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드디어 아이튠스(iTunes)의 음악 판매가 미국 시장에서 월마트(Walmart)를 넘어 1위에 올랐다. 월마트의 판매 수익은 주로 CD에 의존한 반면, 아이튠스는 전적으로 디지털 싱글과 디지털 음반만 판다.

 

아이튠스는 태어난 지 채 5년이 되지 않는 기간 동안에 무려 40억 곡의 노래를 팔았다. 아이튠스의 성장은 CD라는 음악 매체가 MP3로 대표되는 본격 디지털 음악으로 교체되고 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이미 예견됐던 일이지만 생각보다 변화의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며칠 전에 음반 가게에 놀러갔는데 매장이 아주 썰렁하고 신보도 제대로 갖춰놓지 않아서 적잖이 실망했다. 예전 같으면 신보를 들을 수 있도록 해놓고 친절하게 설명도 붙여놓았을 텐데 설명도 없을 뿐더러 플레이어에 CD가 들어있는 것도 몇 개 되지 않았다. 그만큼 CD가 팔리지 않는다는 걸 피부로 느낄 수 있었다. 또 나온 지 얼마 되지도 않은 CD를 거의 반값에 처분하고 있었다.

 

MP3 시대, 사람들은 왜 콘서트장에 갈까

 

나는 아직까지 주로 CD로 음악을 듣는다. 너무 빠르게 변해가는 세상이 좀 야박하게 느껴진다. 아직 갈아탈 준비가 되지 않았는데, 시간이 더 필요한데, 다른 소비자나 음악 시장은 벌써 저만치 달려가고 있다. 나만 뒤처져 우두커니 서있는 것 같은 심정이다.

 

하지만 나도 별 수 없이 세상에 맞춰가기로 했다. 그래서 MP3플레이어를 사서 운전할 때나 운동할 때마다 듣는다. 바깥에 돌아다니면서 음악을 들을 때는 MP3플레이어만큼 편한 것도 없다. 하지만 집에 들어와서 음악을 들을 때는 CD장을 뒤지게 된다. MP3로 압축되어 조그만 이어폰에서는 들리지 않던 소리가 스피커로 퍼져나올 때의 쾌감을 아직 포기할 수 없다.

 

보관과 이동이 자유롭고 편리한 MP3를 전적으로 받아들이지 못하는 나의 촌스런 감수성은 어쩔 수 없다. 사실 CD나 그 이전에 있었던 LP도 공연을 대체하는 편리한 기술로 개발된 것이니 신기술의 등장으로 쇠퇴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다만 나에게는 CD에 얽힌 추억이 많아서 함부로 버릴 수 없다. CD는 음악을 듣는 기술만이 아니라 감수성의 영역이 되어있다.

 

이런 현상은 어떤가. 랩퍼 '제이지(Jay-Z)'는 라이브 네이션(Live Nation)이라는 거대 콘서트 회사와 1억5000만 불이라는 어마어마한 계약을 체결했다. 라이브 네이션은 유투(U2), 마돈나(Madonna)와도 비슷한 계약을 맺은 바 있다. CD 판매가 바닥을 치고 있는 상황의 돌파구를 공연에서 찾으려는 노력이다. 콘서트 공연이 다시 전성기를 맞이할 것인가. 누구도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지만 암울하지는 않다. 이들 콘서트 표는 연일 매진이며 장기 순회 공연 일정도 빡빡하게 잡혀 있다.

 

대중 공연은 점점 늘어나는 추세며 좌석 매진율도 늘어나고 있다. 셀린 디온의 라스베이거스 공연은 처음 우려와 달리 천문학적 돈을 벌어들였다. 가수들은 CD를 홍보하기 위해서 전국 순회공연을 시작하지만 오히려 공연이 더 성공을 거둬서 공연을 늘이는 경우가 흔해졌다. 오히려 순회 공연이 라디오보다 더 빠르게 전국의 팬들을 찾아가기도 한다.

 

음악 산업의 위기는 대중들이 음악을 듣지 않아서 생긴 일이 아니다. 오히려 인터넷, 컴퓨터, 공연장 등으로 대중들이 더 몰려가고 있다. 음악 산업의 위기를 불법복제 탓으로만 돌리는 안일한 생각은 지금의 위기는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 달라진 대중의 취향에 맞춰서 새로운 시도를 해야 한다.

 

불법복제 때려잡으면 음악계가 살아나나?

 

 

DRM(불법 복제·변조를 막는 장치)을 제거한 MP3가 보편적인 디지털 싱글 판매의 표준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미국 최대의 인맥 사이트인 마이스페이스(Myspace)도 아마존에 이어 DRM을 제거한 MP3 판매를 시작했다. 돈을 주고 사고도 음악을 마음대로 듣지 못하는 DRM기술은 구시대적 기술로 인식되고 있다. IT강국으로 세계에 알려진 한국은 이런 세계적 추세에 약간 뒤처진 것 같다. 한국의 DRM 기술은 세계적일지 모르나 음악 문화는 그렇지 못하다.

 

음악을 같이 듣고 즐기는 문화는 인류의 역사와 함께 해 왔다. 이제는 음악을 공연으로도 즐기고 편하게 디지털로도 즐기는 세상이 됐다. 대중을 조작하고 함부로 대하는 문화에서는 음악산업도 살아남을 수 없음을 깨달아야 한다. DRM 문제만이 아니다. 대중을 모두 불법복제자나 적으로 모는 적대적 문화는 모두가 자멸하는 길이다.

 

소비자도 달라진 환경에 맞춰 변해야겠지만 음악가나 음악산업도 예외가 아니다. 거대 음악기업이 지배하는 사회의 음악은 지나치게 획일화됐다. 기계 뽑듯이 생산한 똑같은 음악도 지금의 위기를 초래하는 데 일조했다. 유기농이 유행하듯이 독립 레이블이 생겨나고 있다. '마리아 슈나이더(Maria Schneider)'는 거대 음반사에서 자신의 뜻을 펼치지 못하자 아티스트쉐어(ArtistShare)라는 독립 서비스를 이용하여 음반을 직접 제작하고 판매한다.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음악생태적인 변화다.

 

음악산업 관계자들은 불법복제만 때려잡으면 음악산업이 다시 살아날 것이라 믿는다. 이는 위기는 자신들이 만들고, 그 책임은 소비자에게 떠넘기려는 무책임한 태도다. 음악을 즐기려는 소비자가 사라진 세상 속에 울려 퍼지는 음악은 공허한 메아리에 불과하다.

덧붙이는 글 | 이 글은 기자의 개인블로그(http://ryudonghyup.com/2008/04/04/mp3-rise/)에서도 보실 수 있습니다.


태그:#MP3, #CD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류동협 기자는 미국 포틀랜드 근교에서 아내와 함께 아이를 키우며, 육아와 대중문화에 관한 글을 쓰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