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필라테스에서 스쿼트 100개를 따라했다고 신이 났는데 어김없이 몸살이다. 몸이 마음을 따라주지 않는다. 강사님께 이런저런 질문을 드리면 '대책없다'는 어머님을 기준으로 하여 답을 주신다. 어느 틈에 '시니어' 회원이 되었다. 

나이가 든다는 건
 
그들은 결국 브레멘에 가지 못했다
 그들은 결국 브레멘에 가지 못했다
ⓒ 비룡소

관련사진보기

 
황금도깨비 상을 수상한 루리 작가의 <그들은 결국 브레멘에 가지 못했다>는 나이든 당나귀의 이야기로 시작된다.
 
당나귀 씨 이제 운전하기에는 나이가 너무 많아요.
무슨 말인지 이해하시죠? 

나이듦을 바라보는 사회 이론 대부분은 '노인'을 사회를 이끌어 가는 주체가 아닌 '주변인', '타자'의 존재로 바라본다. 어느덧 '사회적 하위 집단'이 된 것이다. '연령 계층화 이론'은 '비슷한 역사적 경험을 공유하고 그에 따른 태도, 가치, 전망을 가진 노인 집단은 당연히 다른 연령 집단과 구분된다'고 본다. '현대화 이론'은 '농경 사회와 달리 산업 사회에서는 노인 역할의 중요성이 감소된다'고 주장한다. 

'사회 교환 이론'으로 가면 보다 적나라하다. '상대방에 대한 보상을 전제로 하는 사회적 행동에 있어, 노인은 상대적으로 열등한 위치에 있기 때문에 더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교환하려 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이현수, <나는 나답게 나이들기로 했다> 중에서). 

바둑이씨, 야옹이씨, 꼬꼬댁씨와 함께 하루 아침에 거리로 내몰린 나이든 당나귀씨의 처지가 우리 사회에서 노인들을 바라보는 시선을 잘 드러낸다. 나이듦은 '비정규직'과 '일용직'과 다르지 않다. '자존심 욕구, 사회적 상호 작용의 욕구, 지적 욕구가 여전해도'(연속성 이론), 사회는 나이든 사람들을 자신들과 '다른' 존재로 여긴다. 

몸이 안 따라주는 나를 '다른' 존재로 바라보는 듯한 선생님의 시선은 사실 아이 엄마들이 나를 '할머니'라고 부르기 시작한 순간부터 익숙해진 것이다. 어느새 '주류'에서 밀려나버린 '존재', 그런데 '노인'이 다른 사회적 존재들과 좀 다른 건 우리가 살아온 삶의 사이클이 '완료'된 결과로써라는 점이다. 
 
그런데 자동차와 타이어는 이제 낡을 대로 낡아서 
가던 길을 멈춰서야 하는 때를 맞게 되지요.
 
낡은 타이어의 두 번 째 여행
 낡은 타이어의 두 번 째 여행
ⓒ 노란 상상

관련사진보기

 
자웨이 작가의 <낡은 타이어의 두 번 째 여행>은 이렇게 시작된다. '낡을 대로 낡아서 가던 길을 멈춰야 할 때', 그건 누군가에겐 '정년 퇴직'일 수도 있고, '은퇴'일 수도 있을 것이다.

주부인 나에게는 아이들이 훌쩍 자라 더는 아이들을 키우느라 아등바등댈 것 없는 시간으로 다가왔다. 한 푼이라도 더 아껴서 더 많은 것을 '소비'해야 할 시대가 지났다. 굳이 마트의 원 플러스 원 제품을 사야할 이유가 없어졌다. 만 원 묶음으로 사놓은 과일들이 썩어서 버리는 처지가 되었다. 

돌아보면 한때 자동차와 함께 세상 이곳저곳을 누비던 타이어처럼 잘 달려왔다. 그리고 한 사이클의 삶에서 이젠 내려서야 할 때가 되었을 뿐이다. 익숙하게 살아온 삶에서 내려서는 건 쉽지 않다. 큰 아이가 대학에 들어갔을 때, 작은 아이가 대학을 졸업할 무렵 혹독하게 빈둥지 증후군을 앓았다.

아이들이 떠나간 자리에 훵하니 찬바람만 들이쳤다. 그런데 세상마저 우리더러 '늙었단다.' 서러울 밖에. <그들은 결국 브레멘에 가지 못했다>에서 퇴직 선물이라며 쥐어 준 참치 캔 한 박스를 들고 길을 가던 당나귀씨의 마음도 이와 다르지 않았을 것이다.

다시 떠난 여행, 누구와, 어디로? 

그런데 <낡은 타이어의 두 번 째 여행>에서 타이어는 좀 다른 생각을 한다.
 
하지만 나는 계속 여행하기로 마음먹었어요. 
세상을 더 보고 싶었거든요. 

멈춰 선 자동차가 마지막 쉴 곳이라고 생각하는 대신 타이어는 거기서 튕겨져 나와 혼자 굴러가기 시작한다. 그런데 혼자 즐거운 것도 잠시 멀리 가보지도 못하고 커다란 바위에 그대로 바닥에 드러누워 버린다. 여기서 끝일까? 풀밭에 드러누워버린 타이어에 작은 동물들이 찾아든다. 둥지 삼기도 하고, 타이어 놀이터 삼아 놀기도 한다. 비가 와서 물이 고이니 작은 연못이 되었다. 
 
낡은 타이어의 두 번 째 여행
 낡은 타이어의 두 번 째 여행
ⓒ 노란 상상

관련사진보기

 
<그들은 결국 브레멘에 가지 못했다>의 당나귀는 어땠을까? 당나귀가 터덜더털 걸어가는 길, 그런데 어느덧 혼자가 아니다. 김치 한 통을 가진 바둑이씨와 남은 삼각 김밥을 싸들고 온 야옹이씨, 팔다 남은 두부를 가진 꼬꼬댁씨가 함께 걷고 있다. 그리고 그들은 이제 더는 '도둑질'조차 하지 못하게 된 도둑들을 만난다. 
 
그럼 이제 우리는 뭐하지? 

낙담한 마음으로 모여앉은 이들, 그런데 배가 고프다. 당나귀가 가져온 참치 통조림에, 바둑이가 싸온 김치, 그리고 꼬꼬댁씨의 두부를 넣어 김치찌개를 끓여 함께 먹는다. 맛있다! 그러지 말고 우리 이걸로 장사를 하면 어떨까? 

책 제목처럼 당나귀씨, 바둑이씨, 야옹이씨, 꼬꼬댁씨는 브레멘에 가지 못했다. 아니 가지 않았다. 하지만 대신 당나귀씨는 친구들과 김치찌개 장사를 분주하게 준비한다. 낡은 타이어도 원하던 세상 구경을 맘껏 해보지 못했다. 낡은 타이어는 비록 예전처럼 신나게 굴러가지는 못하지만 많은 친구들과 함께 변하는 계절에 맞춰 새로운 세상을 만난다. 

나이듦이란 세상 구경을 하고 싶지만 커다란 바위에 부딪쳐 바닥에 드러누워 버린 타이어와 같은 처지일지도 모른다. 그런데 두 권의 그림책 속 주인공들은 더는 예전과 같은 삶을 살 수 없는 처지에서 새로운 삶이 열린다.

무엇보다 새로운 '벗'들을 만나게 된다. 나이를 차치하고 사회적 동물로서 인간이 다른 사람들과 함께 어울려 살아갈 수만 있다면 이보다 더 좋은 게 있을까? 두 권의 그림책이 말해주고자 하는 건 바로 이 지점이 아닐까?

직장에서 밀려난 당나귀가 만난 바둑이씨, 야옹이씨 그리고 꼬꼬댁씨를 주목해야 한다. 그리고 자리에 누워버린 타이어에게 찾아든 작은 동물들을. 예전처럼 달릴 수 없는 나이듦의 시간에서 우리는 누구와 함께, 어떻게 이 시간을 살아갈 것인가에 대해 그림책은 '우문현답'을 주고 있다.

나이듦의 시간, 더는 예전처럼 사회의 주류가 되어 활기차게 생산적 활동을 할 수도 없고, 그만큼의 체력도 따르지 않는 나이, 과연 우리의 삶을 누구와 함께, 어떻게 꾸려나가야 '브레멘'에 연연하지 않고 행복한 삶을 누릴 수 있을까. 

덧붙이는 글 | 이 글은 https://blog.naver.com/cucumberjh 에도 실립니다.


태그:#<그들은 결국 브레멘에 가지 못했다, #낡은 타이어의 두번 째 여행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