선 출발 편 기준 '항공기 정비 불량으로 인한 결항률'은 2010년 8.3%에서 2014년 17.8%, 2015년 1분기에는 26.1%로 상승했다. 인천공항은 국적 항공사에만 엔진정비와 부품정비 이상의 중정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항공 안전에 빨간불이 켜졌다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이처럼 서비스평가 1위 이면에는 불편한 진실들이 가려져 있었다. 수하물 대란, 정비 불량으로 인한 결항률 상승, 환승률 하락 등은 제2여객터미널 준공 지연과 항공정비단지 부재와 같은 '적기 인프라 투자 실종'에서 비롯됐다.

그리고 이 적기 인프라 투자 실종은 공사의 리더십 부재가 큰 원인이다. 2014년 10월에 임기 3년을 다 채우겠다며 취임한 박완수 전 사장은 올해 20대 국회의원선거 출마를 이유로 지난해 12월 사퇴했다. 취임 1년 2개월 만이다.

또, 박 전 사장에 앞서 2013년 6월 취임한 정창수 전 사장 또한 강원도지사 선거 출마를 이유로 2014년 3월 사퇴했다. 취임 후 1년도 채 안 된 때였다. 이 같은 '낙하산' 사장 임명과 사퇴의 반복은 '공사의 리더십 부재와 적기 투자 실종'을 불러왔다.

이 때문에 이번 7대 사장 공모를 앞두고 '정부는 낙하산 인사를 중단하고, 인천공항을 세계 최고의 공항으로 키울 전문성과 결단력을 겸비한 전문가를 선임해야한다'는 목소리가 높았다.

최정철 인하대학교 교수는 "정부는, 인천공항이 적기에 공항 인프라 투자를 단행할 수 있게 공기업의 독립성을 보장하고 재정을 지원해야한다"고 지적한 뒤 "신임 사장은 늦춰진 3단계 공사를 가급적 2017년 상반기로 앞당기고, 2018년에 다시 여객처리능력 포화가 우려되는 만큼 정부를 설득해 4단계 착공 시기를 매듭지어야한다"고 말했다.

'산학융합지구' 조성으로 항공산업 키워야

인천공항의 여객처리능력을 4400만명에서 6200만명으로 확대하는 제3단계 공사(=제2여객터미널과 진입로 공사)의 2015년 12월말 기준 공정률은 47.2%를 기록했다.
▲ 인천공항 제2여객터미널 인천공항의 여객처리능력을 4400만명에서 6200만명으로 확대하는 제3단계 공사(=제2여객터미널과 진입로 공사)의 2015년 12월말 기준 공정률은 47.2%를 기록했다.
ⓒ 사진출처 인천국제공항공사

관련사진보기


수하물 대란보다 더 인천공항의 안전을 위협하는 문제는 '항공기 정비 불량으로 인한 결항률 상승'이다. 이를 해결하려면 공항에 항공정비단지를 조성해야하는데, 이는 공사가 단지만 조성한다고 되는 일이 아니다.

현재 인천공항은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등 국적 항공사에만 중정비 이상의 정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인천공항이 동북아 허브공항의 지위를 선점하려면, 항공정비단지를 조성한 뒤 해외 정비업체와 엔진제조업체를 유치해 외국 항공사로 중정비 서비스를 확대해야한다. 이를 위해 인천시와 공사 간 투자유치 공조가 필요하다.

또한 공항 명칭 표기를 서울인천국제공항에서 인천인천국제공항으로 바꾸는 일, 선진국처럼 지방자치단체가 공사 지분을 확보해 항공정책 수립 시 인천시가 지역의 산업구조를 고도화하는 방안을 꾀할 수 있는 일 등이 필요하다.

특히, 인천시는 차세대 고부가가치로 각광 받는 항공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항공 산업 산학융합지구를 조성하고, 공항 배후단지에 전시·판매·조립·가공·유통이 가능한 물류산업단지를 조성하고자 하는데, 이는 공사와 매우 관련이 깊다.

하지만 공사가 독자성을 갖지 못해 협력 사업을 펼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지난해 인하대학교가 나사(NASA, 미국 항공우주국)와 송도에 공동연구소를 설립하기로 하면서 기대를 모았지만, 여기에 공사의 참여는 사장 부재로 인해 확답을 받지 못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올해 2월 '2차 산학융합지구 지정' 공모를 공고할 예정이고, 인천시는 응모할 계획이다.

이 사업은 인천경제자유구역에 산학융합지구를 조성해 현재 운송산업과 공항상업에 머물고 있는 인천의 항공 산업을 항공정비 산업, 드론(무인항공기) 산업, 항공기부품 산업, 항공물류 산업 등, 고부가가치 산업구조로 고도화하는 게 골자다.

구체적 방안을 보면, 송도 지식정보단지에 있는 인하대 교육연구 부지 1만 6417㎡에 5년간 785억 원(국비 120억 원, 시비 45억 원, 민간자본 620억 원)을 투입해 인천만의 특화된 항공 산업 산학융합지구를 조성하는 것이다.

인하대는 120억 원을 투자해 항공우주 산업 분야 캠퍼스를 짓고, 산학융합지구 선정 시 인천시는 국비(120억 원)와 민간자본을 유치해 산학융합원(가칭)을 짓는 것이다.

하지만 한 쪽 날개인 공사의 투자가 확정되지 않아, 인천시는 애를 먹었다. 인천시는 공사에 신임 사장이 부임한 만큼 약 300억 원 이상 투자를 기대하고 있다.

물류단지도 포화상태, 국토부·공사·인천시 머리 맞대야

인천공항공사는 국토교통부 산하 공기업이다 보니, 국내 항공산업을 육성하려면 인천시와 공사만의 협력으론 한계가 있다. 국토부까지 머리를 맞대고 상생방안을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인천공항은 여객처리능력만 포화에 이른 게 아니다. 인천공항 물류단지 또한 포화에 직면했다. 즉, 적기 인프라 투자 실종이라는 정책 실패를 반복하지 않으려면 제2여객터미널 개장에 맞춰 물류단지를 공급해야하는 데, 이를 위해선 3자 간 협력이 절실하다.

국토부는 지난달 28일 열린 '제5차(2016~2020년) 공항개발 중장기 종합계획' 공청회 때, 오는 11월까지 인천공항 3단계 배후물류단지 확보방안을 마련하고, 올해 하반기 안에 직구(직접 구매)·직구 공동물류센터 등, 전자상거래 항공물류 활성화방안을 수립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지난 2005년 자유무역지대로 지정된 인천공항 1단계 물류단지(99만 2000㎡)는 개발이 끝났고, 현재 입주율은 약 90%다. 2단계는 2013년부터 시작해 전체 부지 93만㎡ 중 56만㎡ 를 개발했고, 지난해 말 기준 입주율 77.3%를 기록했다.

인천공항 배후물류단지가 포화상태에 이른 것은 반도체업체 스태츠칩팩코리아(STATS)가 입주하면서부터다. 스태츠칩팩코리아는 2013년 1단계 부지에 입주해 현재 제1공장을 운영 중이고, 지난해 8월 '2단계 부지에 2공장 증설'을 발표했다.

스태츠칩팩코리아가 1·2단계 배후물류단지의 상당량을 차지하고 있으며, 공사는 2단계 미개발지 중 유보 면적 27만7000㎡를 제외한 9만3000㎡(3만 평)을 개발해 2년 후 추가로 공급할 예정이다.

배후물류단지 부족 사태가 우려되자, 국토부는 지난해 말 인천시에 3단계 물류단지 확보방안을 요청했고, 현재 시와 국토부, 공사는 3단계 물류단지 확보방안을 놓고 협의를 진행 중이다. 쟁점은 천문학적인 부지 확보 비용이다. 3자는 부담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찾고 있다.

시는 3단계 배후부지로 영종하늘도시 유보지인 옛 밀라노디자인시티(약 100만 평) 일부를 염두에 두고 있다. 국토부가 인천시의 영종하늘도시 유보지 현물출자를 승인하면, 공사는 배후부지 확보가 수월해지고, 시는 인천공항 지분 3%를 확보할 수 있는 '상생'의 길이 열리는 것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정부가 3단계 물류단지로 밀라노디자인시티를 사용하면, 인천시는 자연스럽게 공사 지분을 확보하게 돼 향후 공사와 다방면에서 유기적인 협력이 가능하다, 산학융합지구와 항공정비단지 조성으로 경제자유구역 송도와 영종도를 항공 산업의 메카로 육성해야한다"고 말했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시사인천>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태그:#인천국제공항, #인천국제공항공사, #국토교통부, #인천시, #정일영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