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 김영조
21일은 우리 겨레의 가장 큰 명절 한가위이다. 그에 따라 한가위 민족대이동이 시작됐다. 올해도 자그마치 연인원 3000만 명이 상이 고향 나들이에 나설 것으로 추산된다고 한다. 모두가 설레는 마음으로 명절을 맞이한다.

오늘 텔레비전에서 보니 연예인들이 출연하여 재미있는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모두가 예쁜 한복을 입고 나왔다. 그런데 이게 왠일인가? 한 연예인이 품위있는 한복을 입었지만 아래를 보니 하얀 운동화를 신고 있었다. 양복을 입고 운동화를 신은 꼴이나 다르지 않다. 한복을 입을 때도 예절에 맞게 입어야 품격이 생길 것이다.

지난 5월 29일 연합뉴스를 보니 북한에서도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5월 14일자)을 통해 옷차림 예절의 중요성을 강조했다고 한다. 그 내용을 보면 ‘민족 옷과 옷차림 예절'이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옷이 날개’라는 말이 있듯이 옷을 깨끗이 차려 입는 것은 자신의 품격을 높이고 상대방에 대한 예의를 지키는 데서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전통적인 옷차림 예절을 소개했다.

노동신문은 우선 남녀 모두 저고리나 윗 옷을 입을 때 동정의 이가 꼭 맞도록 단정하게 입고, 옷고름도 아무렇게나 매지 말고 나비매듭이 되도록 맬 것을 요구했다. 또 아무리 날씨가 더워도 옷고름을 풀어 헤쳐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특히 여성들은 치마를 입을 경우 치마 밑의 속옷이 보이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며 앉을 때에도 조심할 것을 당부했다.

더욱이 손님을 맞이할 때도 자신의 옷차림을 단정히 하고 정중히 맞는 것이 예의라고 밝히고 속옷을 입은 채 손님을 맞거나 옷을 바로 입지 않은 상태에서 맞이하는 것은 예의에 벗어난 일이라고 말했다. 노동신문은 "옷차림은 사람들의 정신 도덕적 상태를 보여 준다"고 강조했다.

노동당 기관지를 통해 옷차림 예절을 강조하는 것을 보면 북한도 옷차림 예절에 문제가 있는 사람들이 제법 있다는 얘기가 될 것이다. 이에 우리도 한가위 명절을 맞이하여 다시 한번 올바로 한복 입는 법을 알아보기로 하자.

1. 외출할 때는 두루마기를 입는 것이 예의다

특히 남자의 경우에는 반드시 두루마기를 입어야 한다. 두루마기는 삼국시대부터 의례용으로 착용하던 포가 조선말기 외출용 정장으로 완성된 것으로 마고자 차림으로 외출하는 것은 속옷을 입고 나가는 것과 같다고 할 수 있다. 남자는 실내에서나 절할 때도 입는 것이 원칙이다.

여자는 외출할 때 숄을 두르기도 하지만 두루마기를 입는 것이 훨씬 품위있다. 하지만 여자 두루마기는 남자들과는 달리 방한용이기 때문에 실내에서는 벗어도 괜찮다. 두루마기를 입을 때는 보통 명주로 된 목도리를 하는데 실내에서는 목도리를 푼다.

2. 저고리의 동정니를 맞추어 입는다

ⓒ 김영조
한복하면 누구나 저고리의 동정을 떠올리게 된다. 그만큼 동정은 한복을 상징하는 중요한 디자인이다. 그런데 만일 동정니가 어긋나면 품위가 없다. 동정니가 어긋난다는 것은 한복이 자신의 체격에 맞지 않는다는 말이다. 따라서 체격에 맞는 옷을 입거나 동정니 안쪽에 똑딱단추를 달아 고정시켜주는 것도 한 방법이다.

3. 저고리는 약간 앞으로 숙여 입는다

서양 옷에 익숙한 사람들이 한복을 입을 때 뒤로 넘어간 듯이 입는 것을 종종 보게 된다. 저고리는 입었을 때 깃고대와 어깨솔기가 뒤로 넘어가지 않도록 앞으로 약간 잡아당기는 느낌이 들게 입어야 한다. 이때 속적삼과 치마의 허리선이 저고리 밑으로 드러나지 않도록 한다.

4. 치마는 겉자락이 왼쪽으로 오도록 입는다

치마는 입었을 때 뒤의 겉자락이 왼쪽 손으로 잡을 수 있어야 한다. 치마끈은 뒤쪽에서 엇갈려 앞으로 오게 한 뒤, 가운데서 묶어주면 저고리가 들뜨기 쉬우므로 약간 왼쪽으로 치우쳐 매듭을 잡아주도록 한다.

5. 대님가리기

한복 바지의 대님이 드러나 보이면 품위가 없다. 바지를 너무 추켜 입지 말고, 골반에 걸쳐 엉거추춤한 상태로 내려 입어 대님을 가리도록 한다.

6. 속옷을 갖춰서 입는다

한복의 맵시는 속옷을 제대로 갖춰 입었을 때 살아난다. 저고리 안에 입는 속적삼(속저고리)은 옷의 맵시를 살려주는 한편, 땀의 흡수도 돕는다. 치마는 예전엔 다리속곳, 속속곳, 단속곳 등등 예닐곱 가지의 속옷을 입었지만 요즘은 속바지와 속치마만 입는다.

7. 버선을 신어야 진정한 한복의 태가 난다

긴치마 밑으로 살짝 보이는 하얀 버선코의 아름다움은 한복만이 가지는 멋이다. 좀 번거롭더라도 버선을 신는 것이 품격이 있어 보인다.

8. 한복 입을 때 신는 신발

▲ 조선시대 태사혜를 개량한 갓신
ⓒ 김영조
한복을 입을 때는 조선시대 양반들이 신던 가죽신 즉 ‘태사혜’를 개량한 갓신을 신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없을 때는 구두도 무난하다. 요즘은 갓신에 서양구두처럼 뒷굽을 붙혀 신기 편하게 만든 것들이 시판되고 있다. 하지만 운동화는 전혀 어울리지 않으며, 남자의 경우 고무신을 신는 것은 무리가 있다. 양말은 흰색이나 연한색이 좋다. 구두의 경우 너무 번쩍거리면 좋지 않다.

9. 장신구와 속옷

한복 입을 때는 목선이 깔끔하게 마무리 되어야 정갈한 느낌을 줄 수 있으므로 목걸이는 삼가는 것이 좋다. 또 안에 입은 옷이 밖으로 드러나지 않도록 주의한다. 목걸이 외의 장신구는 착용해도 괜찮다.

10. 화장은 은은하게, 머리는 단정하게

여성들이 한복을 입을 때의 화장은 얼굴색을 약간 밝게 하면서 전체적으로 은은한 느낌이 들도록 하는 것이 좋다. 눈썹은 둥글고 자연스럽게 그리고, 입술은 연분홍색이어야 우아하게 보인다. 머리는 가르마를 타고, 곱게 빗어 넘긴 쪽머리가 한복의 고운선 및 정적인 분위기와 가장 잘 어울린다.

11. 때와 장소에 따라 제대로 갖춰 입는다.

한복의 전통적인 배색은 음양오행설을 바탕으로 예의와 남녀의 구별, 귀하고 천함을 표시한다. 처녀들은 주로 다홍치마에 노랑저고리를 입었고, 신부는 다홍치마에 연두저고리, 결혼을 하여 아들을 둔 부인은 자주색 고름과 남색끝동을 달아 남편과 아들이 있음을 나타냈다. 하지만 요즘은 그에 억매이지 않고 다양한 아름다움을 자랑한다.

12. 계절에 어울리는 소재

한복은 소재를 다양하게 써서 4계절 옷감을 달리해서 지어 입었다. 봄, 가을에는 국사, 갑사, 은조사, 항라 등으로 가을에는 자미사, 명주, 숙고사, 국사가 어울린다. 여름에는 모시, 삼베의 시원하고 절박한 멋을 즐겼으며 생명주로 짠, 노방, 항라 등으로 상큼한 아름다움도 드러냈다. 겨울에는 양단, 공단 등의 화려하고 우아한 옷감을 사용하였으며, 겉옷으로 손으로 짠 비단 등의 두루마기나 솜을 두어 곱게 누빈 누비옷을 입어 추위를 막았다. 이런 다양한 아름다움을 ‘사철깨끼’라는 편법으로 품격을 떨어뜨려서는 안 될 것이다.

세계 여러 민족들은 각기 자기들의 고유한 옷들을 살려내고 있다. 일본도 입기가 지극히 불편한 ‘기모노’에 대한 사랑이 극진하다. 서양 사람들에게 ‘기모노’를 설명할 때 일본인들은 곧잘 '감춤의 미학', '걸어다니는 미술관'이라며 자화자찬한다. 질 좋은 비단으로 만든 ‘기모노’는 매우 비싸며 수천만 원에 이르기 까지 한다.

‘기모노’를 입을 때는 통상 양말과 신발을 신지 않고, 나무로 만든 굽이 높은 ‘나막신(게타)’이나 목면 또는 가죽으로 만든 굽이 낮은 ‘샌들(조리)’을 신는다. 그리고 ‘샌들’ 끈에 맞도록 엄지발가락과 둘째발가락 사이가 갈라진 ‘면버선(다비)’를 신는다. ‘기모노’의 진짜 특징은 허리에 칭칭 감는 ‘오비’에 있다. 일본 학자들은 오비야말로 세계 의복사에 유래가 없는 독창의 표징이라 자랑한다.

그에 비하면 우리의 한복은 자화자찬이 아니라 세계인이 극찬한다는 것을 모르는 사람들이 없다. 하지만 그런 훌륭한 옷도 일본의 기모노처럼 애정을 가지고 아름답고 품위있게 입지 않으면 의미가 없다. 마음먹고 한복을 장만해 입었으면 남에게 품위있고, 아름답다는 평가를 받아야 하지 않을까?

더구나 올 한가위는 큰 물난리와 암울한 경기로 인해 분위기가 뒤숭숭하다. 이럴 때 무채색의 어두운 옷을 입는다면 더욱 쓸쓸한 모양새가 될 것이다. 새 옷을 장만하지 못해도 좋다. 장롱 속에 묵혀 두었던 한복이라도 우리 모두 제대로 갖춰 입고, 윷놀이 한판을 즐긴다면 희망찬 미래가 열릴 수 있지 않을까?

명절에도 한복을 입지 않는다면 우리는 이제 한민족 고유의 한복을 영영 잊어버릴 지도 모른다. 나아가 민족이란 의미도 뿌리도 지워질지도 모른다. 부모들이야 어렸을 때 명절을 손꼽아 기다리며, 설레던 기억이 있지만 우리의 아이들에겐 이제 민족과 뿌리와 명절이 아무런 가치도 없게 될 수도 있다. 아이들을 위해서라도 곰곰이 그 의미를 생각하고, 품격있는 한복과 함께 우리의 자태를 한껏 뽐내보자.

태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으로 우리문화를 쉽고 재미있게 알리는 글쓰기와 강연을 한다. 전 참교육학부모회 서울동북부지회장, 한겨레신문독자주주모임 서울공동대표, 서울동대문중랑시민회의 공동대표를 지냈다. 전통한복을 올바로 계승한 소량, 고품격의 생활한복을 생산판매하는 '솔아솔아푸르른솔아'의 대표를 하고 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