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울창했던 산 아래 새 길이 들어서다
▲ 내 고향 앞산 울창했던 산 아래 새 길이 들어서다
ⓒ 김순희

관련사진보기


나의 살던 고향은 꽃피는 산골
복숭아꽃 살구꽃 아기 진달래
울긋불긋 꽃대궐 차린 동네
그 속에서 놀던 때가 그립습니다

이런 노래를 들으면 다들 고향을 떠올린다. 사람에 따라, 먹을 것 없고 넉넉하지 않은 살림살이 때문에 고향은 기억조차 하기 싫은 곳일 수도 있겠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이 고향의 향수에 마음을 빼앗기는 것은 세월이 흐를수록 참으로 소중해지는 유년의 기억 속에잠시나마 나 자신을 머물게 하고 싶은 이유에서다.

그것은 고향이라는 이름이 우리에게 전해주는 참으로 아름다운 선물이 아닐까 싶다. 내게도 일 년 사이 많은 변화가 생겼다. 몇 년 전부터 고향 마을에서는 동네 한가운데로 가로지르는 고가도로가 생기는 것에 찬성하니 반대하니 분분하더니, 마침내 내 고향은 두 동강이가 났다. 여기저기 도로를 넓히고 새로 길을 만들어 주위엔 아파트가 우후죽순처럼 생겨났다. 일 년 사이 내 고향은 참으로 어색하게 변했다.

고향집을 오가며 마을 어귀를 지나다닐 때, 그저 '길이 생기는가 보다' 생각했더니, 진달래가 한창 피고 아카시아 꽃이 반발하여 그 향기가 마을 전체를 뒤덮어야 할 때가 돼도, 여기저기 논두렁 밭두렁에 동네 아저씨들이 삽을 들고 다니고 밭에는 옆집 월성댁 아줌마, 앞집 우동댁 아줌마가 호미로 밭을 일구는 모습은 오간 데 없다. 

경운기가 "딸딸딸딸" 하며 좁은 마을길을 달리던 모습은 언제 보고 못 보았는지, 아버지 연세의 어르신은 단 한 분도 없고, 어머니의 또래 어르신도 거의 돌아가시고 없다. '아즈매'하며 양푼이에 삶은 감자 갖다 주며 모내기 얘기며, 고추모종 얘기에 시끌벅적하던 마을 골목길에는 가끔 지나가는 차들만이 정적을 울릴 뿐이다.

'사는 게 다 이런 것이다', '세월이 흐른다는 게 이런 것이 아닐까' 뭐 그런 생각을 안 한 건 아니지만 새삼 내 고향을 바라보니 마음 한편에서 밀려드는 안타까움이야말로 말로 표현할 수 없었다.

유년의 고향은 언제부터 사라지기 시작했을까

지난 휴일, 고향집에 들렀다. 모내기가 끝이 나고 이맘때는 당분간 좀 여유가 있다. 어머니는 아침저녁으로 논에 물대는 일이며, 고구마 모종심기, 마늘, 양파 거둬들이는 밭일에 하루해가 저무는 줄 모르고 일하신다. 하지 말라고 해도 안 하실 분도 아니고 그나마 요즘은 날씨가 좋아서 다행이다. 아침에 밥과 김치 한 봉지 들고 내려와 저녁 해가 으스름해지면 집에 가신다. 이제는 어머니의 하루 일과가 안 봐도 눈에 선할 정도다.

늦은 아침을 먹고 점심을 거른 탓에 오후가 되니 배가 고팠다. 집에 도착하니 어머니는 안 계셨다. 핸드폰으로 전화를 하니 어머니는 논에 계셨고 피곤해서 움막에서 쉬고 있다고 하셨다. 담벼락에 늘어진 앵두며 물포도 열매도 따먹고, 집에서 쉬다가 내려오라고 몇 차례 전화가 왔다.

남편은 사온 라면에 밥을 말아 한 그릇 했다. 냉장고를 열어보니 그 옛날 어머니와 즐겨 먹었던 다시마무침이 있었다. 얼마나 반가운지 얼른 밥에다 다시마무침 넣어서 참기름 듬뿍 뿌려 쓱쓱 비벼 먹었다.

고향길, 논두렁이 이제 고가도로로 변하다
▲ 뒷산이 뚫리다 고향길, 논두렁이 이제 고가도로로 변하다
ⓒ 김순희

관련사진보기


그 무엇으로도 그 맛을 표현할 수 없다. 그때는 몰랐다. 어머니가 즐겨 먹는 음식이란 다 촌스러운 것들뿐이라고만 여겼다. 다른 친구들 엄마처럼 좀 도시적인 음식을 해줬으면 싶었다. 그 도시적인 것이 어떤 것인지 정확히 모르겠다만. 아무튼 그런 생각을 하며 어머니가 해주시는 것을 참으로 싫어했던 적도 많았다.

하지만 세월이 흐른 지금, 내 안엔 어머니의 그 음식들이 가득하고 이미 나의 입맛은 그 추억 속의 어머니의 손맛에 길들여져 버린 것을 이제야 알 것 같다.

그렇게 밥 한 그릇을 후딱 먹고 나니 나른했다. 고향에서의 낮잠이란 또 다른 기쁨이다. 하늘을 바라보고 나무를 벗삼아 멀리 보이는 간월산이며, 신불산, 영남의 알프스로 유명한 이 산들을 바라보며 그 기운을 느낄 수 있다는 행운이 어디 있겠는가. 이런저런 생각을 하는 사이 어머니로부터 전화가 왔다. 이제 쉬었으면 얼른 내려오라고 말이다.

"순희가? 밥은 묵었나? 다 묵었으면 인자 내려온나. 고춧대를 끈으로 다 묵어야 하는데 혼자서는 못하겠다. 힘이 빠져서 그라니 내려와봐라. 응?"
"그라믄 그렇제. 와아 일을 안 시키노 했다 아이가. 알았데이. 지금 간데이."

서둘러 고향집을 나왔다. 40년 된 기와집을 허물고 지금의 새 집을 지을 때부터 내 고향의 모습은 기억 속으로 사라지고 있었는지도 모른다. 초록색 대문, 장독대, 가마솥이 있던 외양간, 죽담이 있던 마루, 부엌과 마루를 이어주던 유일한 비밀 반찬창고 찬장. 이런 것들을 간직하며 40년을 함께 해온 오래된 기와집을 허물던 날부터, 아마 유년의 고향은 서서히 사라지고 있었던 것은 아니었을까 생각된다.

예전엔 모두 이런길이었는데..
▲ 우리집 논두렁! 예전엔 모두 이런길이었는데..
ⓒ 김순희

관련사진보기


"사람도 없어지고, 마실도 없어지고"

밭으로 향하면서 짓고 있는 고가도로를 바라보았다. 저 길을 따라 친구들과 아버지 몰래 소를 몰고 뒷산에 올라 귀하디 귀한 소를 잃어버릴 뻔하기도 하고, 달래며 개암을 따먹으며 여름방학 동안 신나게 잘도 놀았다.

진달래가 피면 산에 올라 진달래 따다 물과 설탕과 함께 소주병에 넣어 진달래주스도 만들었다. 혼자 몰래 먹으려고 찬장에 넣어둔 것을 아버지가 나 몰래 다 마셔버려 울며 불며 아버지를 귀찮게 하기도 했고, 학교 갔다 오면 늘 저 길을 따라 밭에 정구지를 캐러 가기도 했다. 아버지 새참으로 막걸리 한 주전자 들고 뛰어가던 행복한 길이었는데.

마음이 여러 갈래 교차했다. 어떤 것이 내 고향을 위해서 좋은 일인지 모르겠다. 뒷산은 어느새 휭하니 뚫려 있다. 소 풀 먹이러 산에 갈 일은 없지만 추억이 남아 있는 뒷산인데 그 기억마저 뚫어버린 것 같다. 마음이 아프다.

어머니는 오리 옆에서 하소연을 하셨다. 무성하게 자란 풀이며 오리들의 잔해물로 인해 악취가 심해 "오리 땜에 못 살겠다" 하신다.

"저걸 우야꼬. 참말로 우짜꼬. 내가 못 살겠다. 우짜믄 좋노?"
"엄만 아직도 그라노. 마아 우짤 수 없다. 저걸 우야겠노. 그나저나 엄마, 산을 마이도 뚤버났네. 이자는 고향 같지 않데이. 넘 싫다."
"그렇제이. 길 뚤버야 한다 카니 할 말은 없다만은, 우짜겠노. 마실이 영 형펜없제이."
"우리 동네 아닌 거 같다. 옛날이 좋았는데. 그자?"
"하모, 그걸 말이라꼬 하나. 사람도 없어지고, 마실도 없어지고."

내심 어머니도 마음이 불편하신 것 같았다. 사람도 옛 사람은 없고 낯선 타지 사람들이 들어와 사는 집이 많고, 마을에는 세로 가로 길을 만들어 새로운 모습으로 차츰 변해가는데 어머니의 세월만큼이나 너무 많이 변해가는 마을 모습에 아마도 나보단 어머니의 마음이 더 안타까울지도 모르겠다.

아마도 당산나무는 오래토록 고향을 지키지 않을까...
▲ 당산나무와 성황당! 아마도 당산나무는 오래토록 고향을 지키지 않을까...
ⓒ 김순희

관련사진보기


방학이면 아침마다 친구들과 마을 회관에 모여 청소도 하고, 깡통 차기 하며 놀던 기억이 아련하다. 지금 그곳엔 길을 넓히느라 어수선하다. 하지만 아직도 유일하게 우리 마을을 지켜주고 있는 당산나무가 있어 그나마 마음이 놓인다.

작고 아담한, 그리고 집들이 옹기종기 모여 있던 고향 마을. 앞산엔 아카시아 꽃 향이 그윽하고 뒷산엔 진달래가 만발하던 내 고향의 모습이 변해가도, 먼 훗날까지 당산나무는 기억할 것이다. 그것이 우리에게 주는 추억이라는 선물이었다고. 그 추억으로 인해 지금 난 그래도 행복한 사람이 아니겠는가.

내 고향, 그래도 그때가 그립다. "오징어달구지" 하며 뛰놀던 그 골목이.


태그:#고향, #추억, #그리움, #어머니, #당산나무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