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렵고 무서운 질문을 던지는 영화 <암살>

두렵고 무서운 질문을 던지는 영화 <암살> ⓒ 케이퍼필름


* 이 기사에는 영화의 주요 내용이 포함돼 있습니다.

검은 아스팔트는 물론, 짙푸른 하늘까지 펄펄 끓는 2015년 여름. 그 열기보다 뜨겁게 달아오른 것이 있으니 바로 최동훈 연출의 영화 <암살>이다. 인구 5천만 명의 나라에서 1천만 명이 동시에 관람한 영화가 한 해에 한 편 이상은 나오는 한국. 그런 이상스런 열풍이 옳다, 그르다는 평가는 일단 접어두자.

겪은 이들은 몸으로 체험한 끔찍한 기억으로, 이후에 태어난 세대들은 책이나 어른들의 이야기를 통해 어두운 과거로 이야기되는 '일제강점기'. 그 시대를 살아낸 독립투사들의 이야기를 영상에 담아낸 <암살>은 자칫 식상할 수 있는 소재와 스토리를 '드라마틱한 영화적 효과'로 탁월하게 버무려 관객들을 매혹한다.

영화 속 허구의 등장인물이 현실에서는 누구를 그려낸 것인지, 당시의 역사적 상황은 <암살>이 묘사하는 장면과 구체적으로 무엇이 달랐는지는 이미 적지 않은 이들이 그 배경을 파악해 온-오프라인을 통해 알려줬으니, 필자는 이런 문제를 제기해볼까 한다.

<암살> 속 주인공들, 1933년 당시 일제에 맞서 무장독립투쟁을 전개한 안옥윤(전지현 분), 속사포(조진웅 분), 황덕삼(최덕문 분)은 문제의 해결방식을 '화해'와 '타협'이 아닌 '폭력'과 '암살'에 맞춘다.

제아무리 친일파 혹은, 점령국의 고위급 군인이라 해도 그들 또한 개인적으로 보자면 자식을 키우고 아내를 사랑하는 약해빠진 한 인간에 지나지 않는다. 이런 의문들이 들 것이다. 인간이 다른 인간을 향해 폭탄을 던지고, 총을 쏘아대는 방식의 저항이 옳은 것이냐는 의문. 그들은 폭력으로 문제 해결을 지향했던 테러리스트가 아니었을까 하는 의문. 이 의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다른 나라로 가보자.

체 게바라, 말콤X, 아흐마드 야신은 테러리스트인가

 문제 해결의 방식으로 총과 폭탄을 들었다고 해서 그들 모두를 '테러리스트'라고 부를 수 있을까?

문제 해결의 방식으로 총과 폭탄을 들었다고 해서 그들 모두를 '테러리스트'라고 부를 수 있을까? ⓒ 케이퍼필름


아르헨티나에서 태어나 쿠바에서 혁명에 성공했고, 볼리비아에서 서른아홉 젊은 나이에 죽음을 맞았던 체 게바라(1928~1967). 많은 이들이 그를 인간에 대한 가없는 긍휼과 연민을 가졌던 낭만주의자로만 기억한다. 그러나 천만에. 피델 카스트로, 카밀로 시엔푸에고스 등과 멕시코에서 조그만 배를 타고 쿠바 해안에 상륙해 수도 아바나로 진격하는 게릴라전을 전개하던 때, 배신한 동료들의 즉결 처분을 기꺼이 맡았던 사람이 바로 체 게바라다.

1959년 쿠바혁명을 완수하고 나서도 마찬가지였다. 부패한 이전 바티스타 정권에 협력해 가난하고 무지한 이들을 핍박한 독재 협력자들에겐 누구보다 엄혹했던 체 게바라였다. 그가 직간접적으로 죽인 사람이 적지 않았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자신의 목숨을 걸고, 다수가 행복한 세상을 위해 해방을 꿈꾼 그를 테러리스트라고 부를 수 있을까?

흑인과 백인의 차별이 엄존했던 1960년대 미국. 똑같은 사람임에도 피부가 검다는 이유만으로 버스에서 자리에 앉을 수도 없는 것은 물론, 식당에서는 백인과 같은 접시를, 화장실에서는 백인들이 쓰는 변기를 사용하지 못했다. 등교하는 흑인 여대생을 백인들의 조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중대 병력의 경찰이 경호를 위해 투입되던 그런 시대였다.

마틴 루터 킹은 "우리의 아이들이 피부 색깔이 아닌 인격으로 판단되는 시대"를 꿈꾸었고, 거기에 이르는 방식으로 흑백화합을 택했다. 반면 동시대의 또 다른 흑인 인권 운동가 말콤X는 "강간을 당한 사람에게 강간한 인간을 사랑하라고 말하는 게 과연 옳은 것인가"라고 반문하며 백인의 폭력에는 흑인도 폭력으로 저항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흑인 소년을 십자가에 묶어 태워 죽이는 KKK 단의 악행이 횡행하던 그때, 누가 말콤X를 함부로 테러리스트라고 부를 수 있었을까?

이제 좀 멀리 아랍으로 가보자. 누군가를 죽이는 것을 통해 목표를 달성하는 것이 정당한 것일까. 다시 말해, 몇몇 무슬림이 미국과 이스라엘을 향해 '자살폭탄테러'를 감행하는 게 과연 정당화될 수 있을까.

팔레스타인의 무장정치조직 하마스(Hamas). 그 조직의 창설자 세이크 아흐마드 야신은 맹인이었고 다리 사용조차 힘겨웠던 사람이었다. 그러나 그가 전 생애를 바쳐 이루고자 했던 '팔레스타인 해방'의 대의는 누구도, 심지어 적국의 정보기관조차도 의심하지 않았다. 이스라엘의 탱크에 돌 하나를 던졌다는 이유로 열세 살 소년이 총에 맞아 죽고, 그에 항의하는 아버지를 몽둥이로 때려죽이는 슬픈 조국에서 그는 문제의 해결을 위해 대체 어떤 태도를 취할 수 있었을까.

<한겨레> 정문태 기자가 인터뷰를 통해 아흐마드 야신에게 물었다. "세상 사람들은 당신들을 테러리스트라고 부른다. 어떻게 생각하는가?" 아래와 같은 답이 돌아왔다.

"개의치 않는다. 어떻게 부르든 미국과 이스라엘의 정책에 반대하면 곧바로 '테러리스트'로 낙인찍히는 게 국제사회의 현실 아닌가. 당신 나라엔 이런 '테러리스트'가 없었는가? 일본이 침략했던 시절 말이다. 지난날 한국에서도 독립을 외치며 폭탄을 던지거나 해방을 위해 무장투쟁을 한 사람들 적지 않다고 들었다. 당신들은 그들을 '테러리스트'라 부르는가?" <한겨레21 355호 중에서>

무섭고 무거운 질문을 던지는 영화... 대답이 쉽지 않아


 <암살>에서 의열단의 김원봉으로 분한 배우 조승우.

<암살>에서 의열단의 김원봉으로 분한 배우 조승우. ⓒ 케이퍼필름


다시 <암살>로 돌아가자. 영화 중반부. 오랜 시간 동안 쉽사리 잊히지 않을 한 장면이 떠오른다.

뼛속까지 군국주의로 채워진 새파란 일본군 육군 대위. 검은 치마에 하얀 저고리를 입은 조선인 소녀 하나가 그의 군복에 실수로 물을 묻힌다. 시니컬하게 웃으며 소녀의 심장을 향해 방아쇠를 당기는 대위. 피를 뿜으며 쓰러지는 소녀. 주위에 있던 모두가 경악하며 분노하지만, 누구 하나 나서서 그 패악을 저지하지 못한다.

터무니없는 이유를 들이대며 제 나라에 들어와 폭압과 살인을 죄의식 없이 저지르는 이민족을 목도했을 때,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 그 힘에 굴복해 무릎 꿇고 고개 숙이거나, 보지 못한 척 침묵하는 것이 최선일까. 그게 아니면, 낡은 총이나 조잡한 폭탄이나마 뽑아들어 "이건 아니지 않으냐"라며 울부짖어야 할까.

전자를 선택했던 친일협력자와 방관자, 폭력을 통해서라도 해방에 이르고자 했던 이들의 방식 중 어떤 것이 옳았을까? <암살>에 등장하는 익숙한 이름들. 안중근, 윤봉길, 이봉창. 김원봉... 그리고 그 시대, 이름 없이 죽어간 수많은 무장독립투사들. 그들은 과연 테러리스트였을까? 그들의 방식이 틀린 것은 아니었을까? 우리 역시 유약한 한 인간에 불과하기에 영화 <암살>이 던지는 질문은 두렵고 무겁다.

<범죄의 재구성>을 거쳐 <전우치>와 <도둑들>을 지나 <암살>에 이른 최동훈 감독. 상업영화를 만들면서도 역사적이고 철학적인 질문을 던진 그는 진보하고 있다. 한국영화계에선 보기 힘들었던 진경이다.

○ 편집ㅣ박정훈 기자


전지현 암살 테러리스트
댓글1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아버지꽃> <한국문학을 인터뷰하다> <내겐 너무 이쁜 그녀> <처음 흔들렸다> <안철수냐 문재인이냐>(공저) <서라벌 꽃비 내리던 날> <신라 여자> <아름다운 서약 풍류도와 화랑> <천년왕국 신라 서라벌의 보물들>등의 저자. 경북매일 특집기획부장으로 일하고 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