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 오녀산성에서 바라본 환인의 모습
ⓒ 김기동
오녀산성에 오르면 환인의 광활한 분지와 혼강이 내려 보인다. 혼강은 인근에 환인댐이 건설됨에 따라 모습이 많이 달라졌다고 한다.

추모왕이 건넜다는 엄리대수는 어디였을까?

추모왕이 북부여에서 길을 떠나 남으로 내려가는 도중에 부여의 엄리대수라는 물가에 다다라 '나는 천제의 아들이며 하백의 따님이 어머니인 추모왕이다. 나를 위해 갈대를 연결하고 거북이 무리를 짓게 하라'고 말하자 곧 갈대가 연결되고 거북 떼가 물위로 떠올라, 강을 건널 수 있었다고 '광개토대왕비문'에 기록되어 있다.

사진 좌측으로 보이는 현재의 혼강을 엄리대수로 보기도 한다. <삼국사기>에는 추모왕이 강가에 이르러 물을 건너가려 할 때 뒤따라오는 군사에게 붙들릴까 염려되는 상황에서 물고기와 자라가 떠올라 무사히 강을 건널 수 있었다고 쓰여 있다.

북부여의 군사가 추모왕을 뒤쫓아 왔다면 북부여에서 멀리 벗어나지 못한 것으로 생각되며, 그렇다면 엄리대수는 북부여 인근을 흐르는 북류 송화강 부근이거나, 아니면 환인 서북쪽에 위치한 통화를 흐르는 혼강 상류가 아니었을까 생각된다.

▲ 환인 비류수에 도착한 추모왕 일행
ⓒ 강맹산 [고구려의 발자취]
추모왕은 북부여를 출발할 때 오이, 마리, 협보 세 사람과 함께 하였으며, 남쪽으로 이동하는 도중에 재사, 무골, 묵거를 만나는 등 어느 정도 규모의 군사력을 갖추었으나 그 세력은 미약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추모왕이 도착한 졸본 비류수(현재의 환인 혼강)부근에는 이미 부여에서 먼저 내려온 다른 세력들이 많았다.

<삼국사기 백제본기>에는 추모왕이 졸본부여에 이르렀더니 졸본부여왕이 아들은 없고 다만 딸 삼형제가 있었다면서, 부여왕은 추모왕이 보통 사람이 아님을 알고 둘째 딸을 아내로 삼게 하였다고 돼 있다. 그 뒤 얼마 되지 않아서 졸본부여왕이 죽고 추모왕이 왕위를 이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일설에는 졸본사람 연타발의 딸 소서노가 처음 우태와 결혼하여 아들 둘을 낳았는데 우태가 죽은 뒤 북부여에서 도망온 추모왕과 결혼하였다고 기록하고 있다.

추모왕이 환인에 도착하여 나라를 세우기까지 환인 토착세력의 협조가 절대적이었음을 알 수 있다.

▲ 오녀산성에서 바라본 비류수의 모습
ⓒ 김기동
추모왕은 고구려를 건국한 후 비류수에 채소 잎이 떠내려 오는 것을 발견하고 그 상류지방에 사람이 사는 줄 알고 찾아 올라가 송양이 왕으로 있는 비류국에 도착하게 된다.
비류국에 도착한 추모왕은 비류국의 송양을 제압한 후 그 지방을 '다물도'로 칭하고 송양에게 비류지역의 자치권을 부여하는 방법으로 송양 세력을 고구려에 편입시킨다.

▲ 추모왕에게 항복하는 비류국의 송양
ⓒ 강맹산 [고구려의 발자취]
'다물'이라는 말은 과거의 땅을 회복한다는 의미를 가진다. 추모왕이 환인에 도착하여 처음으로 영토를 확장한 지역이 송양의 비류국이었다. 추모왕이 비류국의 지명을 '다물도'로 칭한 것은 과거 고조선의 영토를 회복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으로 생각된다. 고구려의 영토 확장 과정은 유방이 세운 한나라가 고조선을 멸망시키고 옛 만주 땅에 세웠던 한사군을 몰아내는 일이었다.

그 때문인지 중국의 <후한서 고구려조>는 고구려 사람들은 성질이 흉악하고 급하며, 기력이 있고 전투를 잘하고 노략질하기를 좋아한다고 비난하고 있다.

▲ 오녀산성 안에 있는 주거지의 모습이다. 이곳에서 추모왕이 고구려의 개국을 선포하지 않았을까?
ⓒ 김기동
고구려는 언제 건국되었을까?

추모왕은 기원전 37년 나이 22세에 나라를 세운 후 국호를 고구려라 하였다. <삼국사기>에는 고구려 건국을 기원전 37년으로 확정하고 있다. 이것이 사실이라면 고구려는 기원전 37년에 건국하여 기원후 668년에 당나라에 멸망하였으므로 705년간 지속된 것이 된다.

▲ 위만조선이 망한 기원전 108년 이전에 고구려가 존재하였다는 기록
ⓒ 「한서 지리지」
하지만 고구려의 건국 시기에 관하여는 여러 가지 다른 사실들도 많다.

<한서 지리지>에는 기원전 37년 이전에 이미 압록강 유역에 고구려라는 이름을 가진 세력이 존재했음을 알려주고 있다. 한나라가 위만조선을 멸망시키고 한사군의 하나인 현도군을 설치할 때 현도군 내에 세 곳의 현(행정기구)을 설치하였는데 그 가운데 하나가 고구려였다고 한다.

위만조선이 멸망한 시기가 기원전 108년이므로 적어도 기원전 108년 무렵 고구려가 존재했다는 사실을 짐작할 수 있다.

▲ 고구려가 900년이 되었다는 기록
ⓒ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보장왕 27년」
또한 <삼국사기> 비기에는 고구려가 900년이 되었다는 기록도 있다. 고구려와 당나라가 전쟁중인 668년에 당나라 사신이었던 가언충이 '고구려의 비기에 900년이 안되어 80세 된 대장이 이 나라를 멸한다는 기록이 있는데 고구려는 한나라 때부터 나라가 있었고 지금 900년이 되었는데, 당나라 고종의 나이가 80입니다'고 말하였다고 한다. 이 기록에 따르면 삼국사기에 나타난 기원전 37년보다 거의 200년이나 앞선 시기에 고구려가 건국하게 된다.

중국의 일부 학자와 북한 학자들은 고구려의 건국 시기를 기원전 277년으로 주장한다.

▲ 고구려 국민들의 식수원으로 사용된 오녀산성 안에 있는 천지
ⓒ 김기동
아쉽게도 고구려인들이 동 시대에 직접 만든 광개토대왕비(중국 집안)와 중원고구려비(한국 충주)에는 고구려의 건국 시기에 관한 어떤 기록도 없다.

추모왕이 환인에 도착하여 나라를 건국하면서 이미 환인 비류수 부근에서 세력을 형성하고 있던 연타발, 소서노의 졸본부여나 비류지역 송양의 나라 이름이었던 고구려를 계속 사용하지 않았을까 생각된다.

방학봉 교수와 함께 한 고구려 여행

중국 연변대학 역사학부 발해사 연구소 제1대 소장 역임 후 현재 저술활동중인 방학봉 교수님과 함께 2007년 1월 25일부터 2월 1일까지 7박8일 동안 중국 동북부에 위치한 고구려 유적지 연변, 이도백하, 안도, 통화, 환인, 집안을 여행하게 되었다.

78세의 연세와 아픈 다리에도 불구하고 저와 동행하며 많은 가르침을 주신 교수님께 다시 한번 머리 숙여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이 글은 방학봉, 장월영의 <고구려,발해 유적지 소개 1995년>와 강맹산 편저 <고구려의 발자취 1982년>에 기초하였다.

태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중국에서 일하고 있다. 저서로는 <중국사람이야기>,<중국인의 탈무드 증광현문>이 있고, 논문으로 <중국 산동성 중부 도시 한국 관광객 유치 활성화 연구>가 있다. 중국인의 사고방식과 행위방식의 근저에 있는 그들의 인생관과 세계관이 어떤 것인지 알고 싶어, 중국인과 대화하고 있다.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