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김용택 시인이 오마이뉴스 사무실에서 독자와의 만남을 가졌다.
▲ 섬진강 시인 김용택 김용택 시인이 오마이뉴스 사무실에서 독자와의 만남을 가졌다.
ⓒ 이명옥

관련사진보기


미당 서정주는 '나를 키운 것은 8할은 바람이었다'고 읊었다. 섬진강 시인 김용택을 키운 것은 아마도 강바람과 나무와 아이들이 아니었을까. 그이가 줄곧 섬진강 자락에 머물며  아이들과 어울려 삶과 시를 엮어 왔기 때문이다. 시인이며 교사인 김용택이 <아이들이 뛰노는 땅에 엎드려 입 맞추다>로 14일 오후 7시 반 오마이뉴스 사무실에서 독자들과 만났다.

"요즘 날씨가 빵꾸똥꾸 같지요?"

시인은 자연을 거스른 인간에게 화를 내는 이상 기온을 걱정하며 말문을 열었다. 이어 봄은 진달래, 벚꽃 등 온갖 꽃들이 만발해야 하는 계절이 아니냐며 시 한 편을 소개했다. 그이는 예술적 감성은 자연으로부터 오기에 논리가 아니라 느낌이고 자연처럼 스며드는 것이라고 했다.

인간 삶의 전반적인 양식인 예술, 철학, 경제는 모두 자연으로부터 시작된다. 인간이 아무리 물질과 문명을 발전시켜도 생명의 근본 토대인 자연을 넘어설 수는 없다. 하지만 현대인은 인간이 '자연'이라는 사실마저 잊고 산다. 자연은 끊임없이 생성되고 변화하는 순환하는 생명체이다. 그런 자연의 생명을 파괴하니 인간 생명 역시 파괴되는 것이다.

시인이 자연이 그 무엇보다 위대한 스승임을 역설하며 자연에 기대어 살기를 고집하는 이유가 바로 거기에 있다. 강과 나무와 바람과 햇살, 대지에 뛰놀던 아이들, 그 모든 자연이 시인의 삶의 에너지며 시의 뿌리였음을 자연스럽게 알게 된 순간이었다. 김용택 시인은 자연의 완벽함이 전하는 진리를 관찰하기와 글쓰기라는 방법으로 아이들과 나눴다.

세상을 바꿀 수 있는 힘 '생각'

김용택은 1970년 초등학교 교사로 첫 발을 디딘 후 38년간 아이들을 가르쳤다. 38년 중 26년 2학년 아이들만 가르치길 고집했다. 시인은  2학년이야말로 인간으로서 지녀야 할 덕목들을 가장 완벽하게 지닌 연령이라 생각했기 때문이라며 자신의 교육적 신념을 풀어갔다.

김 시인은 교육의 참 목표를 상실한 채 그저 줄 세우기와 경쟁으로 내몰리는 현재의 교육현실을 안타까워했다.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 학교에서 가르쳐야 할 것은 경쟁이 아니라 '깊이 생각하는 법'과 '자기가 정말 좋아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찾아내는 법'이다. 그이는 스스로 생각을 키우는데 필요한 것으로 '자연 자세히 들여다보기', 그리고 그것을 정리하는데 필요한 것으로 '글쓰기'를 꼽았다.

사물을 자세히 들여다보는데서 골똘하게 생각하는 힘이 길러진다. 생각이 복잡하게 넘쳐나면 그 생각의 타래를 정리해야 한다. 생각을 논리적으로 정리하는 것은 논술이고 삶을 논리적으로 정리하는 것은 철학이다. 삶에 철학이 있어야 한다. 철학이 있는 삶, 철학이 있는 교육, 철학이 있는 정치가 삶의 방향을 바꾼다. 대통령의 생각이 나라를 바꾸고, 교육감의 생각이 교육을 바꾸듯 각자의 생각이 각자의 삶을 바꾸는 힘이 된다.

이것이 아이들이 스스로 생각하도록 가르쳐야 하는 이유다. 교육을 통해 누군가에게 굴종하는 사람이 아닌 스스로 생각의 주인이 되어 자기의 생각으로 자기의 삶을 바꾸고 세상을 바꾸도록 해야 하는 것이다.

시인은 자신은 교사로  아이들 스스로 생각하는 힘을 길러주는 교육에 전념해왔다. 아이들에게 자연에 대한 호기심과  신비감, 궁금증이 가득 찬 삶을 통해 생각하는 힘을 길러주고 글쓰기 지도로 그  생각을 정리하는 법을 가르친 것이다.

"오늘 네 나무를 보았니?"

최임규 선생님이 반 아이들을 데리고 김용택 시인의 강연에 참석했다.
▲ 최임규 선생님과 아이들 최임규 선생님이 반 아이들을 데리고 김용택 시인의 강연에 참석했다.
ⓒ 이명옥

관련사진보기


김용택 시인은 '생각의 문을 여는 열쇠는 바로 바라보는 것'이라고 말한다. 그이는 아이들에게 각자의 나무를 정해 주었다. 그리고 매일 아이들에게 이렇게 물었다.

"얘들아, 오늘 네 나무를 쳐다보았니?"

처음엔 보았다는 아이가 거의 없었지만 일주일쯤 지나자 한 아이가 말했다.

"오늘 제 나무를 쳐다봤는데요. 나뭇잎이 떨어져서 오른쪽으로 갔어요."

저 표현은 본 아이만이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렇게 아이들 스스로 자연에 눈과 귀를 열기 시작했다. "아이들이 나무 한 그루를 바라볼 수 있는 것이야말로 위대한 발견"이라는 시인의 말은 결코 과장이 아니다. 바라보면서 남이 생각이 아닌 자기 생각의 싹을 틔운 것이다.

"자세히 봐야 무엇인지 알고, 무엇인지 알아야 내 것이 된다. 내 것이 되어야 인격이 된다."

저것은 김용택 시인의 말이다. 그렇다. 골똘히 생각이 깊어지려면 자세히 들여다봐야 한다. 대충이 아니라 자세하고 세밀하게 바라보다 보면 잘 알게 되고, 잘 알게 되면 좋아하게 된다. 좋아하는 일을 하는 사람이 행복하고 성공적인 삶을 산다. 당신도 자녀를 자기 생각의 주인으로 키우고 싶다면 이제부터 이렇게 질문해 보자.

"오늘 길가에 핀 민들레의 흔들림을 보았니? 오늘 넌 하늘을 올려다 보았니?"
"네가 정말 좋아하는 게 뭐니? 네가 하고 싶은 건 뭐야?"

한 문을 나섰더니 다른 문이 열려 있었다

40년 가까이 아이들과 동고동락한 학교를 퇴임한 뒤 시인에겐 더 바쁘고 즐거운 일들이 많아졌다. 책을 내고 시를 쓰는 일이야 별다를 게 없지만 영화 <시>(이창동 감독)에도 출연해 오는 5월 개봉을 앞두고 있다.

김제동과는 <가끔 열리는 학교>라는 신나고 재미난 학교도 구상 중이다. 문화적 혜택에서 소외된 지역 아이들과 다문화 가정 아이들, 조손 가정 아이들을 직접 찾아가 예술과 문화를 맛보게 하려는 것이란다.

자연 그대로 남겨 둔 시골집은 <자연학교>로 만들어 아이들이 자연을 접하고 놀 수 있도록 하고, 강화도 오마이스쿨에서 글쓰기 수업도 할 생각이다. 인생의 목표를 크게 세 가지로 정했다는 그이를 재미나게 할 일은 무궁무진하게 많아 보인다.

첫째, 죽음의 순간까지 공부를 해 예술적 감성을 키워야 한다.
둘째, 환경을 생각해야 한다. 환경이 세상을 지배하기 때문이다.
세째, 인간을 생각해야 한다. 현대는 인간보다 조직 조직보다 엘리트를 중요하게 생각해왔다. 그러나 인간 개인의 삶이 행복해야 한다. 

시인의 말처럼 인생이 늘 호기심과 신비로움과 재미와 사랑의 감성으로 넘쳐난다면 비록 시인이 아니어도 삶의 행복이 가득할 것이다.


아이들이 뛰노는 땅에 엎드려 입 맞추다

김용택 지음, 김세현 그림, 문학동네(2010)


태그:#김용택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혼자 잘살면 무슨 재민교’ 비정규직 없고 차별없는 세상을 꿈꾸는 장애인 노동자입니다. <인생학교> 를 통해 전환기 인생에 희망을. 꽃피우고 싶습니다. 옮긴 책<오프의 마법사>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