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4.7 부산시장 보궐선거 기간 정치권은 여야를 막론하고 가덕신공항 추진을 천명했습니다. 선거가 끝난 지금도 부산은 신공항 추진이라는 큰 난제를 마주하고 있습니다. 이에 기후위기와 환경 등의 이유로 공항을 반대하는 신공항반대시민행동이 연속기고를 보내와 싣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이와 관련 찬반을 포함 다양한 의견을 기다립니다. [편집자말]
 
부산지역 진보정당, 환경단체로 이루어진 신공항반대부산행동이 지난 2월 17일 더불어민주당 부산시당사에서 가덕도 신공항 특별법 처리에 반대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 "기후위기 역행" 부산지역 진보정당, 환경단체로 이루어진 신공항반대부산행동이 지난 2월 17일 더불어민주당 부산시당사에서 가덕도 신공항 특별법 처리에 반대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 김보성

관련사진보기

 
인류 삶의 패턴을 바꾸고 있는 코로나19 사태로 직격탄을 맞은 것은 항공업계다.
코로나19 팬데믹(세계 대유행) 현상으로 해외 여행이 어려워지면서 국제선 여객 수가 전년 대비 약 95% 급감했는데도 공급은 지속되니 경영난에 처한 항공사들이 대거 매물로 쏟아졌다. 이같은 항공업계의 매각설은 2020년 코로나 시국과 함께 신문지상을 연일 달구었다. 갈 곳이 없는 여객기 80% 이상이 날지 못했고 인천국제공항은 2001년 이래 처음으로 수요가 1만 명 이하로 떨어졌다. 올해 상반기 국적 항공사의 국제선 운송 실적을 기준으로 피해 규모는 최소 6조 4천451억 원으로 예상된다고 한다.

전문가들은 인간이 자연에 대한 침범을 멈추지 않는 한 코로나19는 마지막 팬데믹이 아니라고 경고한다. 인간은 기존의 소비 형태를 바꿀 생각이 없고 팬데믹은 반복 될 가능성이 높다. 이것은 기후위기사태로 더욱 더 가속화될 것이다. 세계보건기구에 따르면 평균 기온이 1도 상승할 때마다 감염병은 4.7% 늘어난다고 한다.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 보고서는 인류가 지금의 산업시스템을 지속할 경우 2050년이 되면 평균기온이 2도 상승해 거주 불능한 지구를 맞이 할 것이라고 경고한다. 그 전조는 지금도 나타나고 있다. 2017년 미국 애리조나주에서는 낮 최고 기온이 120℉(48.8℃)로 치솟아 여객기 45대의 운항이 취소됐다. 항공기가 견딜 수 있는 운항 온도를 넘어섰기 때문이다.

폭염이 극심해지면 비행기 이륙 시 몸무게에 따른 비용지불을 부담할 수도 있다. 미국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2015년 발간한 '기후변화와 극심한 기온차가 항공에 끼치는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기온이 올라갈 경우 이륙을 위해서는 항공기가 가볍거나 활주로가 길어야 하는데, 기체 자체나 활주로 길이를 자유자재로 바꿀 수 없으니 운송 중량을 줄이려면 승객이나 짐, 비행기 연료를 조정할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항공산업이 지구 온난화에 기여하는 정도는 이동 수단 중 가장 크다. 비행기를 탄 승객 1명이 1km를 이동할 때 배출되는 이산화탄소(CO2)의 양은 285g으로, 자동차 104g의 2배, 기차 14g의 20배나 높다. 2018년 한 해 동안 배출한 항공계의 온실가스 양은 전 세계 온실가스의 2.4%를 차지했다. 이 수치는 2013년 대비 26% 상승한 것이다.

인류가 앞으로 기온 상승 2도를 막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탄소예산은 이제 1조 톤 밖에 남아 있지 않다. 지금 당장 경제적 호황을 누리기 위해 이산화탄소 흡수원인 가덕도의 자연환경을 매몰시키고 가덕 신공항을 세운다면 올 여름 부산을 강타한 역대 최장 장마라는 이름의 기후위기는 또 다른 부메랑이 되어 부산 경제에 큰 타격을 입힐 것이다. 실제로 그린피스에서 공개한 2030년 한반도 대홍수 시뮬레이션에서는 엄청난 비로 부산이 침수되어 섬이 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대로 가다가는 2030년에 10년 전 코로나19와 장마로만 힘들어 했던 2020년을 그리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가덕신공항의 타당성 조사를 할 때 기후위기 상황을 감안한 수요예측은 없었다. 미래를 예측하지 못한 사업은 모래 위에 성 쌓기다.

태그:#가덕신공항, #토건, #환경, #지구온난화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모든 시민은 기자다!" 오마이뉴스 편집부의 뉴스 아이디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