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사진 설명> 보이스피싱을 당한 편의점 알바생이 사기범에 찍어 보낸 5만 원짜리 선불형 상품권. 핀 넘버가 있으면 표시된 이용 가능 금액까지 물건을 구입할 수 있다.
 <사진 설명> 보이스피싱을 당한 편의점 알바생이 사기범에 찍어 보낸 5만 원짜리 선불형 상품권. 핀 넘버가 있으면 표시된 이용 가능 금액까지 물건을 구입할 수 있다.
ⓒ 한림미디어랩 The H

관련사진보기

  
편의점 아르바이트생에 선불형 상품권 바코드를 보내달라는 보이스피싱 사기가 기승을 부리고 있어 알바생을 포함한 편의점 관계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부모님을 대신해 편의점을 운영하는 심아무개(23·여)씨는 고용 중이었던 아르바이트생으로 인해 최근 30만 원 정도의 손해를 봤다.

아르바이트생은 편의점 전화로 본사 정산팀을 사칭한 범인에게 "상품권 한도 변경을 위해 점장에게 허락받았으니 선불형 상품권인 프리페이드 영수증을 뽑아 보내달라"는 연락을 받고, 5만 원 이용이 가능한 핀 넘버를 6장을 찍어 문자로 전송했다.

전송 후에도 상품권 재고가 어느 정도 있는지 계속 물어보자 이를 이상하게 생각한 알바생은 점주인 심씨에게 연락했고, 그런 허락을 해준 사실이 없다는 걸 알게 되었다. 

본사를 사칭해 편의점으로 연락한 후, 재고량 파악을 위해 상품권 PIN 번호를 보내달라고 하는 것은 전형적인 보이스피싱 수법이다.

경찰은 "상품권(프리페이드) PIN 번호를 보내면 보이스피싱범이 이를 사용하게 돼, 피해자가 금전적 손해를 보게 되는데, 보통 피해 금액이 100만 원 미만"이며 "사회 경험이 부족한 20대 피해자의 사례가 점점 늘어나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통계청의 정보보호실태조사의 전자금융사기 피해 경로에 따르면, 과거에는 20대의 보이스피싱 피해 경로가 금융기관 홈페이지를 가장한 웹사이트 접속이나 이벤트를 가장한 홈페이지 접속이 많았다.

인스턴트 메신저 채팅 도중 프로그램 또는 앱 설치가 그다음 떠오른 사기 피해 경로였으나 최근 편의점 아르바이트생을 대상으로 한 선불 상품권 소액 사기로까지 사기 수법이 진화했다.

증가하는 보이스피싱 피해 사례에 대한 예방법으로 첫 번째는 가족·지인 사칭을 하는 경우 직접 통화로 확인하기 전까지 송금하지 않는 것이다.

최근 "핸드폰을 잃어버렸다"며 "사고로 친구에게 병원비를 물어줘야 하는 상황이라 돈을 빨리 좀 보내달라"는 문자에 진짜 동생인지 확인도 하지 않고 급히 43만 원을 입금해 피해를 본 신아무개(23)씨가 그 케이스다. '편의점 본사'라는 익명의 연락도 마찬가지로 경계 대상이 된다.

두 번째로 공공기관과 금융기관을 사칭해 금전, 금융정보, 앱 설치를 요구하지 않는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셋째, 출처가 불분명한 앱과 인터넷 주소는 클릭하는 경우 개인정보가 유출될 위험성이 있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

네 번째로 결제 허위문자를 발송 후 수사기관을 사칭해 원격제어 앱 설치를 유도하거나 불법 사이트로 접속을 유도하는 경우 앱 설치를 하면 안 된다. 다섯 번째로 통장이나 체크카드는 타인에게 양도하지 말아야 한다.

덧붙이는 글 | 박시온 대학생기자의 기사입니다. 이 기사는 한림대학교 미디어스쿨 대학생기자가 취재한 것으로, 스쿨 뉴스플랫폼 한림미디어랩 The H(www.hallymmedialab.com)에도 게재됩니다.


태그:#보이스피싱, #선불형 상품권, #편의점, #한림랩_뉴스룸, #상품권 바코드
댓글

The H는 한림대 미디어스쿨 <한림미디어랩>의 뉴스룸입니다.학생기자들의 취재 기사가 기자 출신 교수들의 데스킹을 거쳐 출고됩니다. 자체 사이트(http://www.hallymmedialab.com)에서 새로운 '미디어 패러다임'을 실험하는 대학생 기자들의 신선한 "지향"을 만나실 것입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