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우리서점> 들어가는 길목. 간판이 조그마해서 지나치는 사람이 많습니다.
▲ 책방 앞 <우리서점> 들어가는 길목. 간판이 조그마해서 지나치는 사람이 많습니다.
ⓒ 최종규

관련사진보기

 (1) 술자리

홍제동에 사는 선배가 저녁에 술 한잔 마시자고 합니다. ‘집에 들어오면 늘 마시지 않아요?’ 하고 물으니, ‘오늘은 밖에서 마시는 거예요’ 하면서, 전철역 숙대입구 둘레에서 만나자고 합니다.

‘나는 돈이 없는데’ 하니 ‘종규씨 돈 없는 거 내가 잘 알지. 아무렴, 없는 사람보고 돈 내라고 하겠어요. 그냥 와서 옆에 껴 앉아서 마시면 돼요’ 합니다.

그러면 그렇게 하겠다고 하면서, 저녁 나들이에 앞서 몇 가지 글을 부지런히 씁니다. 만날 시간을 한 시간 반쯤 앞두고 자전거를 몰고 나갑니다.

술자리가 있는 숙대입구역 둘레에 있는 헌책방으로 갑니다. 술은 술이고 책은 책. 술자리에 가게 되면 책은 못 읽을 터이니, 잠깐이나마 머리를 채워 놓으려 합니다.

호젓하게 책을 구경한 지 삼십 분쯤 지날 무렵, 선배한테 전화가 옵니다. 사람들이 다 모였다고 합니다. 아직 시간은 한 시간이나 남았는데 벌써 만나나. 책 보러 온 지 얼마 안 되었는데. 곧 가겠다고 전화를 끊고 부랴부랴 고른 책을 셈하고 나옵니다. 모처럼 왔는데 너무 일찍 책방 문을 나서야 하니 아쉽습니다. 이곳 숙대입구역 둘레 헌책방〈우리서점〉에 자주 찾아오지 못하고 있어서 더 아쉽습니다.

바깥 술자리에서 만나기로 한 사람은 임영인 신부, 이지상 가수, 백수연대 일을 맡은 분과 다른 여러 사람. 무슨 모임인가 궁금했으나, 딱히 다른 모임은 아니고 ‘그냥 술 마시는 자리’라고 합니다. 사람들은 이 동네에서 이름난 곳이라 하는 매운찌개집으로 갑니다.

저는 매운것을 거의 못 먹지만, 모든 분들이 매운찌개를 맛난 밥으로 여기고 있으니 말없이 따라갑니다. 우리가 들어간 매운찌개집은 발디딜 틈 없이 손님으로 들어차 있습니다. 가게는 작고 사람은 많고 시끄럽고 붐비고. 거기에다가 매운찌개는 아주 시뻘겋고, 딸려 온 반찬은 하나같이 매운 반찬뿐. 모인 사람이나 다른 자리 사람이나 땀 뻘뻘 흘리며 찌개를 먹지만, 저는 수저 한 번 대지 못한 채 술잔과 물잔만 비웁니다. 그렇다고 술자리에서 나누는 이야기가 귀에 와닿지도 않습니다.

이 자리는 내가 있을 자리가 아니라는 생각이 꾸물꾸물 듭니다. 아무리 주머니가 후줄근하여 술 한잔 얻어마신다고 해도, 이런 술자리라면 얻어마시고 싶지 않습니다. 그저 조용히 헌책방 한쪽 구석에 틀어박혀서 늦도록 책과 어울려 있은 다음, 구멍가게에서 맥주 한 병 사다 마실 때가 훨씬 낫습니다. 몸이 타고 마음이 타다가는 머리가 어질어질합니다.

모인 사람들은 ‘남다른 맛’으로 매운찌개를 시켜 먹었으나, 그릇을 비우지 못하고 퍽 많이 남깁니다. 다른 자리 사람들이라고 해서 저 매운찌개를 깨끗이 비우지는 못합니다. 참 아깝다는 생각이 들고, 그릇을 싹싹 비우지 못할 밥을 왜 ‘남다른 맛’이라며 먹어야 하나 싶습니다. 모두들 너무 배부르게 먹어대며 혀만 즐겁게 하고 있지 않나 싶습니다. 괴롭고 힘들고 머리 아프고 속쓰린 시간은 하염없이 흐르고 흐릅니다.

물결처럼 출렁거리듯 휘어진 책시렁. 그래도 이 책시렁마다 깃든 책이 부르는 목소리를 들을 때면 흐뭇합니다.
▲ 책시렁 물결처럼 출렁거리듯 휘어진 책시렁. 그래도 이 책시렁마다 깃든 책이 부르는 목소리를 들을 때면 흐뭇합니다.
ⓒ 최종규

관련사진보기


 (2) 잠깐 사이 고른 책

어영부영 술자리를 마무리 짓습니다. 모두들 뿔뿔이 제 갈 길로 흩어집니다. 저도 오늘 하루 잠자리를 얻어 지낼 홍제동으로 자전거를 타고 갑니다. 잠자리에 닿은 뒤, 가방을 열어 방바닥에 책을 죽 펼쳐놓습니다. 부랴부랴 고른 책들이라 책방에서는 거의 넘겨보지 못했고 후다닥 책값만 치렀습니다. 술 한잔 들어가기는 했으나 마음은 멀쩡합니다. 몸을 씻고 숨을 고른 뒤 오늘 내 품에 안긴 책들을 찬찬히 헤아려 봅니다.

먼저 《김순덕-엄마, 나만 왜 검어요》(정신사,1965)를 넘깁니다. 한국땅에 들어온 미군 병사, 이 가운데 살갗 까만 병사하고 잠자리를 함께한 아주머니가 낳은 “살갗 까만 아이”가 겪은 일이 그려져 있습니다. 이 아이는 호적에도 올리지 못했다고 합니다. 국적도 없다고 합니다. 그저, ‘순덕’이라는 이름 하나 얻었을 뿐이랍니다.

겉그림은 참 얄궂게 넣은 책 <엄마, 나만 왜 검어요>. 살결 까만 한국 아이 이야기책인데 겉그림은 영...
▲ 겉그림 겉그림은 참 얄궂게 넣은 책 <엄마, 나만 왜 검어요>. 살결 까만 한국 아이 이야기책인데 겉그림은 영...
ⓒ 최종규

관련사진보기

.. 그날도 나는 선생님이 들어오시기 전에 칠판과 교탁, 교단 등을 깨끗이 걸레질을 하고 있는데, 어떤 아이가 나를 놀려댔읍니다. “쳇! 순덕이 저년은 선생님한테 신용 얻을랴구 저런다.” 또 딴 아이가, “흥, 제까짓 깜둥이가 신용을 얻으면 얼마나 얻을라구…… 야! 튀기야! 그 칠판 아무리 닦아 봐야 네 얼굴하고 똑같애!” 아이들은 까르르 웃었읍니다. 나는 약이 올라서 쥐고 있던 걸레를 그 아이한테 힘껏 던졌읍니다. 그러나 걸레는 겨우 그 아이의 발밑에 가 떨어졌을 뿐입니다 ..  (117쪽)

학교에 가면 미움과 놀림을 받는 순덕이. 살결이 다르다며 미워하고 놀리는 동무들. 살결 까만 아이는 오늘날에도 놀림을 받습니다. 살결이 하얀 아이가 놀림받는 일이란 없습니다. 살결 까만 겨레도 한국에서 푸대접을 받습니다. 살결 하얀 겨레가 한국에서 푸대접 받는 일이란 없습니다.

때때로, 요즈음 아이들이 학교에서 동무들을 따돌리는 이야기를 듣습니다. 동무들을 ‘생일잔치에 초대’할 때에 ‘어머니가 부르라는 아이’만 골라서 부르고, 무엇이든 ‘어머니가 시키는 대로’ 따르며, 어머니는 손전화로 아이한테 ‘이때에는 이것 하고 저때에는 저것 하라’며 시시콜콜 다그친다고 합니다.

헌책방 나들이를 하며 책방에서 부대끼는 젊은 어머님들이 당신 아이한테 전화 하는 모습을 옆에서 ‘어쩔 수 없이 들을라치면(목소리가 크시니)’ 한결같이 학원은 갔느니 숙제는 했느니 문제집은 풀었느니 하는 이야기만 묻습니다.

일본에서 ‘왕따’라는 말이 들어오기 앞서부터, 우리한테도 ‘돌림뱅이’가 있어서 또래 동무를 괴롭혀 오지 않았나 싶습니다. 동무들끼리 따돌리고, 동무들 부모님이 따돌리며, 학교에서 교사가 따돌립니다. 집에 돈이 많건, 시험성적이 뛰어나건, 얼굴이 예쁘장하건, 힘이 세건, 무언가 하나 내세울 만하지 못하다면 동무나 이웃이나 교사한테 사랑받기는 힘들지 않았느냐 싶습니다. 동무들 사이에서만 아니라 식구들 사이에서도 마찬가지로.

.. 나보다도 더 검은 엿장수가 나보고 “깜둥아! 엿 좀 사먹어라!” 하고 놀렸읍니다. 나는 들은 척도 않고 엄마만 찾았읍니다. 그러다가 본부석 근처에서 오빠를 발견했읍니다. 나는 기뻐서 오빠의 등 뒤로 다가가 허리를 꾹! 찔렀읍니다. 오빠는 나를 휙 돌아다보더니, 다짜고짜로 나의 정갱이를 탁! 찼읍니다. 난 아파서 어쩔 줄을 몰랐읍니다. 오빠는 다시 발돋움을 하고, 어른들의 어깨 사이로 운동장 안을 여전히 구경하는 것이었읍니다 ..  (77쪽)

그러고 보면, 한국땅 이주노동자 가운데 살결 하얀 나라에서 온 사람들은 높이높이 떠받들립니다. 살결 까맣거나 까무잡잡한 나라에서 온 사람들은 낮게낮게 얕잡힙니다.

살결 하얀 나라에서 쓴 책은 숱하게 옮겨집니다. 살결 까만 나라에서 쓴 책은 웬만해서는 옮겨지지 않습니다. 유럽문학과 일본문학은 번역이 되어도 중남미문학이나 아프리카문학이 번역되는 일이란 드뭅니다. 중국문학과 인도문학까지는 번역을 해도 동남아시아문학이나 중부아시아문학을 번역하는 일 또한 드뭅니다.

엘리아스 카네티 님 책 가운데 하나인 <말의 양심>
▲ 겉그림 엘리아스 카네티 님 책 가운데 하나인 <말의 양심>
ⓒ 최종규

관련사진보기

《엘리아스 카네티/반성완 옮김-말의 양심》(한길사,1984)이라는 책을 펼칩니다. 이이 책을 즐겨읽는 분이 제법 되고, 판이 끊어진 《말의 양심》을 찾는 분도 퍽 있습니다.

가끔 이 책을 헌책방에서 찾아 주기도 하면서, 이이 엘리아스 카네티 글이 얼마나 좋기에 그렇게 찾는가 싶어 궁금했습니다. 저도 한번 읽어 보고 헤아려 보고자 합니다.

.. 모든 것을 진정으로 알려고 하는 자는 자기 자신의 예를 통해서 가장 잘 배운다. 그러나 자신을 조금도 용서해서는 안 되며, 또 자신을 마치 다른 사람인 양 엄격하고 가차없이 다루어야 한다. 많은 일기가 황량한 인상을 주는 이유는 스스로를 진정시키고자 하는 요소가 전혀 없기 때문이다 ..  (78쪽)

한국땅에서 외롭게 살아가는 아픈 사람들 이야기를 ‘사실문학’으로 부지런히 담아내던 표문태 님 수필 《천도복숭아의 신화》(새밭,1979)를 읽습니다. 책은 좀 낡았으나, 좀더 깨끗한 판으로 만나기를 기다리자면 끝끝내 못 읽을 수 있겠다고 생각하면서 집어듭니다.

겉은 낡고 종이는 닳았어도 줄거리를 읽으며 곰삭이는 데에는 아무 어려움이 없습니다. 다만, 좀더 마음을 기울여 읽어 주어야 합니다. 누워서 읽을 수 없고, 책장을 팍팍 넘겨도 안 됩니다. 조금만 힘 주어도 다치거나 찢어질세라 살며시 책장을 넘기고, 빈자리에 끄적끄적 할 때에도 힘을 조금만 주면서 적습니다.

.. 정말, 학생들 입에서 기탄 없는 비평이나 악의 없는 독설을 들을라치면 흔쾌하다 못해 쾌재를 부르고 싶어진다 … “그런 얘기라니? 어떤 얘기가 재미있니?” “가난한 사람이 돈이 생기는 얘기 말야. 집 없는 사람이 집도 생기면 더 재미있지.” 그래서 아버지는 애기가 청하는 대로 가난한 사람이 잘살게 되는 얘기를 해야 했다.

“서울 어느 곳에, 아버지 어머니와 일곱 살 난 어린 딸 세 가족이 삭월세 방을 빌려 살고 있었는데, 집이 하도 가난해서 방세를 석 달이나 못 냈다는 거야.” “그 애 아버지도 글 쓰는 사람?” “그래, 아마 글쓰는 사람인가 봐.” “글은 써서 뭣 해. 제 집도 하나 없으면서. 그 애 아버지도 심심하면 신문 사 본대?” “심심 안 해도 신문은 사 보는 거야.” “나 같으면 신문 안 보고 모아서 집세 내겠어.” …… “아버지, 그 사람들 방은 구했대?” “못 구했지. 정월 초하룻날에 어디서 방을 구했겠니. 돈도 없었다는데.” 애기 눈에는 벌써 눈물이 글썽인다. 손등으로 쓱 문질고는 곧장 계속해 달라고 한다 ..  (210, 216∼217쪽)

표문태 님 수필을 담은 <천도복숭아의 신화>. 겉장이 떨어져 나갔고 무척 낡았으나, 읽는 데에는 아무 어려움이 없습니다.
▲ 겉그림 표문태 님 수필을 담은 <천도복숭아의 신화>. 겉장이 떨어져 나갔고 무척 낡았으나, 읽는 데에는 아무 어려움이 없습니다.
ⓒ 최종규

관련사진보기

헌책방 나들이를 하면서 아주 드물게 표문태 님이 쓴 책이나 옮긴 책을 봅니다. 틈틈이 하나하나 갖추어 놓으면서 읽는데, 표문태 님은 1970년대부터 ‘원폭 피해자’ 문제와 ‘사할린 한겨레’ 문제와 ‘핵무기’ 문제 들을 다루는 글을 쓰는 한편, 나라밖 책을 우리 말로 옮겼습니다.

그런데 이런 이야기를 다룬 책은 요즈음도 거의 읽히지 않습니다만, 지난날 1970∼80년대에는 더더욱 읽히지 않았습니다. 이런 판에, 글을 쓰고 책을 내어 세상을 밝게 하고프다는 꿈을 품는 사람이 살림이나마 제대로 꾸리면서 살았을까요(표문태 님은 2007년 9월 9일 아흔셋이란 나이로 세상을 조용히 떠났습니다).

.. “그러니 당신도 군것질거리를 쓰요. 하루 세 끼 밥만 먹구는 못 사는 세상인가 봐. 남순네 장사 되는 거 봐요. 군고구마 놓고 심심찮게 재미본대요.” “우리에겐 군것질거리는 아직 때가 일러요. 한쪽에선 끼니꺼리도 모자라고, 또 끼니 걱정없는 사람들은 정식 끼니의 맛도 잘 모르는 판이니까.” ..  (220쪽)

《山口久代/임옥인 옮김-사랑과 죽음이 남긴 것》(신태양사,1962)이라는 손바닥책을 봅니다. 어린 나이에 세상을 떠나고 만 아이를 생각하면서 쓴 글을 모았습니다. 책을 집어들면서 ‘참, 궂기구나’ 하는 생각과, 이렇게나마 아린 마음을 글로 적바림하면서 마음풀이를 할 수 있었다면 그나마 덜 아릴테지 하는 생각이 듭니다.

《R.볼트만/유동식 옮김-성서의 실존론적 이해》(신양사,1959)라는 작은 책을 살핍니다. 책 안쪽에 낡은 신문 쪼가리가 붙어 있습니다. 이 책이 나올 무렵 이 책을 소개한 어느 신문기사입니다.

- 그러나 성서는 2천년 전에 쓰여져 있는 것이기 때문에 그 사상적 구성이나 언어적인 표현에 있어서 고루한 점이 많이 있고, 또 우주관이나 인생관에 있어서도 신화적인 요소도 많이 들어 있음을 부인할 수 없는 바이다. 이러한 신화적인 표현을 제거하고 현대적인 양상에서 새롭게 성서의 진리를 해석해야 된다는 학설을 들고 나온 이가 곧 독일 맑븕스대학의 교수인 ‘루우돌푸 뿔흐만’ 박사인 것이다 …

누렇게 바래어 버린 신문기사를 읽다 보니, 글쓴이 이름을 ‘루우돌푸 뿔흐만’으로 적습니다. 책에는 틀림없이 ‘볼트만’으로 되어 있는데. 거참. 신문기사는 틀림없이 출판사가 보내 준 책을 받아보고 소개글을 실었을 테고, 책에 적힌 글쓴이 이름은 ‘볼트만’인데 ‘뿔흐만’으로 적은 까닭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마지막으로 사진책 《서헌강-얼굴》(경기문화재단,2002)을 훑습니다. 사람들 ‘얼굴’을 담은 사진책이라 《얼굴》이지만 사진이며 책 짜임새며 영 마음에 들지 않습니다. 그러나, 한국 사진쟁이가 낸 책이고 한국 사진책이라서 집어들었습니다. 어설프고 모자라다고 해도, 우리네 사진문화나 눈높이가 이만큼밖에 안 된다면 이만큼이라도 살펴야겠지요. 전문작가라고 내로라 하는 분이 이만한 사진책밖에 못 낸다면, 이런 책이나마 자료로 여기며 사두어야겠지요. 어줍잖은 책 하나 끝까지 넘기다가 닫는 손이 부들부들 떨립니다.

쌓이기도 하고 꽂히기도 하는 책들. 이 책들은 저마다 다 다른 이야기와 냄새와 맛을 품고 우리를 기다립니다.
▲ 책들 쌓이기도 하고 꽂히기도 하는 책들. 이 책들은 저마다 다 다른 이야기와 냄새와 맛을 품고 우리를 기다립니다.
ⓒ 최종규

관련사진보기


 (3) 헌책방으로 튀자

두어 시간쯤 책을 읽고 덮고 하면서 죽 살피다가 잠이 듭니다. 이튿날 아침에 일어나서 이 책 저 책 조금씩 들추어봅니다. 서울 나들이를 마치고 집으로 돌아가면서 다시 펼쳐 읽습니다.

후아, 숨 한 번 크게 들이쉬며 생각에 잠깁니다. 다음에 또, 어제 같은 술자리가 생긴다면, 그때에는 ‘다른 볼일이 있어서…’ 하면서 먼저 일어나야겠다고 다짐합니다. ‘아니, 술을 마시다가 말고 무슨 볼일이?’ 하고 누군가 묻는다면 ‘저기, 헌책방에서 저를 기다리는 책들이 부르는 소리 때문에 도무지 이 자리에 앉아 있을 수가 없어서요. 아무래도 저한테는 술보다는 책이 더 좋아서 이만 일어나야겠습니다.’ 하고 자리를 떠야겠다고 다짐합니다. 뭐, 아무도 안 묻고 딱히 붙잡는 사람 또한 없다면 속으로 고마워하면서 냉큼 일어나서 헌책방으로 튀어야지요.

덧붙이는 글 | - 서울 숙대입구역 앞 〈우리서점〉 / 02) 798-5589

글쓴이 인터넷방이 있습니다.
http://hbooks.cyworld.com (우리 말과 헌책방)
http://cafe.naver.com/ingol (인천 골목길 사진)



태그:#헌책방, #우리서점, #숙대입구, #책읽기, #술자리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새로 쓴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를 꾸린다. 《쉬운 말이 평화》《책숲마실》《이오덕 마음 읽기》《우리말 동시 사전》《겹말 꾸러미 사전》《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시골에서 도서관 하는 즐거움》《비슷한말 꾸러미 사전》《10대와 통하는 새롭게 살려낸 우리말》《숲에서 살려낸 우리말》《읽는 우리말 사전 1, 2, 3》을 썼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