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눈이 내리는 날 찾은 세심정. 마을의 야산 높은 곳에 자리한다.
▲ 세심정 눈이 내리는 날 찾은 세심정. 마을의 야산 높은 곳에 자리한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절 있는 산을 돌아온 곳(퇴촌)인데
바람에 연기는 상방으로 접하는 구나
옛날에 놀던 곳은 뒤섞이어 찾아볼 수 없으며
세상 사람들은 본래 많이 바쁘다
고요한 방에 중과 이야기하기 아주 알맞으며
가을 등불 밝은데 빗소리에 밤은 깊어지는 구나
이어 생각하여도 보진자만 생각하니
밝은 시대였는데 역시 깊이 숨어 살았구나

택당(澤堂) 이식(李植, 1584-1647)이 세심정에 남긴 글이다. 이식은 본관 덕수이며, 자는 여고, 호가 택당이고 시호는 문정이다. 광해군 2년인 1610년 문과에 급제하여 7년 뒤 선전관이 되었으나, 폐모론이 일어나자 벼슬을 버리고 낙향하였다.

후일 다시 벼슬길에 나아가 벼슬은 대사헌, 형조판서, 이조판서에 이르렀다. 이정구, 신흠, 장유와 더불어 한문 4대가의 한 사람으로 꼽힌다. <선조실록(宣祖實錄)>의 수정을 맡아 하였으며, 저서로는 <택당집(澤堂集)>과 <초학자훈증집(初學字訓增輯)> 등이 있다.

세심정은 양평군 지평에서 341번 도로를 따라 용계계곡 방향으로 가다가, 덕촌리에서 좌측으로 들어간다. 마을에는 펜션들이 들어서 있으며, 다리를 건너 우측 언덕 위에 자리를 잡고 있다. 현재 양평군 항토유적 제23호로 지정이 되어있으며, 양평군 용문면 덕촌리 산137번지에 해당한다.

눈이 내리는 날 찾은 세심정

육각형으로 지어진 세심정, 2평 남짓한 세심정은 490여 년 전에 지어진 정자이다.
▲ 세심정 육각형으로 지어진 세심정, 2평 남짓한 세심정은 490여 년 전에 지어진 정자이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세심정에 걸린 현판. 용문선생은 이곳에서 학문을 연구하고 후진양성에 전념했다.
▲ 현판 세심정에 걸린 현판. 용문선생은 이곳에서 학문을 연구하고 후진양성에 전념했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아침부터 날이 잔뜩 흐리더니, 오후가 되면서 눈발이 날리기 시작한다. 눈길에서 몇 번이나 혼이 난 적이 있는지라, 답사를 포기할까도 생각해 본다. 하지만 이미 세심정이 가까운 곳까지 찾아왔는데, 그냥 돌아가기에는 마음이 편치 않을 것 같다. 여기저기 길을 물어보지만, 세심정을 알려주는 사람들이 없다. 몇 번을 물은 끝에 겨우 세심정으로 향했다.

급기야 눈발이 날리기 시작한다. 저만큼 정자가 하나 보인다. 세심정이다. 주변에는 노송 몇 그루가 서 있고, 앞으로는 작은 내가 흐르고 있다. 다리를 건너 세심정을 올려다본다, 눈발이 점점 세차진다. 마음이 바빠 낙엽 쌓인 돌계단을 오른다. 벌써 낙엽 위로 쌓인 눈이 미끄럽다. 세심정 위로 올라 정자를 본다. 이렇게 작은 정자를 짓고, 그곳에서 난세에 찌든 마음을 씻어냈을 정자 주인의 마음을 읽어본다.

490년 전에 지어진 작은 정자 세심정

처마를 길게 빼낸 세심정은, 육각형의 기둥으로 처마를 받쳤다
▲ 처마 처마를 길게 빼낸 세심정은, 육각형의 기둥으로 처마를 받쳤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세심정은 명종 16년인 1521년 조선조 중종과 명종 때의 학자이며 정암 조광조의 수제자로 명성을 얻은 조욱(1498 ~ 1557)이, 기묘사화로 정암과 그 문하들이 화를 당할 때 화를 면하고 낙항하여 지은 정자라고 한다. 조욱은 마침 모친상을 당하자 용문산중에 복거하여 그 마을 이름을 퇴촌(退村)이라 하고, 이 정자를 지어 세심정이라 이름하고, 당호를 스스로 '세심당'이라고 불렀다는 것이다.

정자는 6각형으로 지어졌으며, 선생의 마음을 닮은 것인지 고졸하다. 이곳에 은거한 후로 사람들은 조욱을 '용문선생'이라 칭했다고 한다. 야산 기슭에 이 세심정을 지어놓고, 학문연구와 후진양성에만 전념했다는 조욱. 세심정 안에는 현판이 몇 개 걸려있다. 아마 선생의 평소 학문을 그리던 나그네들이 지어놓은 글일 것 같다.

정자 안에는 <세심정 기>를 비롯한 몇기의 게판이 걸려있다.
▲ 게판 정자 안에는 <세심정 기>를 비롯한 몇기의 게판이 걸려있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연당과 아우러진 세심정의 조화

세심정은 육각형의 정자로, 우물마루를 깔았다. 일곱 개의 주추 위에 육각의 기둥을 세우고, 정자의 마루 주위에는 난간을 둘렀다. 한 가지 특이한 것은 난간 밖으로 다시 툇마루를 깔았다는 점이다. 따로 입구를 내지 않고, 여섯 면 모두 난간을 둘렀다는 점도 특이하다. 정자는 야산의 높은 곳에 자리하고 있으며, 주변에는 노송과 고목들이 정자를 쌓고 있다. 그리고 앞쪽 계단 밑으로는 연당이라 부르는 연못이 있다.

연당은 석축으로 주위를 쌓았다. 정방형으로 조성한 연당은 정면이 16m에 측면은 11,5m 정도의 연못이다. 가운데는 섬을 만들고 그 위에 노송을 심어 멋을 더했다. 지금은 주변이 온통 펜션들로 들어찼지만, 처음 이 세심정이 지어졌을 때는 앞면이 트여있어 경관이 아름다웠을 것이다. 세심정을 둘러보고 있는 동안, 눈이 점점 함박눈으로 변했다. 마음이 급해 더 이상은 지체를 하지 못하고, 정자를 내려와 돌아가려다가 안내판을 본다. 안내판에 이상한 점이 있다.   

우물마루를 깔고 난간을 두른 후, 다시 툇마루를 내었다
▲ 마루 우물마루를 깔고 난간을 두른 후, 다시 툇마루를 내었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세심정의 앞에 자리한 연당. 중앙에는 섬을 만들고 노송을 심어 멋을 더했다.
▲ 연당 세심정의 앞에 자리한 연당. 중앙에는 섬을 만들고 노송을 심어 멋을 더했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귀신이 지은 정자(?) 세심정

조욱은 1498년 8월 21일에 태어나, 1557년 12월 10일에 세상을 떠났다. 자는 경양, 호는 우암이며 본관은 평양이다. 조선 중종 때 문과에 급제를 하고도 벼슬에 나아기지 않고, 용문산으로 들어가 성리학을 연구하였다. 조욱의 높은 학식과 인격이 세상에 알려지자 사람들은 그를 '용문선생'이라 불렀다. 후일 명종 때 현사로 뽑혀 벼슬을 하면서, 이황, 서경덕과도 가깝게 지냈다. 시와 그림에 능했으며 저서로는 <용문집>이 있다.

오류 투성이인 안내판이 서 있다. 정자의 건립년대가 조욱의 사후로 적혀있고, 정자는 20여평이라고 적었다.
▲ 안내판 오류 투성이인 안내판이 서 있다. 정자의 건립년대가 조욱의 사후로 적혀있고, 정자는 20여평이라고 적었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그런데 안내판을 몇 번이고 들여다보았다. 용문 선생이 세상을 하직한 것이 명종 12년인 1557년이다. 그런데 이 세심정을 선생이 세상을 떠난 후 5년이 지난, 명종 16년인 1561년에 지은 정자라고 적고 있다. 그리고 스스로 세심정이라 이름을 붙였다는 것이다. 어떻게 사후에 이곳에 들어와 정자를 지을 수가 있을까? 이 정자는 명종 16년인 1561년에 지어진 것이 아니라, 중종 16년인 1521년에 지어진 정자이다.

안내판에 이런 오류를 범하고도 '나 몰라라'하는 관계당국. 문구를 한번만이라도 제대로 살펴보았다면, 이런 오류를 범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고작 2평 남짓한 정자를 20여 평이라고 소개를 한 것도 그렇다. 우리 문화재의 오늘을 보는 것 같아 뒤돌아서는 발길이 무겁다. 용문선생의 마음이 이 눈이 된 것은 아닌지. 오늘 이 눈은 용문선생의 눈물인 것만 같아 마음이 아프다.


태그:#세심정, #조욱, #양평, #용문선생, #향토유적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