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코로나19 대유행 2년 차에도 한국 문화콘텐츠에 대한 해외 인기와 소비는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코로나19 대유행 2년 차에도 한국 문화콘텐츠에 대한 해외 인기와 소비는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제공

관련사진보기

 
'오징어 게임'과 '방탄소년단'이 가장 선호하는 한국 문화콘텐츠 드라마, 가수 부문에서 각각 압도적인 1위를 기록해 한류 인기 상승을 견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코로나19 대유행 2년 차에도 한국 문화콘텐츠에 대한 해외 인기와 소비는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은 전 세계 한류 콘텐츠 소비 현황과 확산 수준을 정기적으로 살펴보는 '2022년 해외 한류 실태조사(2021년 기준)' 결과를 14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18개국의 한국 문화콘텐츠 경험자 8,500명을 대상으로 2021년 11월 5일부터 12월 8일까지 온라인으로 진행했다.
 
한국 문화콘텐츠 소비 비중
 한국 문화콘텐츠 소비 비중
ⓒ 문체부

관련사진보기

 
이번 조사 결과, 전체 문화콘텐츠 소비에서 한류 콘텐츠 10개 분야가 차지하는 비중은 평균 27.4%였으며, 소비 규모는 미용(뷰티, 31.7%), 드라마(31%), 패션(29.2%) 순으로 컸다. 코로나19 발생 이후 한류 콘텐츠 소비가 증가했다는 응답은 드라마(53.5%), 영화(51.8%), 예능(50.2%) 등 영상 콘텐츠 분야에서 높게 나타났다.

한류의 현재와 미래 가치를 정량화된 수치로 파악하기 위해 전년도 조사에서 처음으로 도입한 한류 콘텐츠의 '브랜드 경쟁력 지수(브랜드 파워 지수)'는 2021년 기준 61.6점으로 전년 대비 3.1점 상승했다. 분야별로는 한식(67.6점), 미용(뷰티, 65.3점), 영화(64.3점) 순으로 높아 문화콘텐츠뿐만 아니라 연관 산업까지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한류 콘텐츠에 대한 개인적인 호감도와 자국 내 한류의 인기가 '높다'고 답한 비율은 모든 조사 분야에서 전년보다 증가했고, 인기 분야는 드라마(37.3%), 예능(32.9%), 미용(뷰티, 29%), 게임(23.7%), 출판(22.2%), 음식(17.1%) 순이었다.
 
한국 문화콘텐츠 호감도
 한국 문화콘텐츠 호감도
ⓒ 문체부

관련사진보기

 
가장 좋아하는 한류 콘텐츠를 분야별로 살펴보면 드라마에서는 2021년 전 세계적
인기를 누린 <오징어 게임>이 21.2%로 1위를 차지했다. 2위 '사랑의 불시착'(2.2%), 3위 '빈센조'(1.9%) 등보다 19%포인트 이상 앞선 기록이다.

한국 가수에서는 '방탄소년단(26.7%)', '블랙핑크(10.4%)'가 작년에 이어 1, 2위를 차지했다. 이외에도 배우 이민호(9.3%), 영화 '기생충'(10.3%), 애니메이션 캐릭터 '라바'(9.6%), 게임 '배틀그라운드'(14.5%) 등이 분야별 가장 선호하는 한류 콘텐츠로 꼽혔다.

진흥원 조사연구팀 최경희 팀장은 "'오징어게임', '방탄소년단' 등 한국 콘텐츠의 신드롬급 인기에 힘입어 코로나19 장기화 상황에도 2년 연속 우리 문화콘텐츠에 대한 해외 관심과 소비가 증가했다는 점은 고무적"이라며 "콘텐츠의 온라인 소비가 보편화되면서 전 세계의 다양한 수요가 한국콘텐츠 소비로 연결되는 주요요인으로 작용했지만 이는 기본적으로 콘텐츠 자체의 경쟁력이 수반되지 않았다면 만들어 낼 수 없는 결과"라고 설명했다.

외국인들이 한류 콘텐츠를 주로 접촉하는 경로는 온라인‧모바일 플랫폼이었다. 한류 콘텐츠를 접하기 위해 가장 많이 활용하는 플랫폼으로는 '유튜브'가 드라마(68.4%), 예능(74.7%), 음악(80.3%), 애니메이션(72.7%) 분야에서 1위, '넷플릭스'가 영화(70.1%) 분야에서 1위를 차지했다. 무료 플랫폼인 '유튜브'의 이용 비중은 하락하고 '넷플릭스'와 '아마존 프라임' 등 유료 플랫폼의 비중은 상승했다.
 
한국 문화콘텐츠 접촉 경로(콘텐츠 장르별 TOP3)
 한국 문화콘텐츠 접촉 경로(콘텐츠 장르별 TOP3)
ⓒ 문체부

관련사진보기

 
이에 대해 문체부는 "코로나19로 '집콕' 생활이 일상화되고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의 원작(오리지널) 콘텐츠가 인기를 얻음에 따라 유료 구독 서비스가 보편화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했다.

이번 조사 결과, 한류가 연관 산업에도 파급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61.8%가 한류 콘텐츠가 한국산 제품과 서비스의 구매‧이용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답했고, 잘 모르는 브랜드라도 한국산이라면 구매할 의향이 있다는 응답은 전년도보다 7.4%포인트 증가해 40%에 달했다.

한편, 전 세계적으로 한류의 인기가 상승했지만, 한류에 대한 부정적 인식도 함께 높아졌다. 2021년 기준 반(反)한류 공감도는 30.7%로 24.4%였던 전년도 조사보다 6.3%포인트 상승했다.

문체부는 그 원인으로 "지나친 상업성(25.1%), 자국 콘텐츠 산업 보호 필요성(22.7%) 등이 지적되어 상대국의 문화적 동반성장을 지원해 우호적 인식을 조성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고 밝혔다.

'2022 해외 한류 실태조사' 결과보고서는 문체부(www.mcst.go.kr)와 진흥원(www.kofice.or.kr) 누리집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

태그:#한류 콘텐츠, #실태조사, #문체부,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환경과 사람에 관심이 많은 오마이뉴스 기자입니다. 10만인클럽에 가입해서 응원해주세요^^ http://omn.kr/acj7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