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일본인 사진? 대꾸할 가치 없다"

강제징용 노동자상 만든 김서경 작가 "소녀상처럼 모델 없다"
19.08.14 16:24l

검토 완료

이 글은 생나무글(정식기사로 채택되지 않은 글)입니다. 생나무글에 대한 모든 책임은 글쓴이에게 있습니다.
최근 대전에 설치된 '강제징용 노동자상'의 모델이 일본인이라고 주장이 나왔다. 하지만 강제징용 노동자상을 만든 김서경 작가는 "대꾸할 가치가 없다"며 일축했다.

월간조선은 지난 3월 12일 인터넷판 '교과서에 실린 징용노동자 사진은 조선인이 아닌 일본 노동자 사진'이라는 기사에서 '논란'을 제공했다.

기사는 '문제의 사진은 2009~2014년 사용된 한국사 검인정 역사교과서 및 국사교과서에 '징용노동자'의 사진으로 실려 있는 사진이다. 이 사진은 올해 초등학교 5-6학년군 사회 교과서에도 '강제노역에 동원된 우리 민족'이라는 설명과 함께 실려 있다'고 설명했다.

문제는 그다음부터다.

기사는 '서울 용산역 앞에 건립된 징용노동자상도 이 사진을 모티브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고 밝혔다. '어떻게' 알려졌는지에 대한 취재는 없었다. 그냥 '감'이다.

월간조선은 '이 사진은 2015년 개관한 부산국립일제강제동원역사관 입구 추모탑 뒤에도 붙어 있다'고 전형적인 '3단 논법'을 내세웠다.

올해 초등학교 사회교과서에 나와 있는 사진이 일제강제동원역사관 추모탑에도 붙어 있으니 강제징용 노동자상도 관련이 있다는 '해괴한' 논리다.

월간조선은 이우연 낙성대경제연구소 연구위원과 주동식 지역평등시민연대 대표가 <제3의길>에 실린 글 "민노총, 한노총, 정대협 등이 함께 설치 추진 운동을 하는 '강제징용노동자' 동상에서도 이 역사 왜곡 사진이 쓰이고 있다"를 인용해 아예 '징용노동자 동상은 일본인'이라고 기정사실화했다. 전형적인 '가짜 뉴스'다.

'사실과 다른' 월간조선의 기사와 이우연 연구위원의 일방적 주장은  관심을 끌지 못하다가 지난 13일 대전시청 앞 보라매 공원에서 전국에서 7번째로 강제징용 노동자상 제막식이 열리면서 다시 불거졌다.

이우연 연구위원은 이날 보라매공원 인근에서 강제징용 노동자상 설치를 반대하는 집회를 개최해 '일본인 이미지 대전 징용 노동자 동상 건립을 반대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바통을 이어받은 바른미래당 소속의 김소연 대전시의원은 14일 '친일 역사 왜곡을 자행하는 대전시와 시의원, 민노총은 당장 그만하라'는 보도자료를 통해 이우연 연구위원의 주장을 그대로 따라 했다.

김소연 의원은 '대전 강제징용 노동자상 건립 제막식'에 대해 "일본인 모델로 한 노동자상 건립을 규탄하는 바이다,   우리가 기념하는 자는 강제징용의 피해자인가, 아니면 일본인 노동자인가"라고 밝혔다.

그는 "우리가 '강제징용 노동자'로 알고 있는 자료사진 속 남성들은 우리 조상들이 아니고 '일본인'들이다, 이는 모든 사료로서 확인이 되었고, 교육부에서 이를 인정하고 수정하기로 했고, 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 그런데, 용산역을 비롯하여 추진위가 설치한 동상들은 이 사진 속 남성을 모델로 한 것으로 이는 명백한 '역사왜곡' 행위며, 사소한 거짓말들이 쌓여서 그릇된 역사를 만든다"고 덧붙였다.

김소연 의원은 대전에 건립된 강제징용 노동자상이 '자료사진 속 일본인'이라고 주장했지만 그 어떤 근거도 내놓지는 못했다.

 
강제징용노동자상 작가 김서경. ⓒ 김서경
 
장제징용 노동자상을 만든 김서경 작가는 14일 오후 전화인터뷰를 통해 "(일부에서 주장하는 일본인 노동자) 사진 자체를 본 적이 없다"며 "보지 않고 작업을 했고 이번에 일이 터진 다음에 사진을 접하게 됐는데 강제징용 노동자상은 모델이 없다, 소녀상과 같다"고 말했다.

김 작가는 남편 김운성 작가와 같이 소녀상을 공동 제작했다.

그는 "강제징용 노동자상은 특정 인물이 아니"라며 "탄광 속에서 거친 삶 속에서 먹지도 못하고 굶어서 왜소해질 수밖에 없었다, 그런 고통들, 탄압받고 착취 받은 것을 표현하고 강조하기 위한 모습"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사람 자체가 마른 형태에서 뼈만 남았을 때는 거의 비슷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거보다 일본 노동자든 중국 노동자든 한국 노동자든 인권이 짓밟히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보편적인 인류의 인권에 대해서 생각을 한다면 그런 부분은 별로 중요하지도 않고 대꾸할 가치가 없어서 안 하고 있다"며 "법적인 조치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대전뉴스(www.daejeonnews.kr)에도 실립니다.


  • 이 기사는 생나무글입니다
  • 생나무글이란 시민기자가 송고한 글 중에서 정식기사로 채택되지 않은 글입니다.
  • 생나무글에 대한 모든 책임은 글쓴이에게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