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올 한 해도 벌써 석 달이 지나가고 있다. 다시 세운 꿈과 희망을 펼치기도 전에 두 달이 훌쩍 흘러가 버리고 말았다. 지나간 시간만이 아니라 수십 년의 세월이 사라진 것만 같은 기분이다.

지금, 지나버린 세월이 아쉬워 누구에게 하소연하는 것도 아닌데, 세월의 속도가 너무 빨라 그 속도감에 간혹 주눅마저 들 정도다. 이 세월마저도 자연의 이치일진대, 어찌 가는 세월에 무어라 할 수 있을까마는.

음력 이월이라 그나마 위안을 얻고, 지나간 세월의 무상함을 이겨낼 용기를 가져본다. 생명이 약동하는 춘삼월에 푸른 별, 지구를 놀이터로 삼아 주어진 삶에 충실하게 살아갈 수 있는 의지를 다져본다.

그리웠던 봄날, 길상초(吉祥草) 위에 앉아 삶의 씨앗을 다시 뿌려본다. 숨을 더 깊게 쉬고 내뱉는다. 봄볕을 기다리는 새싹처럼 살포시 눈을 감고 뜬다. 지구 중력이 몸 가운데에 느껴질 정도로 마음을 자꾸 내려본다. 꽃과 새 그리고 나무와도 교감할 정도로 마디마디 세포를 열어둔다. 그다음, 내 자리에서 일어나 본다.

이런 나의 일상은 붓다와 십대 제자들의 행로에 따르고 있다. 숱한 기록과 기억 속에 남아 있는 수행법으로 삼월을 보내며, 시간의 축적이 전해주는 행복한 만족을 찾는 데 있다. 이 일과는 오직 스스로 걸어가면서 만들어 내는 길이다.

이를 통해 얻어지는 것은 축적된 시간 속에 있는 숙성된 지혜이다. 축적된 시간은 내가 뿌린 씨앗이 꽃피울 수 있는 본바탕과 같다. 한 홑의 씨앗은 축적된 경험을 통해 싹 틔울 의지를 다지고, 봄날에 시나브로 불어온 따스한 바람과 땅이 만드는 온기로 품어낸 수분을 만날 때, 비로소 세상 밖으로 나올 수 있다는 단순하고 명쾌한 진리다. 이런 창조적 축적은 자연과 우리가 오랜 시간의 시행착오를 통해 도전과 실패를 거듭하면서 얻은 결괏값이다.

겉으로 보면, 춘삼월은 꽃피고 노고지리 날아오르는 아스라한 풍경들이다. 그 속 깊이에는 눈으로 볼 수 없는 경쟁의 연속이 자리하고 있다. 우리에겐 겨울과 봄이라는 동떨어진 불연속의 계절이지만, 자연에는 그저 다시 생명을 꽃피울 연속의 시간이다. 이때가 되면 어김없이 자신이 할 일을 스스로 할 뿐이다. 그 누구에게도 칭찬이나 도움을 바라지 않고, 묵묵히 자신에게 주어진 삶에 충실할 뿐.

자연은 할 수 있는 만큼 하는 것이 지상 최대의 목표다. 나무는 나무대로, 씨앗은 주어진 조건에서 혼신의 여력을 쏟는다. 곤충과 미물은 또 그들 나름대로. 하지만 만물의 영장이라 일컫는 우리 인간은 어떠한가? 다시 반추해볼 삶의 모습이 있다.
 
돈각스님
 돈각스님
ⓒ 용인시민신문

관련사진보기



동·식물을 비롯한 인류는 지옥, 아귀, 축생, 아수라, 인간, 천상이라는 '육도윤회'의 수레바퀴에서 맴돈다는 이론이 전한다. 여섯 가지의 테두리에서 유일하게 삶의 조건을 스스로 바꿀 수 있는 세계는 곧, 인간계뿐이다. 일찍이 붓다께서는 인간의 몸을 가지고 있을 때, 스스로 삶의 조건을 바꾸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일렀다.

행복과 불행은 모두 자신이 만드는 결괏값이다. 지난 과거는 바꿀 수 없겠지만, 우리 미래는 바꿀 수 있다는 자세가 중요하다. 지금의 아픔과 고난을 극복하고, 행복을 찾는 길은 한순간의 마음에서 비롯됨을 알아차리는 봄날이기를 기원해 본다.

오늘따라 유난히 연못 속에 개구리 울음소리가 크게 나를 깨운다.
 
ⓒ 용인시민신문

관련사진보기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용인시민신문에도 실렸습니다.


태그:#용인시민신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자치와 참여시대의 동반자 용인시민신문입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