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스티브 맥퀸과 더스틴 호프만이 주연한 <빠삐용>(Papillon, 프랑스어로 나비를 뜻 함)은 실화를 바탕으로 한 영화다. 오프닝은 주인공을 포함한 여러 범죄자들이 형무소에 입소하는 장면으로 시작한다. 스티브(빠삐용 역)는 살인죄로, 더스틴(드가 역)은 국채 사기를 저질렀기 때문이다.

교도소에는 죄수를 동원해서 잡은 몰포(Morpho) 속 나비를 얻기 위해서 정기적으로 거간꾼이 오간다. Morpho는 '바뀐다, 반사한다'는 뜻으로 향정신성 블루의 구조색(Structural Color)이 화려한 나비다. 20세기를 마무리하는 영화 <매트릭스>의 모피어스도 이러한 코드를 간직한 명칭이다.

제목과 이름, 내용이 어우러져 정교한 세계관을 보여주는데 주인공 네오(Neo)는 신세계를 연다는 의미. 곧, 나비가 번데기에서 전혀 다른 생물로 탈바꿈 하듯이 모피어스와 네오가 새로운 세상을 만든다는 뜻이다.
 
보는 각도에 따라서 색이 변하는 구조색을 갖고 있다.
▲ 향정신성 블루의 몰포 나비. 보는 각도에 따라서 색이 변하는 구조색을 갖고 있다.
ⓒ DidierDescouens,Wikipedia

관련사진보기

 
아무튼 자신이 무죄라고 주장하는 빠삐용은 몰포 나비를 잡아서 거간꾼에게 건네주며 돈을 줄 테니 탈출용 보트를 구해달라고 한다. 어렵게 탈주하여 약속 장소에 도착했으나 그를 기다리는 것은 교도소장이었다.

약삭빠른 거간꾼에게 속은 스티브는 독방에 수감되어 죽을 고비를 넘기면서도 탈옥 의지가 꺾이지 않는다. 나비 때문에 죽을뻔 했지만 가슴에 새겨진 몰포 나비 문신은 그의 탈출을 돕기도 하는데...

볼 때 마다 색이 바뀌는 구조색

자세히 들여다보면 나비의 날개는 인편(비늘쪽)이 기왓장처럼 덮여있다. 나비를 손으로 잡으면 가루가 묻어나는데 이를 인분(鱗粉), 또는 인편(鱗片)이라고 한다. 구조색은 이러한 비늘 쪽이 여러 층으로 겹쳐있기에 보는 각도에 따라서 색이 달라진다. 실생활에서 구조색을 여러 곳에서 발견할 수 있다.

물 웅덩이에 퍼져나간 기름이 보여주는 현란한 컬러, 보는 각도에 따라 다른 그림이 보이는 렌티큘러 장식품, CD나 DVD 표면의 무지개색, 카멜레온이 몸 색깔을 바꾸는 원리, 공작새의 깃털, 위조지폐 방지용 홀로그램 등이다.

몰포 나비는 구조색이 가장 뚜렷한 곤충으로서 날개를 펴면 어른 손바닥을 덮고도 남으며 햇볕을 반사하므로 멀리서도 눈에 뜨인다. 윗 날개는 금속성 느낌의 신비한 푸른색이 비현실적인 느낌을 주며 뒷날개는 갈색 바탕에 눈알 무늬가 있어서 대비된다. 

몰포 나비뿐만 아니라 여러 곤충이 구조색을 갖고 있다. 오색나비류, 녹색부전나비류, 청벌류, 잎벌레, 비단벌레 등등. 바닷속에도 구조색을 띈 생물이 있다. 바로 전복 껍데기. 지금은 예전만큼 인기가 없지만 한 때 자개장은 신혼 부부의 혼수 중 으뜸가는 가구였다. 자개 보석함, 자개 장롱, 화장대, 나전 칠기 등을 만드는 재료가 전복 껍데기다. 

과거 70년대까지는 자개장이 사치품이었다. 수요가 급증하면 가짜가 생기게 마련이고 품질이 떨어지는 것은 당연하다. 손이 많이 가는 비싼 옻칠 대신에 싸구려 도료를 쓰다 보니 점차로 외면받다가 생활환경의 급변으로 인기를 잃어버렸다.

자개 공예의 원류는 신라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에는 대모(玳瑁) 거북의 등껍질로 만든 공예품이 부의 상징이었다. 진한 호박색의 등갑에 기하학적인 무늬가 있어서 장식을 해 놓으면 고급스러운 느낌이 물씬 배어 나온다. 그러나 대모 껍질은 구하기가 어려워 여러 대용품을 사용했는데 그 중 하나가 전복 껍데기다.

지금의 자개공예는 잊혀져 가는 전통이지만 외국인에게는 흥미로운 관광 상품이 될 수 있다. 지금도 2호선 신당역에서 왕십리 방향으로 걷다보면 자개공예 거리가 있다. 사실 거리라고 하기에는 민망하지만 몇 군데 공방이 남아서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 오래된 자개장이 있다면 버리지 말고 리폼해서 인테리어 소품으로 쓰면 좋다. 레트로 감성에 흠뻑 빠질 수 있기 때문이다.
 
거미를 마취시켜서 땅굴 속의 집으로 끌고가 알을 낳는다.
▲ 왕무늬대모벌이 마취시킨 먹닷거미. 거미를 마취시켜서 땅굴 속의 집으로 끌고가 알을 낳는다.
ⓒ 이상헌

관련사진보기

 
한편, 곤충계에는 대모거북의 등껍질을 닮은 벌이 있는데 거미의 천적인 대모벌이 그렇다. 몸 길이는 약 25mm 정도이며 가슴에서 날개로 이어지는 몸매가 대모거북의 호박색을 연상시켜서 붙여진 이름이다.

제법 덩치가 큰 거미(농발거미, 먹닷거미, 왕거미 등)를 마취시켜서 땅굴 속으로 끌고 가 알을 낳는다. 부화한 애벌레는 산채로 거미를 파먹고 자라난다. 이처럼 우리의 조상님들은 구조색의 아름다움을 공예로 탈바꿈시키고 벌에게도 멋진 이름을 지어주었다.

덧붙이는 글 | 해당 기사의 사진은 글쓴이의 초접사 사진집 <로봇 아닙니다. 곤충입니다>의 일부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태그:#대모벌, #자개 공예, #구조색, #몰포, #빠삐용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