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내가 가르치는 한국어 학생들에게 받아쓰기를 시켜보면 '눈썹'를 '둔섭'이라고 받아적거나 '미소'를 '비소'로 받아적는다. ㄴ을 d로 잘못 듣고 ㅁ을 b로 잘못 듣는 경향은 오랜 역사가 있는데, 사실 한국인들이 단어 처음의 초성 ㄴ, ㅁ의 콧소리를 약하게 내기 때문이다.

[관련 기사]
한국인이 '미안합니다'를 '비안합니다'라고 말한다고?

한국인들이 어두 초성의 ㄴ, ㅁ의 콧소리를 약하게 내는 특성을 '탈비음화'라고 한다. 탈비음화 때문에 외국인들은 ㄴ과 ㄷ, ㅁ과 ㅂ을 구분하기 어려워한다. 외국인들이 ㄴ->ㄷ, ㅁ->ㅂ 말고도 구분하기 힘들어하는 비슷한 발음들은 더 있다. ㄷ->ㅌ으로 받아적고, ㅌ과 ㄸ은 정말 구분 못 하며, ㅂ->ㅍ으로 받아적고, ㅍ과 ㅃ도 구분 못 한다. ㄱ, ㅋ, ㄲ도 거의 삼위일체.

ㅈ, ㅊ, ㅉ의 구분이나 ㅅ, ㅆ의 구분은 절망적인 수준. '추석 연휴가 짧았지만 즐겁게 잘 지냈나요?'라는 문장을 받아쓰기할 때 한국어 학생들의 눈에 동공지진이 일어난다. 그러다 구분하기를 포기하고 그냥 ㅊ으로 통일해서 '추석 연휴가 찳았지만 츨겁게 찰 지냈어요?'라고 받아적는다.

하지만 ㄴ을 ㅌ, ㄸ으로 잘못 적는 일은 없다. ㅁ을 ㅍ, ㅃ과 헷갈리지도 않는다.

ㄴ-ㄷ, ㅁ-ㅂ처럼 한국어 학생들이 구분하기 힘들어하는 자음들의 연쇄를 써보았다.

<ㄴ-ㄷ-ㅌ-ㄸ> <ㅁ-ㅂ-ㅍ-ㅃ> <ㄱ-ㅋ-ㄲ> <ㅅ-ㅆ/ㅈ-ㅊ-ㅉ>

뭔가 느낌이 오지 않는가? 각 조합은 발음의 연속체로 한국어 학습자들이 구분하기 어려워하는 자음들인데, 실제로 비슷한 발음의 글자가 생긴 모양도 닮았다. T와 D가 발음이 비슷하다고 해서 글자 모양이 닮지 않은 것처럼, 알파벳은 발음과 모양의 연결이 무작위적이다. 그런데 한글은 글자의 외형에 음성학적인 특성과 질서가 담겨 있다.

ㄱ은 혀뿌리가 ㄱ 모양으로 꺾여서 입천장을 막는 모습을 옆에서 본 모양이며, ㄴ은 혀끝이 치아에 닿는 모습을 옆에서 본 모양이다. 한글 글자가 생각나지 않으면 내가 발음할 때의 입안 모양을 떠올려보면 된다. 내 입 안이 컨닝 페이퍼가 되는 셈이라고나 할까? '낫 놓고 기역 자도 모른다' 대신 'ㄱ 발음하면서 ㄱ 자도 모른다'라는 농담이 가능하다.

그리고 한국어 학습자들이 구분하기 어려워하는 발음들은 실제로도 연쇄적으로 닮은 모양을 하고 있다. 세게 발음하는 자음이면 같은 모양에서 획이 추가되는 것이다. 따라서 배워야 할 기본 자형이 최소화되어 학습이 용이하다.

이런 의미에서 한글은 '각 글자가 나타내는 음소들의 변별적 자질이 그 글자의 외형에 반영되어 있는 문자 체계'로 음소문자보다 더 발달한 '자질문자'(資質文字, featural writing system)이라고 분류되기도 한다.

우연에 의한 재미있는 자질도 있다. 한글에서 이중모음을 만들 때 짧은 선분을 덧붙이는 형태라서(예: ㅏ -> ㅑ, ㅗ -> ㅛ) 반모음(半母音)은 짧은 작대기로 표상할 수 있다. 마침 그리스어 알파벳의 아홉 번째 문자인 iota(jot)는 점 또는 아주 작은 작대기 모양이며 역시 알파벳에서도 반모음 /j-/ 역할을 한다. 따라서 외국인에게 한글을 가르칠 때 'iota 같은 짧은 막대기를 붙이면 이중모음이 된다'는 직관적인 설명을 해줄 수 있다.

역시 우연의 일치로, 음가 없이 자리만 차지하는 초성 o은 숫자 0과 닮아서 외우기 쉽다. (단지 우연일 뿐이니 '한국어가 세계언어의 뿌리' 같은 웅장한 음모론으로 넘어가지는 말자.)

한글 빨리 익히기 챌린지를 도입해보자

한국어는 어렵지만, 자질문자인 한글은 익히기 쉽다. 빠르게 배우는 사람은 두 시간이면 다 외우고 더듬더듬 읽을 수 있게 되기도 한다.  

한국 정부 차원에서 한국으로 입국하는 배나 비행기 안에서 '도착 전 몇 시간 동안 한글을 배우시면 한국에 도착하자마자 바로 한글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도전하시겠습니까?' 하는 챌린지를 지원하면 좋겠다. 영상으로 발음과 철자 쓰는 법을 보여주면서 따라쓰기 교본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국에 입국하는 사람들은 어쨌든 한국에 조금이라도 관심이 있을 테고, 단 몇 시간만에 문자를 익혀 입국과 동시에 지명 간판이라도 읽을 수 있다고 하면 충분히 동기 부여가 될 것이다. 한국어에 대한 관심에 시동을 걸 수 있는 방안이 아닐까?

태그:#한국어, #탈비음화, #자질문자, #한글, #제네바
댓글4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기후위기를 막기 위해 정의로운 전환이 필요합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