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아시아인이 수영장에서 헤엄치면 물이 노래지나. 1900년대 초중반 캘리포니아 남부 공립 수영장에 아시아인은 입장 불가였다. 혹여 일주일 중 하루가 허용되더라도, 수영장 관리인은 아시아인이 사용한 물을 다 갈아버렸다. 백인을 위해서 말이다. 

아시아계 미국인으로 처음 올림픽 금메달을 딴 한인 다이빙 영웅 새미 리(48년 런던올림픽, 52년 헬싱키 올림픽 2연패)도 이런 차별 때문에 수영장에서 훈련을 하지 못했다. 백인 코치에게 지도도 받지 못했다. 로스앤젤레스 인근 패서디나에서 자란 그는 집 뒤뜰에 모래 구덩이를 파서 다이빙 보드를 설치해 훈련했다.

캘리포니아 남부 샌페드로의 화이트 포인트 비치에 아시아인에게 허락된 올림픽 경기장 규모의 수영장이 있었다. 뜨거운 온천수가 흘러, 농사일로 지친 농부와 차별과 멸시를 당하던 철도 노동자, 쉬는 날 없이 가게 문을 열어야 했던 식당 노동자가 고단한 몸을 치유하던 온천 호텔이었다. 이제 그곳은 터만 묘비처럼 남아있다. 
 
옛 화이트포인트 온천 호텔 터다. 화산암 때문에 물이 얕은 자연 수영장이 만들어져 어린 아이가 있는 가정이 많이 찾는다.
 옛 화이트포인트 온천 호텔 터다. 화산암 때문에 물이 얕은 자연 수영장이 만들어져 어린 아이가 있는 가정이 많이 찾는다.
ⓒ 황상호

관련사진보기

 
전복잡이, 장거리 수송까지 한 원주민

100년 전 유명 휴양지였던 옛 화이트 포인트 온천 호텔(White Point Hot Springs Hotel)은 캘리포니아 남부 항구도시인 샌페드로(San Pedro)의 작은 만에 있다. 이곳은 5000년 전부터 통바(Tongva) 원주민이 거주하던 땅이다. 그들은 물고기와 조개류, 도토리와 과일 등을 채집해 먹으며 대대로 살았다.

무역이 발달해 잡은 전복을 배에 실어 미 동부 미시시피 유역까지 운송했다. 후일 스페인이 침략해 샌 가브리엘 아칸젤(Mission San Gabriel Arcangel)이라는 미션을 만들고는 원주민을 가브리엘리노스(Gabrielinos)라고 부르기도 했다. 현재 원주민은 거의 살지 않는다. 

해변 이름은 바다를 둘러싼 절벽에서 백각(White Quartz)이라는 광물이 발견돼 '화이트 포인트'라고 이름이 지어졌다는 설과 화이트라는 영국 선원이 배에서 뛰어내려 이곳까지 헤엄쳐 온 뒤 은둔하며 살았다고 해서 이름이 지어졌다는 이야기가 있다. 1900년대 초 호세 세풀베다라는 목축업자가 땅을 사 목장을 운영하면서 이곳을 화이트 포인트라고 이름을 지었다.
 
화이트 포인트 온천 호텔 터다. 당시 바닷물과 온천수가 야외 수영장으로 들어왔다.
 화이트 포인트 온천 호텔 터다. 당시 바닷물과 온천수가 야외 수영장으로 들어왔다.
ⓒ 황상호

관련사진보기

 
캘리포니아 남부 어업 장악한 일본인

캘리포니아를 개척한 주역에 일본계 이민자가 있다. 그들의 이민사는 사무라이 22명과 여성 1명이 메이지 정부와 막부 간 내전이었던 보신전쟁(1868~1869) 때 샌프란시스코로 이주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이후 값싼 노동력을 기반으로 한 기업형 농장인 하와이 설탕 플랜테이션을 통해 이민이 본격화했고, 이어 철도 건설 노동자로 채용돼 캘리포니아 북부에 모여 살았다.

이들이 캘리포니아 남부로 오게 된 것은 1882년 통과된 연방법인 중국인 배척법(Chinese Exclusion Act) 때문이다. 중국인들은 그전부터 대륙횡단 철도공사와 금광 개발에 투입되는 등 피 터지게 일을 했다. 하지만 대륙횡단 철도 공사 완공 후, 중국인이 일자리를 빼앗는다는 인식이 퍼졌고 급기야 성문화된 최초의 이민제한법인 중국인 배척법이 통과됐다.

하지만 미국은 철도 건설 등 사회 기반 시설을 닦는 데 여전히 '값싼' 노동력이 필요했다. 이때 하와이와 캘리포니아 북부에 살던 일본인이 철도 건설을 위해 로스앤젤레스로 이주한다. 덩달아 이 지역이 성장하면서 많은 일본인이 전기회사 등에 취업해 산업 인프라를 구축했다(나중에 일본인 인건비도 비싸지자 미국이 이민을 허락한 나라가 조선이다).

1904년 기준, 일본인 거주촌인 리틀 도쿄를 중심으로 로스앤젤레스에는 일본인 2800여 명이 살았다. 이들은 요식업과 농업, 어업, 공예품 제작 등 다양한 산업으로 뻗어나갔다. 1910년도에 들어서자 유학생까지 입국하면서 일본인 수가 8000명 가까이 됐다.
 
드론으로 촬영한 옛 화이트 포인트 온천 호텔 터다.
 드론으로 촬영한 옛 화이트 포인트 온천 호텔 터다.
ⓒ 황상호

관련사진보기


인종 혐오에 스파이 누명까지

1898년 화이트 포인트 비치에 일본계 어촌 마을이 형성됐다. 어부 출신 이민자들이 공장 노동자로 취업해 일하다가 일정 적응 기간이 지난 뒤 본업으로 돌아온 것이다. 이중 12명이 화이트 포인트 비치에서 전복을 잡으며 터전을 닦았다.

바다 멀리 배를 타고 멀리 나가지 않아도 얕은 물에 전복이 자라고 있었다. 고향 일본 바다보다 수온이 따뜻해 일하기도 수월했다. 어부들은 다이빙을 한 뒤 금속 막대를 이용해 능수능란하게 전복을 잡았다. 

어부들은 그날 잡은 전복을 껍데기와 분리한 뒤 끓여서 건조하거나 통조림을 만들었다. 부패가 빨리 돼 당일 잡은 전복은 바로 가공해야 했다. 일본인들은 주머니에 말린 전복을 가지고 다니며 칼로 썰어먹는 풍습이 있을 정도로 채집과 가공에 능했다.

매년 전복 수천 톤을 수확해 미 서부와 아시아에 수출했다. 건조 전복은 1파운드(453그램)에 20센트, 전복 껍데기는 2톤 당 4달러에 팔았다. 10년 동안 꽤 많은 수익을 거뒀다.
 
일본계 미국인 어부가 전복 껍데기 더미 앞에 서 있다.
 일본계 미국인 어부가 전복 껍데기 더미 앞에 서 있다.
ⓒ 샌페드로 베이 히스토리컬 소사이어티

관련사진보기

 
유색인종이 솔찮이 부를 모으자 지역 내에서는 시기가 일기 시작했다. 급기야 로스앤젤레스 지역 신문들은 이들을 스파이라고 보도했다. 캘리포니아 남부 해안선을 측량한 뒤 일본 정부에 넘긴다는 것이다. 인종 혐오 정서는 법제화됐다. 캘리포니아주는 1905년 일본인이 어업을 못하도록 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이들은 화이트 포인트 비치를 떠나 남쪽으로 약 8킬로미터쯤 떨어진 터미널 아일랜드(Terminal Island)와 윌밍턴(Wilmington) 지역에 자리를 잡았다. 북쪽으로는 채널 아일랜드(Channel Island)로 이동했다. 전복 사업이 지역 경제에 이바지했던 바가 컸던터라 전복 채취가 완전히 사라지지는 않았다.
 
캘리포니아 남부 샌페드로 일대에서 일했던 일본 어부다. 이들은 각종 차별을 받는 가운데 어렵게 돈을 벌어 본국으로 보냈다.
 캘리포니아 남부 샌페드로 일대에서 일했던 일본 어부다. 이들은 각종 차별을 받는 가운데 어렵게 돈을 벌어 본국으로 보냈다.
ⓒ 샌페드로 베이 역사 소사이어티

관련사진보기

 
터미널 아일랜드에는 금세 캘리포니아 남부에서 두 번째로 큰 일본인 마을이 형성됐다. 비결은 어로 기술이었다. 당시 이탈리아 어부들은 정어리를 잡는 촘촘한 그물로 흰날개다랑어(Albacore Tuna)를 잡았는데 다랑어가 그물에서 몸부림을 쳐 상처가 너무 심했다.

하지만 일본인들은 살아있는 멸치를 뿌려 다랑어떼를 유인한 뒤, 미늘이 없는 낚시 바늘로 덩치 큰 물고기를 찍어 갑판에다 던졌다. 수면을 두드려 물고기떼를 유인하기도 했다. 잡은 물고기에 상처가 덜 나 상품성이 높았다. 이들은 상업적으로 큰 성공을 거뒀다. 1910년대 이 지역 일본인 인구는 3000명 정도가 됐다. 어부들은 영어와 일본어, 낚시 용어가 섞인 터미널 아일랜드 방언을 썼다.

(* 다음 기사로 이어집니다.)
 
역사 유적지가 된 ‘터미널아일랜드 일본 어촌 메모리얼’이다. 어부 두 명이 그물을 만지고 있는 모습을 조형물로 만들었다.
 역사 유적지가 된 ‘터미널아일랜드 일본 어촌 메모리얼’이다. 어부 두 명이 그물을 만지고 있는 모습을 조형물로 만들었다.
ⓒ 황상호

관련사진보기


태그:#황상호, #온천, #화이트포인트 호텔온천, #일본계 이민자, #아시안 차별
댓글5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소울트레블러17 대표 인스타그램 @rreal_la 전 비영리단체 민족학교, 전 미주 중앙일보 기자, 전 CJB청주방송 기자 <오프로드 야생온천>, <삶의 어느 순간, 걷기로 결심했다>, <내뜻대로산다> 저자, 르포 <벼랑에 선 사람들> 공저 uq2616@gmail.com

LA한인가정상담소에서 가정 폭력 생존자를 돕고 있다. 한국에서는 경기방송에서 기자로 일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