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마 <보쌈>이 막판에 특이한 반전을 공개했다. 광해군(김태우 분)의 딸을 사랑하고 그 옆을 떠나지 못하는 이대엽(신현수 분)이 실은 광해군의 조카였다는 것이다.
 
<보쌈>은 이대엽이 광해군의 큰형인 임해군의 숨겨놓은 아들이라고 폭로했다. 광해군 정권에 의해 역모죄로 처형된 임해군의 숨겨놓은 아이를 정권 실력자인 이이첨(이재용 분)이 키워줬다는 것이다. 이이첨의 동생인 해인당 이씨(명세빈 분)가 이대엽의 생모이므로, 드라마 속의 이이첨은 이대엽의 외삼촌이 된다.
 
 MBN 드라마 <보쌈 - 운명을 훔치다>.

MBN 드라마 <보쌈 - 운명을 훔치다>. ⓒ MBN

 
이 같은 반전은 이대엽과 옹주(권유리 분)를 뜻밖의 관계로 만들어놓았다. 이 둘은 어릴 때는 서로 사랑했지만, 옹주가 이대엽의 형수가 된 뒤로는 금지된 관계가 됐다. 그 뒤로도 이대엽은 변함없는 마음을 간직했지만, 옹주는 감정을 지워나갔다. 그러다가 옹주는 김대석(바우, 정일우 분)을 만났고, 새로운 사랑에 빠지게 됐다.
 
옹주가 이대엽의 형수가 된 뒤부터 둘의 사랑은 금지된 사랑이 됐다. 그런 상태에서 옹주와 이대엽이 사촌 관계로 밝혀졌으니, 이들의 사랑에 대한 금기는 한층 더 촘촘해질 수밖에 없게 됐다. 진짜 아버지가 이이첨이든 임해군이든, 이대엽은 옹주를 합법적으로 사랑할 수 없게 됐다. 이대엽의 혈통에 대한 폭로로 인해 그와 옹주의 관계는 한층 더 특이한 관계가 되었다.
 
이대엽을 길러준 드라마 속의 이이첨은 권력에 대한 욕심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국정을 사실상 자기 뜻대로 이끌어가면서도, 광해군마저 몰아내고자 집권당인 북인당을 중심으로 쿠데타를 준비한다.
 
이대엽은 평소부터 아버지 이이첨의 권력욕을 좋아하지 않았다. 아들 이대엽은 이이첨과 다른 삶을 살았다.
 
그런 이대엽이 쿠데타 음모를 알아내자, 이이첨은 그 앞에 갑자기 무릎을 꿇으며 애기씨로 존칭한다. 이이첨은 자신이 애기씨의 친아버지가 아니며 죽은 임해군이 친아버지라고 말한다. 그러면서 애기씨는 선조의 장자인 임해군의 아들이므로 대통을 승계할 적임자라고 치켜세운다. 그런 뒤 자신의 쿠데타 음모에 참여해 왕위에 등극하시라고 간청한다.
 
이대엽을 치켜세운 이이첨

드라마 속의 이이첨은 이대엽이 임해군의 아들이므로 왕이 될 적임자라고 말했다. 인목왕후(인목대비)와 선조 사이에서 태어난 적자인 영창대군은 선조가 죽기 2년 전인 1606년에 출생했다. 그에 비해, 임해군은 왕실 족보인 <선원속보>에 따르면 선조가 왕이 되고 5년 뒤인 1572년에 태어났다. 그러고 나서 3년 뒤에 광해군이 출생했다.
 
임해군은 첫 적자인 영창대군보다 34년 먼저 태어났고 친동생인 광해군보다 3년 먼저 태어났다. 태어난 순서로만 따지면, 임해군이 으뜸이었다.
 
그래서 적자인 영창대군이 만 8세에 세상을 떠나 후손을 남기지 못했으므로, 출생 순서로만 따지면 임해군의 후손들이 으뜸의 권리를 주장할 여지가 있었다. 드라마 속 이이첨이 이대엽을 치켜세우는 것은 그런 면에서 이해될 만하다.
 
그런데 왕이 될 수 있느냐가 꼭 혈통에 의해서만 판가름 나는 것은 아니었다. 도덕성 역시 핵심 기준이었다. 도덕성은 왕의 자손이 아닌 사람을 왕으로 만들어주지는 못해도, 왕의 자손을 왕이 될 수 없는 사람으로 만들어줄 수는 있었다. 바로 이 도덕성에서 임해군은 치명적인 결격 사유가 있었다.
 
임해군은 한마디로 망나니였다. 음력으로 선조 39년 8월 23일자(양력 1606년 9월 24일자) <선조실록> 등에 따르면, 그는 일반 백성을 함부로 구타하고 살해했으며 남의 노비와 토지도 멋대로 강탈했다.
 
같은 해 8월 24일자(양력 9월 25일자) <선조실록>에 따르면, 지방에서 납부하는 공물을 중간에서 가로채는 일까지 있었다. 왕자가 산적처럼 행동했던 것이다. 또 지방 군수가 한양을 방문하면 수행원을 붙잡아두고 군수한테서 재물을 갈취하기까지 했다. 다종다양한 악행을 저질렀던 것이다.
 
위 기록에 따르면, 참다못한 선조가 피해자들에 대한 손해배상을 지시하자 백성들이 거리로 뛰어나와 눈물을 흘리며 춤을 추웠다고 한다. 임해군에 대한 원성이 얼마나 자자했는지 짐작할 수 있다.
 
그런 악행이 있는 데다가 임진왜란 때는 일본군의 포로가 되기까지 했다. 이로 인해 조선의 전쟁 수행에도 지장을 초래했다. 이랬기 때문에 장남 지위와 관계없이 일찌감치 후계구도에서 배제될 수밖에 없었다.
 
선조는 자식들 간의 서열을 매우 중시했다. 31세 된 서자 광해군과 갓 태어난 적자 영창대군을 저울질한 것도 그 때문이다.
 
문제가 됐던 임해군의 도덕성
 
 MBN 드라마 <보쌈 - 운명을 훔치다> 한 장면.

MBN 드라마 <보쌈 - 운명을 훔치다> 한 장면. ⓒ MBN

 
적자·서자의 구분이 엄격했다면 서자 간의 서열에도 엄격해야 마땅했다. 그런데 선조는 임진왜란이 발발한 1592년에 임해군이 아닌 광해군을 세자로 책봉했다. 이는 광해군의 능력 때문이기도 했지만 임해군의 도덕성 때문이기도 했다.
 
임해군의 악행을 기록한 <선조실록>이 광해군 집권기에 편찬됐으므로, 임해군에 관한 기록의 신빙성을 의심할 수도 있다. 하지만 그럴 필요가 없다는 점은 <선조수정실록>에서 드러난다.
 
<선조수정실록>은 광해군을 몰아낸 인조 정권 때 편찬이 시작돼 인조를 계승한 효종 정권 때 완성됐다. 광해군에 대해 비판적인 정권들이 <선조수정실록>을 편찬했던 것이다.
 
그런데 임해군의 악행에 대한 기록은 <선조수정실록>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일례로, 임진왜란 발발 다음날 기록된 선조 25년 4월 14일자(1592년 5월 24일자) <선조수정실록>은 "임금의 장자인 임해군 이진은 거칠고 게으르며 학문에 힘쓰지 않았으며 노비들이 마음대로 폐단을 일으키도록 방치해서 폐해가 더욱 심각했지만, 광해군은 조심스럽게 행동하고 학문에 힘써 수도 및 지방 사람들(원문은 中外)이 마음으로 복속했다"고 말한다. 임해군에 관한 <선조실록>의 기록이 과장되지 않았음을 여기서도 느낄 수 있다.
 
임해군에 대한 부정적 기억은 광해군 시대는 물론이고 인조·효종 때까지도 계속 이어졌다. 그렇기 때문에 드라마 <보쌈>에서처럼 임해군의 아들을 광해군의 대안으로 추대하려는 움직임이 일어나기는 힘들었다. 임해군이 '선조의 장남'이기보다는 '망나니'로 기억되고 있었기 때문에, 그의 숨겨 놓은 아들이 세상의 기대를 받기는 쉽지 않았다.
 
또 이이첨이 임해군의 숨겨놓은 아들을 자식처럼 키워줬다는 설정도 상당히 비현실적이다. 임해군을 유배 보내고 죽음으로 이끈 핵심 인물이 다름 아닌 이이첨이었다. 그런 이이첨이 임해군의 아들을 키워 유능한 선비로 만들었다는 설정은 현실성이 크게 떨어진다. 거기다가 임해군의 아들을 광해군의 대안으로 받들고 쿠데타를 일으키려 하기까지 했다는 것은 개연성이 더욱 떨어진다.
 
드라마 <보쌈>에서는 광해군과 이이첨을 적대 관계로 묘사했지만, 실제로 이 둘은 서로 긴밀히 의존하는 사이였다. 물론 이들 사이에서도 견해 차이는 있었다. 특히 중립외교 노선과 관련해서 그랬다.
 
하지만, 이들은 정치적인 운명공동체였다. 그래서 <보쌈>에서처럼 격렬한 갈등을 빚었다면, 광해군 정권은 1623년보다 훨씬 일찍 붕괴됐을 수도 있다. 광해군과 이이첨의 적대관계를 전제로, 이이첨이 임해군의 아들을 미래의 대안으로 은밀히 키웠다는 <보쌈>의 설정은 당시의 역사적 상황과 심한 괴리를 보이는 게 사실이다.
보쌈 운명을 훔치다 이이첨 임해군 광해군 선조실록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kimjongsung.com.일제청산연구소 연구위원,제15회 임종국상.유튜브 시사와역사 채널.저서:대논쟁 한국사,반일종족주의 무엇이 문제인가,조선상고사,나는 세종이다,역사추리 조선사,당쟁의 한국사,왜 미국은 북한을 이기지못하나,발해고(4권본),패권쟁탈의 한국사,한국 중국 일본 그들의 교과서가 가르치지 않는 역사,조선노비들,왕의여자 등.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