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극동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항은 한자 지명으로 '해삼위(海蔘威)'다. 1860년 제정 러시아가 이 항구를 군사기지로 만들면서 '블라디보스토크'라고 이름을 지었다는데, 이는 곧 '동방을 다스린다'는 뜻이라고 한다.

 

이 블라디보스토크는 극동 태평양 조르토이로그 만이라고 부르는 금각만을 중앙에 안고, 그 좌우에 큼직한 아무르만과 우수리만을 거느린 매우 이상적인 천혜의 항구다. 이 블라디보스토크는 중국의 상하이나 하와이의 진주만, 미국의 샌프란시스코와 견주는 세계적인 아름다운 항구로서 지금도 러시아 극동함대가 자리 잡고 있다.

 

한국 근대사에서 이 블라디보스토크는 나라를 빼앗긴 한민족이 조국광복을 도모하기 위한 국외기지로서 그 의미가 매우 크다. 특히 1900년 전후부터 1919년 3·1 운동 때까지 그곳은 한민족의 국외독립운동의 메카라고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니다.

 

안중근, 블라디보스토크로 가다

 

1909년 10월 18일, 그날 안중근은 갑자기 아무 까닭도 없이 마음이 울적해지며 초조함을 이길 수 없어 연추(煙秋, 지금의 크라스키노)에서 블라디보스토크로 갔다. 그날 안중근은 당시 한인들이 많이 몰려사는 꼬레아스카야(신한촌) <대동공보>사에서 이토 히로부미가 하얼빈에 도착한다는 소식을 전해 듣고 곧장 그를 처단하기로 결심한다.

 

안중근은 동지 우덕순을 포섭하여 이석산에게 100원의 거사자금을 강탈한 뒤 1909년 10월 21일 아침 블라디보스토크 역에서 하얼빈으로 가고자 우스리스크 행 열차를 탄다.

 

꼭 100년이 지난 2009년 10월 28일, 나는 안중근 의사의 마지막 행장을 추적했다. 나는 먼저 블라디보스토크 역으로 가서 하얼빈 행 열차 승차권을 산 뒤 100년 전, 안중근이 찾아간 <대동공보사>가 있었다는 개척리 마을로 갔다.

 

이 일대 거리는 현재는 포브라니치나야 거리라고 부르는데, 지난날에는 '둔덕마퇴'로 불렀던 우리 동포들의 첫 정착지였다고 한다. 사학자 윤병석 교수는 동포들이 이 일대에다 한인학교를 세워 민족교육을 실시하고, <해조신문>과 이를 이은 <대동공보>를 간행하면서 항일 언론을 폈으며, 각종 항일단체를 조직하여 공동 항일전선을 구축하였다고 개척리의 역사를 밝히고 있다(윤병석, <해외사적탐방기>).

 

그런 유서 깊은 역사의 현장 탓인지 지금도 그 일대에는 오래된 건물이 무척 많았다. 나의 안내인은 포브라니치나야 거리의 한 붉은 벽돌로 된 낡은 3층 건물 앞에서 그 일대가 대동공보사가 있었던 유서 깊은 역사의 현장이라고 했다. 지금도 구석진 건물 실내에서 낡은 인쇄기가 돌아가는 듯했다.

 

그런데 거리 한편에는 이동식 화장실 세 동을 붙여놓고 한 노파가 앉아 요금을 받고 있었다. "중이 고기 맛을 알면 절에 빈대가 안 남는다"는 속담처럼, 공산주의 종주국 소비에트연방이 어느새 도심 거리에 이동식 화장실을 지어놓고 사용료를 받는 치사한 나라로 변모했다. 

 

우수리스크 역

 

이튿날(2009년 10월 29일) 내가 블라디보스토크 역에서 하얼빈으로 가는 열차를 타고 우스리스크 역에 머문 열차 객실에서 하룻밤을 묵을 때였다. 한밤중에 화장실에 가고 싶었다. 객차 화장실에 갔더니 무지막지하게 잠겨 있었다. 아마도 열차가 플랫폼에 서 있을 때 용변을 보면 오물이 역구내 철로에 쏟아지는 것을 막고자 그렇게 한 모양이었다.

 

그래서 우스리스크 역 대합실 화장실을 이용하고자 객차 출입문을 열었으나 꽁꽁 잠겨 있었다. 하는 수 없이 승무원실로 가자 내 발자국 소리를 들은 여승무원이 잠자리에서 일어나 외투를 걸치면서 복도로 나와 화장실을 안내해 주려고 했다.

 

그가 열쇠로 객차 출입문을 열기에 나는 그의 잠을 깨운 게 미안해서 혼자 다녀오겠다고 했다. 그는 싱긋 웃으며 다녀오라고 했다. 역 대합실에는 화장실이 보이지 않았다. 역무원에게 화장실을 묻자 바깥의 다른 건물을 가리켰다. 불이 켜진 그곳의 문을 열고 들어가자 화장실 어귀에 노파가 앉아 있었다. 창문에 보니 10루블이라고 적혀 있었다.

 

나는 지갑에 루블화가 없어(열차를 탄 뒤 안내인에게 모두 다 주었기 때문), 대신 1달러짜리 지폐를 건네주자 그는 손을 흔들었다. 다시 중국 화폐 10위안을 건네자 또 손을 흔들었다. 난감했다. 미국 달러는 대부분 나라에서는 다 통용이 되는데(북한에서도) 오로지 루블화만 받겠다고 고집하니 그 노파를 설득시킬 만큼 러시아 말을 할 수도, 시간 여유도 없었다.

 

나는 하는 수 없이 재빠르게 객실로 돌아와 승무원에게 내 지갑을 열어 보이며 "Change money" 하자, 그는 지갑에서 120위안을 집고는 500루블을 건네주었다. 내가 "Small money"라고 말하자, 그는 알아들었다는 고개를 끄덕이며 10루블 짜리 지폐 한 장을 더 건네면서 얼른 화장실에 다녀오라고 했다.

 

그제야 나는 화장실을 다녀오면서 곰곰 생각해 보니 부쩍 화가 났다. 역 구내 공공장소에 무료 화장실이 없다니. 이 나라에서는 돈이 없는 사람은 용변도 볼 수 없다는 말인가?

 

내가 잠시 둘러본 러시아는 지난날 "모든 인민이 다함께 더불어 잘 살자"는 공산주의의 이념은 빛이 바래지고, 새로운 자본주의 물결에 거리뿐 아니라 공공장소 화장실에서도 사용료를 받는 치사한 국가로 전락한 듯 보여 나그네 마음은 무척 씁쓸했다.


태그:#블라디보스토크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교사 은퇴 후 강원 산골에서 지내고 있다. 저서; 소설<허형식 장군><전쟁과 사랑> <용서>. 산문 <항일유적답사기><영웅 안중근>, <대한민국 대통령> 사진집<지울 수 없는 이미지><한국전쟁 Ⅱ><일제강점기><개화기와 대한제국><미군정3년사>, 어린이도서 <대한민국의 시작은 임시정부입니다><김구, 독립운동의 끝은 통일><청년 안중근> 등.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