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문재인 대통령이 19일 자신의 SNS에 '열 손가락 없는 산악인' 김홍빈(57) 대장의  파키스탄령 카슈미르 북동부 카라코람산맥 제3 고봉인 브로드피크(8천47m)를 등반 성공을 축하하는 글을 올렸다.
 문재인 대통령이 19일 자신의 SNS에 "열 손가락 없는 산악인" 김홍빈(57) 대장의 파키스탄령 카슈미르 북동부 카라코람산맥 제3 고봉인 브로드피크(8천47m)를 등반 성공을 축하하는 글을 올렸다.
ⓒ 청와대 제공

관련사진보기

 
문재인 대통령은 19일 '열 손가락 없는 산악인' 김홍빈(57) 대장의  파키스탄령 카슈미르 북동부 카라코람산맥 제3고봉인 브로드피크(8047m)를 등반 성공을 축하하면서 "코로나로 지친 국민들에게 또 하나의 자랑과 희망을 주셨다"라고 고마움을 전했다. 

김 대장은 현지시각 18일 오후 4시 58분(한국 시각 오후 8시 58분) 브로드피크 등정에 성공하면서 장애인 최초로 히말라야 14좌 완등에 성공했다는 기록을 남기게 됐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자신의 트위터·페이스북 등에 이 소식을 전하면서 "함께 역경을 극복한 대원들과, 등반 과정을 카메라에 담은 KBS 촬영팀도 정말 수고 많으셨다"고 글을 올렸다. 
 
'열 손가락 없는 산악인' 김홍빈(57) 대장이 장애인 최초로 히말라야 14좌 완등에 성공했다. 19일 광주시산악연맹 등에 따르면 김 대장은 현지 시각 18일 오후 4시 58분(한국 시각 오후 8시 58분) 파키스탄령 카슈미르 북동부 카라코람산맥 제3 고봉인 브로드피크(8047m)를 등정했다. 사진은 베이스캠프에서 포즈를 취한 김홍빈 대장.
 "열 손가락 없는 산악인" 김홍빈(57) 대장이 장애인 최초로 히말라야 14좌 완등에 성공했다. 19일 광주시산악연맹 등에 따르면 김 대장은 현지 시각 18일 오후 4시 58분(한국 시각 오후 8시 58분) 파키스탄령 카슈미르 북동부 카라코람산맥 제3 고봉인 브로드피크(8047m)를 등정했다. 사진은 베이스캠프에서 포즈를 취한 김홍빈 대장.
ⓒ 광주시산악연맹 제공

관련사진보기

 
이어 김 대장에 대해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김홍빈 대장은 과거 매킨리 등반 도중 조난사고로 열 손가락을 모두 잃었지만, 오히려 그때부터 새로운 도전을 시작했다"면서 "이번 브로드피크 등반으로 8000m가 넘는 히말라야 14봉우리를 모두 등정한 세계 최초 장애인으로 이름을 남기게 됐다"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또한 문 대통령은 "(김 대장이) 어떻게 피켈을 잡고, 로프를 붙잡을 수 있었는지 궁금하지만, 장애를 이겨낸 성취여서 더욱 빛난다"면서 "전 세계 장애인들에게도 큰 용기와 자신감을 주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리고는 "어제(18일) 정상 등반을 축하하고 싶었지만, 하산 중에 연락이 두절됐다는 전언에 걱정이 컸다"면서 "이탈리아 등반대의 도움으로 캠프에 잘 도착했다고 하니 마음이 놓인다"고 전했다. 

끝으로 문 대통령은 "우리 국민들도 브로드피크 원정대처럼 서로 믿고 의지하며 코로나를 극복할 것"이라며 "매우 자랑스럽습니다. 대원들과 건강한 모습으로 돌아오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열 손가락 없는 산악인' 김홍빈(57) 대장이 장애인 최초로 히말라야 14좌 완등에 성공했다. 19일 광주시산악연맹 등에 따르면 김 대장은 현지 시각 18일 오후 4시 58분(한국 시각 오후 8시 58분) 파키스탄령 카슈미르 북동부 카라코람산맥 제3 고봉인 브로드피크(8047m)를 등정했다. 사진은 베이스캠프에서 포즈를 취한 김홍빈 대장(뒷 줄 가운데)과 원정대원들.
 "열 손가락 없는 산악인" 김홍빈(57) 대장이 장애인 최초로 히말라야 14좌 완등에 성공했다. 19일 광주시산악연맹 등에 따르면 김 대장은 현지 시각 18일 오후 4시 58분(한국 시각 오후 8시 58분) 파키스탄령 카슈미르 북동부 카라코람산맥 제3 고봉인 브로드피크(8047m)를 등정했다. 사진은 베이스캠프에서 포즈를 취한 김홍빈 대장(뒷 줄 가운데)과 원정대원들.
ⓒ 광주시산악연맹 제공

관련사진보기


태그:#문재인, #김홍빈, #열 손가락 없는 산악인, #브로드피크, #14좌 완등
댓글2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용산 대통령실 마감하고, 서울을 떠나 세종에 둥지를 틀었습니다. 진실 너머 저편으로...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