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이 기사 한눈에

  • 아베의 그릇된 역사관의 뿌리는 '새역모'를 지원하는 의원모임(歷史敎育 議聯)이다. 그 토양은 90년부터 시작된 일본 경제의 장기 침체와 함께 진행된 일본 사회의 보수화다.
야스쿠니(靖國) 신사와 내부 안내도. 일본 근대화의 시발점인 메이지유신(明治維新, 1868년) 이전에 벌어진 내전의 희생자들뿐 아니라 청일전쟁(1894~1895), 러일전쟁(1904∼1905), 만주사변(1931년), 중일전쟁(支那事爭, 1937~1945), 대동아 전쟁(태평양전쟁, 1941~1945) 등 "국난(國難)에서 나라를 지키기 위해 소중한 생명을 바친 246만 6천여명"(야스쿠니신사 홈페이지)의 위패가 모셔졌다. 도조 히데키(東條英機) 등 태평양전쟁의 A급 전범 14명도 포함돼 있다.
 야스쿠니(靖國) 신사와 내부 안내도. 일본 근대화의 시발점인 메이지유신(明治維新, 1868년) 이전에 벌어진 내전의 희생자들뿐 아니라 청일전쟁(1894~1895), 러일전쟁(1904∼1905), 만주사변(1931년), 중일전쟁(支那事爭, 1937~1945), 대동아 전쟁(태평양전쟁, 1941~1945) 등 "국난(國難)에서 나라를 지키기 위해 소중한 생명을 바친 246만 6천여명"(야스쿠니신사 홈페이지)의 위패가 모셔졌다. 도조 히데키(東條英機) 등 태평양전쟁의 A급 전범 14명도 포함돼 있다.
ⓒ 야스쿠니신사 홈페이지

관련사진보기


일본은 신(神)의 나라다. 사무라이의 나라다. 천황(天皇, 왕)을 정점으로 막부(幕府)의 쇼군(將軍)과 번(藩)의 영주인 다이묘(大明)가 싸우고, 번과 번의 사무라이들끼리 전투를 벌였다. 수많은 전쟁에서 헤아릴 수 없는 사람들이 죽었다. 수많은 원혼이 구천을 떠돌았다. 진혼이 필요했다.

메이지유신(明治維新, 1868년). 마침내 264년 만에 에도(江戶) 막부가 무너졌다. 왕정 복고다. 일왕 메이지는 이듬해(1869년) 막부군과의 싸움에서 숨진 영혼을 '호국의 신'으로 제사 지내기 위해 도쿄 쇼콘샤(招魂社)를 설립했다. 막부 타도, 존왕양이(尊王攘夷)를 설파하고 실천한 요시다 쇼인(吉田松陰)과 수제자 다카스기 신사쿠(高杉晋作)가 이곳에 처음으로 합사되었다. 유신 주도 세력끼리 전쟁도 벌였다. 마지막 내전인 세이난(西南) 전쟁(1877년)에서도 원혼이 난무했다. 일왕은 쇼콘사를 '야스쿠니 신사'로 개칭(1879년)했다. 야스쿠니(靖國), 곧 '나라를 평화롭게 한다'는 염원을 담았다.

그것은 일본 내부만의 평화였다.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 등 정한론(征韓論)으로 무장한 쇼인의 제자들은 야수의 발톱을 밖으로 향했다. 내전 때보다 더 많은 황군이 구천을 떠돌았다. 야스쿠니에는 청일전쟁(1894~1895), 러일전쟁(1904∼1905), 만주사변(1931년), 중일전쟁(支那事変, 1937~1945), 대동아 전쟁(태평양전쟁, 1941~1945) 등 "국난(國難)에서 나라를 지키기 위해 소중한 생명을 바친 246만6000여 명"(야스쿠니신사 홈페이지)의 위패가 모셔졌다. 도조 히데키(東條英機) 등 태평양전쟁의 A급 전범 14명도 포함돼 있다.

'친한'과 '극우' 두 얼굴의 정치인, 나카소네와 아베

지난 2013년 12월 26일, 일본 아베 총리가 야스쿠니 신사를 참배했다.
 지난 2013년 12월 26일, 일본 아베 총리가 야스쿠니 신사를 참배했다.
ⓒ 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내각 총리대신이 야스쿠니를 전격 참배한 것은 지난해 12월 26일이다. 아베 개인으로서는 2차 아베내각 구성 1주년을 맞이한 날이다. 아베는 1차 아베내각(2006년 9월∼2007년 9월) 때 야스쿠니를 참배하지 못한 것을 '통한'이라고 밝혀왔다. 그러나 참배 후 기자들에게 "일본을 위해 귀중한 생명을 희생한 영령에게 존숭(尊崇)의 뜻을 표했다"면서 "중국, 한국민들의 기분을 상하게 할 생각은 털끝만큼도 없다"고 말했다. 병 주고 약 주기다. 야누스의 두 얼굴이다.

일본 현직 총리가 야스쿠니를 참배한 것은 2006년 당시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郞) 총리 이후 7년 만이다. 아베는 당시 "총리가 생명을 바친 사람들을 참배하는 것은 당연한 책무라고 생각한다. 다음 총리도, 그 다음 총리도 당연히 참배하기 바란다"고 했다. 그에 앞서 1985년에 나카소네 야스히로(中曾根康弘)가 현직 총리로서는 처음으로 야스쿠니를 공식 참배했다. 일본 극우파의 우두머리로 불리는 이유다. 나카소네는 아베의 역사관을 이해하는 데도 중요한 인물이다.

돌이켜보면, 1980년대는 진영으로서 공산주의와 소련이 존재한 냉전의 시대였다. 북한-소련-중국의 북방 3각동맹을 겨냥한 한-미-일 남방 3각동맹이 진영 대결을 벌였다. 공교롭게도 한-미-일에는 보수우익 정권이 장기집권하며 공존했다. 전두환 대통령(80~88년)과 레이건 대통령(81~89년), 나카소네 총리(82~87년), 그리고 영국의 대처 총리(79~90년)까지, 보수우익 정치인의 황금기였다.

61년 11월 일본을 방문한 박정희 의장과 기시 노부스케 전 총리. 한일 국교정상화의 막후 개입으로 뒤에 박정희로부터 일등 수교훈장을 받는다.
 61년 11월 일본을 방문한 박정희 의장과 기시 노부스케 전 총리. 한일 국교정상화의 막후 개입으로 뒤에 박정희로부터 일등 수교훈장을 받는다.
ⓒ 대한뉴스

관련사진보기


나카소네는 아베 집안과 악연과 선연이 겹쳐 있다. 1982년 11월 부친인 아베 신타로(安倍晋大郞) 외상은 나카소네와 총리직 대결에서 패배해 결국 총리가 되지 못했다. 그러나 1959년에 나카소네 의원을 처음 입각시킨 사람은 아베의 외조부 기시 노부스케(岸信介) 총리였다. 기시는 총리 시절(56~60년)에 미-일 안보조약 개정으로 오늘의 미-일 동맹체제를 굳혔다. 기시는 동생인 사토 총리 시절에 막후에서 한일 국교정상화에 관여해 나중에 박정희로부터 일등 수교훈장을 받는다,

나카소네는 '친한파'이자 '극우파'이다. 한국인에게 '두 얼굴의 정치인'이다. 1983년에 일본 총리로서는 처음으로 한국을 방문해 현안이던 경협차관(40억 달러) 지원을 결정했다. 그러나 1985년 8월 15일, 총리로는 최초로 야스쿠니신사를 공식 참배해 일본 정치인들에게 참배의 물꼬를 텄다. 나카소네가 쓴 <21세기 일본의 국가전략>은 일본 자위대의 집단적 자위권 행사를 위해 헌법을 고치고, 교육법을 개정해 일본의 정체성을 강화하자는 일본 극우파의 염원을 담은 지침서로 통한다.

역사전쟁과 아베 인생의 전환점, 82년 '제1차 교과서 파동'

돌이켜보면, 나카소네 내각이 들어선 1982년은 동북아 역사전쟁의 분기점이 된 해다. 아베 개인에게도 인생의 전환점이었다. 아베는 외조부 기시가 권고한 세이케이(成蹊) 소학교에 입학해 중-고교와 대학까지 다녔다. 세이케이학원은 부유층 자녀나 정치가 자제가 많이 다니는 사립 명문학교이다. 아베는 1977년 세이케이대(법학부 정치학과)를 졸업한 뒤 미국으로 건너가 남캘리포니아대를 중퇴했다. 1979년 4월 일본으로 돌아와 고베제강에 입사했다.

1982년 11월 어느 날 총리직 대결에서 패한 뒤 나카소네 내각의 외무상으로 참여한 신타로가 출근하는 아들을 불렀다.

"나의 비서관이 되거라."
"언제부터입니까."
"내일부터다."
"저에게도 회사가 있습니다."
"내가 외할아버지(기시 외무상)의 비서관이 됐던 때는 하루 만에 신문사를 그만뒀다."

아베는 바로 고베제강를 퇴사하고 아버지 신타로의 비서가 된다. 정치와 거리를 두고 있던 아베를 정치로 끌어들인 '사건'이었다. 그때 아베의 나이 28세였다. '친한파'인 신타로는 나카소네 내각에서 4년 동안 한국과의 관계 개선 등 활발한 외교활동을 펼쳤고, 그 곁에는 늘 아베가 있었다. 아베는 1991년 신타로가 병으로 죽자 36세에 '보수 왕국'인 야마구치현의 아버지 선거구를 승계한다.

1982년은 제1차 교과서 파동이 일어난 해다. 그해 6월 고교 교과서 검정과정에서 문부성이 출판사에 부당한 왜곡(침략→進出, 3.1운동→3.1暴動)을 지시한 사실이 언론에 공개됨으로써 외교 문제로 불거졌다. 한국과 중국은 강력히 항의했다. 일본의 진보·양심 세력도 역사 왜곡을 비판했다. 그해 8월 미야자와(宮澤) 관방장관은 "일본의 침략과 가해의 역사를 왜곡하지 않겠다"는 취지의 담화를 발표했다. 11월에는 검정기준에 "근현대사 기술시 한국, 중국 등 주변국의 의견을 배려한다"는 이른바 '근린제국(近隣諸國) 조항'을 마련함으로써 1차 교과서 파동은 일단락되었다.

일본의 과거사 반성 3대 담화
① 미야자와 담화 : 1982년 8월 당시 미야자와 기이치(宮澤喜一) 관방장관이 발표한 담화. 교과서 기술 시 한국, 중국 등 이웃 국가를 배려한다는 것

② 고노 담화 : 1993년 8월 당시 고노 요헤이(河野 洋平) 관방장관이 일본군 위안소 설치 및 위안부 강제징집을 인정하고 사죄한 담화

③ 무라야마 담화 : 1995년 8월 15일 당시 무라야마 도미이치(村山富市) 총리가 태평양전쟁 종전 50주년을 맞아 식민지 지배와 침략의 역사를 인정하고 총체적인 사죄와 반성의 뜻을 표명한 담화
미야자와 담화를 계기로 일본 정부의 교과서 검정 기준은 ▲교육 내용의 가이드 라인을 설정한 '학습지도요령'과 ▲주변국 입장을 배려한다는 '근린제국 조항'의 두 가지로 정립되었다. 이 조항은 지난 30여년 동안 한-일 역사 갈등의 '안전판' 구실을 해왔다.

그러나 일본은 우익단체 '새로운 역사교과서를 만드는 모임'(새역모)이 만든 왜곡 교과서를 통해 끊임없이 '교과서 파동'을 이어갔다. 그리고 마침내 지난 1월 28일 문부과학성은 '학습지도요령 해설서'에 독도와 센카쿠(尖角, 중국명 댜오위다오) 열도를 "우리나라(일본) 고유의 영토"라고 못박았다.

독도 일본 영토 명기는 사실상 '근린제국 조항'에 대한 사형선고다. '고노 담화'와 '무라야마 담화' 등 일본의 과거사 3대 담화(박스기사 참조) 가운데 가장 약한 고리인 미야자와 담화를 해체한 것이다. 아베는 이미 2기 내각 구성 전인 2012년 10월 "자민당이 집권할 경우 일본의 과거사 반성 3대 담화를 모두 수정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아베 역사관의 뿌리는 '새역모' 지원한 '역사교육 의원모임'

아베의 그릇된 역사관의 뿌리는 '새역모'를 지원하는 의원모임이다. 그 토양은 1990년부터 시작된 일본 경제의 장기 침체와 함께 진행된 일본 사회의 보수화다. 1997년 2월 27일. '새역모'를 지원해온 자민당 소장파 의원 87명이 모여 '일본의 앞날과 역사교육을 생각하는 의원 모임'(歷史敎育 議聯, 역사교육 의원모임)이 결성됐다. 고노 담화와 무라야마 담화를 계기로 1996년 검정에 합격한 중학교 교과서에 '일본군 위안부'의 기술이 들어가는 것에 위기감을 가진 자민당 의원들이 모인 것이다.

아베의 절친 나카가와 쇼이치(中川昭一) 전 재무상(YTN 화면 캡처). 1997년 2월 나카가와와 아베는 각각 '역사교육 의원모임'(歷史敎育 議聯) 회장과 사무국장을 맡아 교과서 개정운동을 주도했다. '역사교육 의원모임'에서 그해 12월에 펴낸 <역사교과서의 의문>(歷史敎科書への疑問). '젊은 국회의원에 의한 역사교과서 문제의 총괄'이라는 부제를 달았다.
 아베의 절친 나카가와 쇼이치(中川昭一) 전 재무상(YTN 화면 캡처). 1997년 2월 나카가와와 아베는 각각 '역사교육 의원모임'(歷史敎育 議聯) 회장과 사무국장을 맡아 교과서 개정운동을 주도했다. '역사교육 의원모임'에서 그해 12월에 펴낸 <역사교과서의 의문>(歷史敎科書への疑問). '젊은 국회의원에 의한 역사교과서 문제의 총괄'이라는 부제를 달았다.
ⓒ 김당

관련사진보기


아베의 절친 나카가와 쇼이치(中川昭一) 전 재무상(2009년 10월 사망)이 회장, 아베는 사무국장(1997. 2~2000. 7)을 맡아 역사 교과서 개정운동을 주도했다. 이들은 집요했다. 주 1회 스터디 모임을 하고, 고노 전 관방장관과 고노 담화 작성에 관여한 관료들을 불러 경위를 따졌다. 스터디 결과를 책으로 묶어냈다. 1997년 12월 <歴史教科書への疑問 : 若手国会議員による歴史教科諸問題の総括>(역사 교과서에 대한 의문: 젊은 국회의원에 의한 역사교과서 문제의 총괄)을 펴냈다.

와타나베 오사무(渡辺治) 히토츠바시대 교수에 따르면, '역사연구 의원모임'은 정치가로서 아베의 출발점이자 소위 '아베 사단'을 형성하는 정치적 기반이 되었다. 아베의 후진 의원들은 한발 더 나아가 2008년 10월에 <南京の実相 : 国際連盟は '南京2万人虐殺' すら認めなかった>(난징의 실상 : 국제 연맹은 '난징 2만명 학살'조차 인정하지 않았다)를 펴냈다. 움직일 수 없는 역사적 사실인 난징 대학살까지 부인한 것이다. 와타나베 교수는 아베와 '역사교육 의원모임'에 대해 이렇게 평가했다.

"'젊은 의원들의 모임'의 활동을 통해 아베는 일본군 위안부문제를 시작으로 해 역사문제에 대한 태도, 관료, 좌익에 좌지우지되는 교육위원회 등의 기존체제에 대한 비판의 시점을 갖추게 되었다. 동시에 아베가 이 시기의 활동을 통해 우파의 독특한 증명술(위안부 강제동원을 입증할 정부의 공식 자료가 없다는 논리-기자주)을 몸에 익히게 된 것도 간과할 수 없다. 이는 현재의 아베 총리의 답변까지 일관된 것이기도 하다."(渡辺治 정혜윤, 아베 정권의 역사적 계보(3), <정세와 노동> 31호, 112쪽)

아베는 현재 '역사교육 의원모임'의 고문이다. 일본 극우세력을 대변하는 <산케이>(産經) 신문은 민주당 정권 시절인 2011년 2월 27일에 "'역사교육 의원연맹'에 거는 기대"라는 글에서 고문인 아베가 회고한 역사교육 의원모임 발족 이유를 이렇게 전하면서 "역사교육 의원연맹이 나설 차례다"고 선동했다.

"왜 이 모임을 만들었냐고? 무라야마 정권 성립 이후, 문부성(현 문부과학성)이 일본교직원조합(日教組)쪽으로 기울고, 1996년에 검정에 합격한 중학 역사교과서 전체에 '종군위안부'기술이 실렸기 때문이다."

아베는 1차 내각(2006. 9~2007. 9) 당시 59년 만의 교육기본법 개정과 방위청의 방위성 승격, 개헌 절차를 규정한 국민투표법 제정 등을 성사시켰다. 아베가 고문인 '역사교육 의원모임'은 2007년 3월 1일 군의 위안부 개입을 부인하는 고노 담화 수정안을 발표한다. 일본의 과거사 사죄를 자학사관(自虐史觀)이라고 비판한 아베의 지침에 따른 '과거사 3대 담화 수정' 공약 이행이었다.

미국 상-하원은 지난 1월 하원이 2007년에 채택한 ‘위안부 결의안’의 준수를 촉구하는 세출법안을 사상 처음으로 통과시켰다. 오바마 대통령도 이 법안에 서명했다.
 미국 상-하원은 지난 1월 하원이 2007년에 채택한 ‘위안부 결의안’의 준수를 촉구하는 세출법안을 사상 처음으로 통과시켰다. 오바마 대통령도 이 법안에 서명했다.
ⓒ TV화면 캡처

관련사진보기


힘의 원리인 작용-반작용의 법칙은 국제 관계에서도 작동한다. 고노 담화 수정안은 미국 하원에서 '위안부 결의안' 채택의 모티브가 되었다. 미 하원은 일본군위안부(성노예) 동원을 '20세기 최대의 인신 매매 사건'이라고 규정했다. 아베 총리는 직접 미국에 가서 결의안 채택을 저지하려고 총력을 기울였지만, 미 하원 외교위원장은 역사를 부인하려는 일본의 작태에 대해 "구역질 난다"고 비판했다.

그리고 지난 1월 미 상-하원은 2007년에 채택한 '위안부 결의안'의 준수를 촉구하는 세출법안을 사상 처음으로 통과시켰다. 오바마 대통령도 이 법안에 서명했다. 2007년에 위안부 결의안을 채택한 유럽의회도 유사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는 2007년 국제사회가 경고했음에도 반성하지 않는 아베에 대한 '응징'이다. 1997년 아베가 주동한 '역사교육 의련'의 '타학사관' 탓이다.

덧붙이는 글 | 아베 신조의 정치 입문 과정은 아베의 언행과 관련 자료를 집대성해 놓은 '인물타임즈’ 블로그(http://blog.naver.com/inmooltimes/90160837820)를 참조했다.



태그:#아베 신조, #야스쿠니, #나카가와 쇼이치, #역사교육 의원모임, #歷史敎育 議聯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