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으로 통하는 명동
▲ 남산 으로 통하는 명동
ⓒ 송유미

관련사진보기


태양이
직각으로 떨어지는
서울의 거리는
플라타너스가 하도 푸르러서
나의 심장마저 염색될까 두려운데
(중략)
손수건처럼 표백된 사고를 날리며
황혼이 전신주처럼 부풀어오르는
가각을 돌아
플라타너스처럼 푸르름을 마시어 본다.
- 김경린 <태양이 직각으로 떨어지는 서울> 중

모처럼 들른 명동 거리, 벌써 연말 분위기가 난다. 바람은 싸늘하게 불지만, 바삐 어디론가 향하는 사람들 움직임이 활기 차 보인다. 작가 이효석이 <호텔부근>에서 "거리란 방 속의 세상은 따로 젖혀 두고 다 같이 잠시 동안 모여들어 뛰고 춤추고 흥분하고 장식하고 꿈을 주고 받고 하는 가짜의 회장과 같은 곳이다"라고 말했듯이 정말 명동은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모여들어 뛰고 춤추고 흥분하고 장식하고 꿈을 주고 받고 하는 공간임이 틀림없다.

명동은 현대와 전통이 함께 하는 공간. 그래서 천천히 추억의 속도로 걷게 되는 거리이기도 하다. 정말 몇 년 만에 느긋하게 걸어보는 만추의 명동의 거리인가. 누군가의  팔짱을 끼고 걷던 청춘의 계절을 더듬어 걷노라니, 내 심장의 고동이 쿵쿵 뛴다.

80년대만 해도 정말 명동의 거리는 가만히 서 있어도 그냥 인파에 의해 밀려갔던 거리였다고 회상한다. 그 옛날의 그 붐비는 웅성거리는 사람의 물결은 없지만 그래도 명동은 명동...아직도 인파로 붐비는 거리다.

을 아세요 ?
▲ 서울 을 아세요 ?
ⓒ 송유미

관련사진보기


명동거리는, 명동 1·2가, 정동 1가, 충무로 1·2가, 남산동 1·2·3가와 예장동의 일부 지역이 포함된다. 명동이라는 이름은 조선시대 한성부의 행정구역 중의 하나인 명례방(明禮坊)의 명(明)자를 따서 지었으며, 일제강점기에는 명치정(明治町)으로 불리다가 해방 후 1946년에 밝은 마을, 밝은 고을이란 뜻에서 명동(明洞)이라 개칭하였다고 한다.

조선시대 명동은 주택지였으나, 일제강점기에 충무로 1·2가를 상업지구로 개발하면서 그 인접지역인 명동도 점차 상업지구로 발전했다. 충무로는 당시 진고개로 불리던 일본인의 거리였다. 비가 오면 하수도 시설이 좋지 않아서, '마누라 없이는 살 수 있어도 장화 없이는 살 수 없다'는 우스개 소리가 있을 정도였다고 하니, 상전벽해가 된 충무로다. 이 충무로란 지명에도 우리 역사의 아픔이 고스란히 묻어난다 하겠다.

미련없이 내뿜는 담배 연기속에
아련히 떠오르는 그여인의 얼굴은
별마다 새겨보는 별마다 새겨보는
아~진고개신사

헝크러진 머리를 쓸어 올리며
언젠가 들려주던 그여인의 노래를
소리없이 불러보는 소리없이 불러보는
아~진고개신사
- 최희준 '진고개 신사'


에서는 서울이 안 보인다
▲ 서울 에서는 서울이 안 보인다
ⓒ 송유미

관련사진보기


1885년부터 서울에는 영국인, 중국인, 일본인 등 외국인이 들어와서 많이 살기 시작한다. 이에 따라 외국인 거주를 궁궐에서는 인정해야 했다. 임진왜란 때 명장인 이순신의 휘호를 따서 충무로가 생기고, 을지문덕 장군의 이름을 딴 을지로가 생겼다. 을지로는 당시 '청국인 거리'였다. 그 무렵 을지로나 충무로 거리는 매우 낙후된 거리였다고 한다.

그 당시 충무로는 집을 지으면 북향이 되었다. 풍수상 살기 나쁜 곳이라는 인식 때문에 가난한 사람들이 많이 살았다. '남산골 샌님'은 이렇게 해서 생긴 말이라고 한다. 1907년 일본인들이 점점 도시를 개조하면서 일본인이 살던 충무로엔 많은 변화가 생겼다. 그 중심상권으로 신세계 한국은행, 일본영사관, 일본우체국, 제일은행지점들이 들어서면서, 지금과 같은 중심권으로 바뀌었다.

동
▲ 명 동
ⓒ 송유미

관련사진보기


명동성당은 코스트 신부가 설계하였고 파리선교회의 재정지원을 얻어 건립되었다. 본래 순교자 김범우의 집이 있던 곳으로, 블랑주교가 김 가밀로라는 한국인 명의로 사들였다. 그후 1887년 한국과 프랑스사이에 통상조약이 체결된 후 1898년 완성하였다.
▲ 서울 명동 성당 명동성당은 코스트 신부가 설계하였고 파리선교회의 재정지원을 얻어 건립되었다. 본래 순교자 김범우의 집이 있던 곳으로, 블랑주교가 김 가밀로라는 한국인 명의로 사들였다. 그후 1887년 한국과 프랑스사이에 통상조약이 체결된 후 1898년 완성하였다.
ⓒ 송유미

관련사진보기


명동 대표 상징 건물은 누가 뭐래도 명동 성당이다. 이 명동 성당 건축에는 웃지 못할 우리나라 역사의 비극이 깃들어 있다. 그 당시 임금이 사는 궁궐보다 높은 위치에 집이나 건물을 지을 수 없었는데, 명동 성당은 궁궐을 내려다 보는 언덕에 지어졌다. 많은 궁궐의 반대에도 명동 성당은 건립된 것이다. 이는 지엄하고 존귀한 조선 왕조의 권력이 점점 외부 세력에 의해 스러져가는 것을 반증한다. 당시 명동 성당 건축은 도심 건축 양식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울을 아세요 ?
▲ 서 울을 아세요 ?
ⓒ 송유미

관련사진보기


명동 면적은 0.44㎢, 인구 3208명, 인구밀도 7291명/㎢이지만, 실제로는 하루 100만 명이 넘는 인구가 드나든다고 한다. 명동에는 명동성당을 위시하여 서울 중앙우체국, 국제연합교육과학문화기구(UNESCO) 한국본부, 중국대사관 등의 주요기관들이 들어서 있어, 아직도 명동은, 서울의 심장부라고 말할 수 있겠다.

압구정동이 서울의 패션 중심지가 되면서, 명동은 점점 인기가 식고 있지만, 그래도 명동은 한국 유행의 첨단지역이다. 휴일도 아닌데 명동엔 사람들 발길이 끊이지 않았다. 많은 금융기관이 여의도로 이전해갔다. 다소 쓸쓸한 분위기는 어쩔 수 없지만, 명동은 서울에서 가장 젊은 거리이자 가장 역사가 깊은 거리다. 그래서 가장 서울다운 거리이다. 해는 늬엿늬엿 지고 불빛이 많아지는 명동 거리. 어디선가 불쑥 중절모 쓴 진고개 신사가 나타날 듯 하다. 

명동, 현대와 전통이 만나는 거리
▲ 서울의 중심 거리 명동, 현대와 전통이 만나는 거리
ⓒ 송유미

관련사진보기



태그:#명동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마음이 곧 인간이다고 한다. 지식은 곧 마음이라고 한다. 인간의 모두는 이러한 마음에 따라 그 지성이 나타난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