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제71주기(제23회)노근리사건 희생자 합동 추모식이 7월 28일(수) 오전 11시에 노근리평화공원 내 위령탑 일원에서 개최되었다. 추모식에서 양해찬 노근리사건희생자유족회 회장(왼쪽)과 정구도 ㈔노근리국제평화재단 이사장이 헌화를 하고 있다.
 제71주기(제23회)노근리사건 희생자 합동 추모식이 7월 28일(수) 오전 11시에 노근리평화공원 내 위령탑 일원에서 개최되었다. 추모식에서 양해찬 노근리사건희생자유족회 회장(왼쪽)과 정구도 ㈔노근리국제평화재단 이사장이 헌화를 하고 있다.
ⓒ 임재근

관련사진보기


노근리사건 71년을 맞아 제23차 노근리사건 희생자 합동 추모제가 개최됐다. 7월 28일 오전 11시, 노근리평화공원 내 위령탑 일원에서 개최된 합동 추모제는 최근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비수도권 사회적 거리두기가 27일부터 3단계로 격상됨에 따라 규모도 50명 미만으로 축소해 진행했다. 또한 행사 참가자 전원은 영동군 보건소에서 시행한 신속항원검사를 받는 등 강화된 방역지침을 엄격하게 준수하며 행사에 참여했다.

이날 추모제에 영상으로 추모사를 보낸 김부겸 국무총리는 "전쟁 중 우리 국민을 제대로 보호하지 못하고, 억울하게 희생된 국민을 오랫동안 밝혀내지 못한 것에 대해 대한민국 국무총리로서 희생자와 유가족 여러분께 사과드린다"며 "이 사건이 알려져서 빛을 보게 된 것은 생존자 여러분과 유가족들께서, 집념을 가지고 사건의 진실규명을 포기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이어 "문재인 정부는 노근리 사건에 계속 관심을 기울이겠다"고 말한 뒤 "희생자의 명예를 회복하고, 유가족의 아픔을 덜어드리기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양해찬 노근리사건희생자유족회 회장도 위령사를 통해 "요 몇 해 전부터 그분들의 부고 소식을 자주 듣게 된다"며 "저 쌍굴다리에서 기적처럼 살아남았었던 '생존 피해자'는 이제 채 서른 명도 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제는 더 미루지 마시고 억울한 죽음에 대해 국가가 책임 있는 조치를 취해 달라"며 배·보상조항이 포함된 특별법 개정에 정부와 의회가 관심을 가져줄 것을 호소했다.

정구도 ㈔노근리국제평화재단 이사장은 경과보고를 통해 특별법 개정과 함께, 내년 미국 워싱턴에서 노근리사건 피해자들과 참전 미군들이 참여하는 한·미 화해와 평화를 위한 교류 행사에 관심을 가져 줄 것을 요청하기도 했다.

노근리사건은 한국전쟁 초기 1950년 7월 25일부터 29일 사이에 미군이 후퇴하는 과정에서 공중폭격과 기관총 사격 등에 의해 피난민들이 희생된 사건이다. 특히 쌍굴다리에서는 피난민들에 대한 기관총 사격은 3박 4일, 70여 시간 동안 지속됐다.

지난 2001년 이 사건에 대해 한미 공동조사 결과를 발표했지만 명령 하달 여부 등 미국의 책임에 대해서는 결론 내리지 못했고, 미국은 희생자에 대한 유감 표명에 그쳤다. 한국 정부는 지난 2008년 사망 150명, 행방불명 13명, 후유장해 63명 등 총 226명을 피해자로 결정했고, 노근리평화공원은 '노근리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에 의해 2011년 10월에 준공됐다.
 
 정구도 ㈔노근리국제평화재단 이사장이 경과보고를 하고 있다.
  정구도 ㈔노근리국제평화재단 이사장이 경과보고를 하고 있다.
ⓒ 임재근

관련사진보기

 
  
최근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비수도권 사회적 거리두기가 27일부터 3단계로 격상되어 추모제도 50명 미만 참석한 채 진행되었다. 참가자들은 야외에 마련된 행사장에서 충분한 거리를 두고 추모제에 참석했다.
 최근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비수도권 사회적 거리두기가 27일부터 3단계로 격상되어 추모제도 50명 미만 참석한 채 진행되었다. 참가자들은 야외에 마련된 행사장에서 충분한 거리를 두고 추모제에 참석했다.
ⓒ 임재근

관련사진보기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통일뉴스에도 실립니다.


태그:#제71주기 노근리 추모식, #노근리 사건, #노근리사건희생자유족회, #노근리국제평화재단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