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인천 아시안경기대회 주 경기장 신설을 촉구하는 건의문을 인천시의회 의원들이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에게 전달하고 있다.(제공:인천시의회)

2014년 인천 아시안경기대회 주 경기장 신설을 촉구하는 건의문을 인천시의회 의원들이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에게 전달하고 있다.(제공:인천시의회) ⓒ 한만송

 

 <연재순서>

1. 주경기장 신설 놓고, 인천시와 정부 대립

2. 개·폐회장, 꼭 7만석 규모여야 하는가?

3. 경기장 신설과 유지관리비 누가 책임지나?

4. 만약 대구와 부산이라면, 정부 계속 반대할까?

5. 시민사회·야당, 우려하지만 대놓고 반대 못하는 심정

2014년 인천아시아경기대회 주경기장 신설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동북아의 허브 도시로 도약을 준비하고 있는 인천시는 7만석 규모의 개·폐회장 확보는 아시아올림픽평의회(OCA: Olympic Council of Asia)의 의무사항으로 반드시 주경기장을 신설해야 한다는 의견인 반면, 주무 부처인 문화체육관광부는 문학경기장을 리모델링해 활용하자며 반대 입장을 보이고 있다.

 

인천시는 인천지역 여당 국회의원까지 동원해 중앙정부를 압박하고 있지만, 한승수 국무총리까지 나서서 경기장 신설을 반대하는 입장을 보여 인천시와 중앙정부 사이의 의견 대립이 1년 넘게 이어져오고 있다.


한 총리는 지난달 3일 한나라당 소속 조진형(부평갑) 국회의원의 국회 대정부 질문 답변에서 "인천시가 2005년 6월 OCA에 경기대회 유치 제안서를 제출할 때 5만석 규모의 문학경기장을 주경기장으로 사용한다는 계획을 이미 제출했으며, 인천시는 정부에 대회 유치 승인을 신청할 때도 문학경기장을 사용한다고 했기에 정부도 승인한 것"이라며, 반대 입장을 분명히 밝혔다.


이런 상황으로 인해 인천시민들 사이에서도 주경기장 신설을 찬성하는 의견과 중앙정부의 우려와 같이 세금 낭비라며 반대하는 의견이 대립하고 있다. 국제적 행사를 준비해야 할 시간이 점점 줄어들어 우려가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부평신문>은 5회에 걸쳐 아시안게임 주경기장 신설을 둘러싼 논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인천 아시안게임, 2014년 9월 19일~10월 14일, 16일간 개최


2014년 인천 아시아경기대회는 9월 19일부터 10월 14일까지 16일 동안 개최된다. 대부분의 경기가 개최 도시인 인천에서 진행되지만, 부족한 시설 등으로 인해 수도권의 다른 지역에 있는 국제규격의 경기장에서도 일부 종목이 진행된다.


유치 제안서에 의하면 37개 종목이 진행되는데, 카타르 도하 아시안게임이나 16회 광저우 아시안게임을 고려할 때 종목 수가 늘어날 가능성도 있다.


대회는 지난해 10월 구성된 제17회 인천아시아경기대회조직위원회(IAGOC)가 주관하며,  OCA가 개최하는 형식을 갖춘다. OCA는 45개 회원국으로 구성됐으며, 인천대회에는 OCA 회원국 선수와 임원 1만 5000여명이 참석할 것으로 전망한다.

 

아시아경기대회를 유치하기 위해서는 각종 사회적 인프라가 시급히 구축돼야 한다. 당연히 국제규격의 경기장과 선수촌 등 각종 편의시설 등이 준비돼야 한다. 특히 경기장과 선수촌은 45개 국가에서 참여하는 선수단과 보도진 등 2만여명이 사용하는 시설로서, 쾌적하고 안락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준비해야한다. 


대회 관련 시설은 국가보조와 수익사업 등을 통해서 재원을 조달, 인천시가 준비하겠지만 아시아경기대회가 국가적 차원의 대회인 만큼 국가의 행정·재정 지원이 절실하다는 것이 인천시의 의견이다. 


아시아경기대회의 주요 준비사항은 OCA헌장과 개최 도시 계약서 등에 명시돼있다. OCA 헌장과 개최 도시 계약서 등에 따르면, 개·폐막식의 행사장인 주경기장의 좌석 수용인원을  7만명 이상 요구하고 있다.


또, OCA헌장에는 ▲ 모든 경기장 시설 간 상호근접성이 적절해야 하며, 조성 예정인 선수촌으로부터 편리한 곳에 위치(44조) ▲ 개회식과 폐회식의 내용과 자세한 제재와 시나리오, 일정 그리고 프로그램은 OCA 승인(62조) ▲ 선수촌 디자인 레이아웃은 평의회 승인(74조) 등이 명시돼 있다.


지난해 4월 17일 체결된 개최 도시 계약서 22조에는 선수단, 임원을 위한 선수촌은 최소 1만 3000명 규모로 신축해야하며, 선수촌과 종합경기장은 도보로 이동이 가능한 거리이거나, 혹은 셔틀수송수단으로 45분 거리 이내(선수촌 지침서)이어야 한다. 미디어 종사자를 위한 숙소는 최소 7000명을 예상하는 것으로 돼있다.


특히 대회 경기장과 관련해 계약서 29조에는 '개최 신청서 상의 도시와 NOC가 제안한 경기장의 크기, 내용 및 위치와 관련해 IFs 및 AFs 동의와 OCA의 승인 없이는 변경될 수 없다'고 명시했다. 

 

 2014년 인천 아시아경기대회 조직위원회 발기인대회 및 창립총회에서 축사를 하고 있는 안상수 인천시장. 인천시는 주경기장 신설을 계속적으로 요구하고 있다.

2014년 인천 아시아경기대회 조직위원회 발기인대회 및 창립총회에서 축사를 하고 있는 안상수 인천시장. 인천시는 주경기장 신설을 계속적으로 요구하고 있다. ⓒ 한만송

 

주경기장 신설 여부 빠른 결단 필요 


인천시는 계약서에 의거해 주경기장을 비롯한 일반 경기장 확보를 조속히 추진해야 한다며, 경기장 확보에 매진하고 있다. 각종 행정절차 이행과 설계·토지보상·공사 등 절대공기 등을 감안할 때 계획이 조속히 확정돼 추진돼야하는 상황이다. 그러나 주경기장 사업계획에 대한 중앙정부와의 이견으로 경기장 확보사업이 계속 지연되고 있는 실정이다.


적어도 대회 개최 1년 전에는 주경기장이 완공돼 대회를 준비해야 하기 때문에 2013년에는 주경기장 사용이 가능해야 한다. 이렇게 놓고 볼 때 주경기장을 완공하는 데 필요한 시간은  4년 10개월밖에 남지 않았다.


부산 주경기장의 경우 1996년 3월 착공해 2001년 7월 준공까지 5년 6개월이 걸렸으며, 인천 월드컵문학경기장은 1994년 7월 착공해 2002년 2월 준공까지 7년 7개월이 소요됐다.

이를  감안할 때 2014년 아시아경기대회 주경기장 신설이 꼭 필요하다면 절차를 더 이상 뒤로 늦출 수 없는 실정이다. 공사기간만 고려해도 주경기장 신설 여부에 대한 조속한 결단이 필요하다.


반면, 중앙정부는 일회성 행사 비용으로 과다한 건설비가 투자되고 대회 이후 적자 운영 등 사후관리에 문제가 있다며, 주경기장 건설 승인을 유보하고 있다. 특히 정부는 2002년 한일 월드컵 때 지은 전국의 10개 경기장 중 서울상암경기장을 제외하고는 모두 적자 운영을 하고 있어 주경기장 실설보다 문학경기장 재활용 쪽으로 정책방향을 정했다.


선수촌·미디어촌 부지 확보도 과제


주경기장 신설과 함께 선수촌과 미디어촌 설립 부지 확보 또한 과제다. 인천시는 개발제한구역 내 선수촌과 미디어촌 건설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OCA 규정에는 경기운영과 선수들의 편의를 위해 선수촌은 주경기장 인접지에 확보하도록 하고 있다. 주경기장 인접지역이 모두 개발돼 가용 토지 확보가 현실적으로 불가한 점을 고려할 때 시의 주장처럼 개발제한구역 활용이 불가피하다고 볼 수 있다.


선수촌과 미디어촌의 위치는 주경기장과 연계해 결정돼야하며, 주경기장이 어떤 위치에 결정되든 개발제한구역의 활용이 불가피하다.

주경기장 신설 예정지와 근거리에 위치해 선수촌으로 검토되고 있는 서구 연희동·공촌동 등은 인천국제공항과 근접해있고 지하철·고속도로·간선도로 등과 연계돼 접근성이 양호하며 가용부지로 약 100만㎡의 토지 확보가 가능하다.

덧붙이는 글 | 이기사는 부평신문(http://www.bpnews.kr)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2008.12.08 17:47 ⓒ 2008 OhmyNews
덧붙이는 글 이기사는 부평신문(http://www.bpnews.kr)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인천시 문화체육관광부 주경기장 2014년 인천 아시아 경기대회 OCA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