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학년 말 쓰레기장에 버려진 교과서
▲ 유통기한 1년짜리 교과서 학년 말 쓰레기장에 버려진 교과서
ⓒ 백경자

관련사진보기

 
"쓰레기 차가 곧 도착합니다. 개인용 교과서를 쓰레기장에 가져다 버려주세요."

방학식 날, 이런 멘트를 날려야 하는 담임교사로서는 곤욕스럽기 짝이 없다. 1년간 쓰던 교과서를 쓰레기로 규정해 버리는 순간이기 때문이다.

언제부터인가 우리에게 절약이라는 단어가 주는 무게감이 확 줄었다. 주식으로 몇 억씩 벌었다는 사람들이 생겨나고, 자고 나면 집값이 몇 천씩 뛰기도 했다. 또 서울에 똘똘한 집 한 채 갖고 있으면 남부럽지 않다는 판에 절약이 무슨 의미가 있단 말인가!

하지만 여기서 말하는 절약은 개인이 악착같이 부를 쌓는 과정상의 절약이 아닌, 환경적 가치와 연결된 개념을 말한다. 즉, 미래가 짊어져야 할 환경적 비용을 따지고자 할 때 필요한 개념으로 제한해 절약의 의미를 생각해 보고자 한다.

학교에서는 절약의 필요성과 심각성을 이렇게 가르친다.
 
'대한민국의 목재 자급율은 15%에 불과하며 나머지는 수입에 의존할 수밖에 없습니다.  A4 용지 한 장 만드는데 2.88g의 탄소가 배출되며, 우유 팩 1톤을 만들기 위해서는 20년생 나무 20그루가 필요합니다, 우리나라의 1인당 연간 종이 사용량은 전 세계 1인당 연평균치보다 3배 가량 많습니다(전 세계 1인당 연평균 종이 사용량 56.2kg, 대한민국의 1인당 연간 종이 사용량은 189.2kg, 데일리환경.2021.05.26. 참조).'
 
이런 내용으로 경각심을 일깨워 놓고는 연말이면 보란 듯이 이 상황을 무시한다. 학교 규모가 클 경우 쓰레기 차를 부를 정도로 해마다 배출되는 교과서 쓰레기양과 무게는 어마어마하다.

교과서를 유통기한 1년짜리 쓰레기로 취급하는 문제를 놓고 몇몇 분들과 얘길 해보면 이런 답들이 주로 돌아온다.

"우리나라도 이제 잘 사는데, 굳이 그런 데까지 신경 쓸 필요 있나요!"
"그래야 경제가 돌아가요. 교과서 회사도 먹고 살아야죠!"
 

한편으론 맞는 말들이다. 물자가 풍부한 시대에 이런 단어를 끄집어 내는 것이 누군가에게 불편함을 줄 수도 있고 식상하기까지 하다.

하지만 그렇게 치부하기엔 주위 환경이 만만치 않다. 2030년부터 우리나라 주요 수출대상국인 미국과 유럽연합에선 자국 내 수입 물품에 대해 탄소세를 부과한다고 한다. 이런 이유로 얼마 전 국회에선 탄소배출량을 2030년까지 2018년 이산화탄소 배출량 대비 최소 35% 감축하기로 결정하였다. 수출 경쟁력 강화를 위해 산업시스템 전반에 걸친 탈탄소 경제 전환이 절실히 필요함을 시사한 바이다. 절약이라는 단어, 미래의 환경과 탄소 감축에 대해 신경 쓰는 일을 내려놓지 않는다면 포기할 수 없는 가치임에 틀림 없다.

이런 상황 앞에 학교에서 배움과 실천이 물과 기름처럼 반복적으로 분리된다면 미래를 짊어질 학생들이 이 문제에 관심을 갖고 해결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울 수 있을지 의심스럽다. 가르침과 행동이 불일치 하는 환경에서 배움을 몸으로 체득하지 못한 학생들이 미래의 환경문제를 제대로 책임질 수 있을지 걱정스럽다.

이것을 절약 정신의 부족 탓인 것처럼 포장하여 개인에게만 책임을 물릴 순 없다. 학교에서 문제 인식을 못한 것에 대해 반성하고 함께 해결 방안을 찾아야 한다.

방법은 있다. 교과서의 공용화이다. 전 과목에 적용하자는 것은 아니다. 학생들의 수요가 적은 교과서에 국한하여 시행하면 가능하다.

고등학교 현장에서 교과서를 나눠주고 한 해 동안 학생들의 활용도를 지켜보면 예체능 교과서나 역사부도 내지는 지리부도의 활용도가 다른 과목 교과서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물론 선생님마다 편차가 있긴 하지만 실기가 주인 교과서는 학년 초에 개인 서랍장에 흠 없이 모셔 두었다가 학년말에 그대로 쓰레기통에 버려지는 경우가 많다. 그런 교과서를 전교생 모두에게 배부하는 것보다 한 반 분량을 교과 교실에 비치해 놓고 필요할 때마다 활용한다면 교과서의 경제성을 살릴 수 있지 않을까 싶다.

대신 그만큼의 절약 비용을 학생들에게 돌려주는 당근이 필요하다. 학생들 스스로 절약해 낸 비용을 그들의 복지와 학교생활을 위해 쓰게 하는 것이다. 그런 경험을 통해 학생들은 학교생활의 풍요로움을 맛보고 재정적 효능감이 무엇인지 확인하게 될 것이다. 이런 당근은 아마도 다른 교과서의 공용화 내지는 교과서 물려주기 등의 참여 확대를 끌어낼 수도 있다. 

공정 소비, 착한 소비, 윤리 소비, 이런 단어들을 학생들은 이젠 너무 잘 안다. 이런 소비를 배움의 현장에서 직접 실천할 때 학생들은 환경문제를 '내 문제'로 실감할 것이고, 또 이런 문제를 함께 고민하면 해결할 수 있다는 것 또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요즘 젊은이들은 깨어있는 의식을 갖고 있다. 조금 비싸도 공정하다면, 환경문제에 기여한다면 과감하게 자기 지갑을 열 줄 안다. 넉넉해서가 아니다. 그만큼 환경의 가치가 그들에게 절실하기 때문이다. 그들의 이런 '멋찜'은 학교에서의 실천과 연습을 통해 더욱 가능해질 것이다.

태그:#교과서, #쓰레기, #환경, #탄소배출, #탄소세
댓글1
이 기사의 좋은기사 원고료 5,000
응원글보기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일 키일대학(Christian-Albrechts-Universitat zu Kiel)에서 경제학 디플롬 학위(Diplom,석사) 취득 후 시골 고등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2021년, 독일 교육과 생활의 경험을 담은, 독일 부모는 조급함이 없다(이비락,2021)를 출간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