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지난해 2월 19일부터 3월 1일까지 다녀온 쿠바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여행 직후 전세계적인 코로나19 확산으로 싣지 못했던 여행기를 1년을 맞아 공유하고자 합니다.[기자말]
대항해 시기의 쿠바
 
스페인 식민지의 흔적
 스페인 식민지의 흔적
ⓒ 이희동

관련사진보기

 
아바나에서의 두 번째 아침. 오늘은 럼 박물관과 혁명박물관, 그리고 콜론 묘지와 혁명광장을 가는 날이다. 나름 쿠바여행의 백미로 꼽고 있는 혁명 광장. 벌써부터 설레었다. 쿠바 여행 책자를 보면 모두 혁명 광장에서 체 게바라의 철근 형상이 있는 쿠바 행정부 건물을 배경으로 사진을 찍었던데 우리는 과연 어떤 포즈로 사진을 찍어야 하나.

호텔에서 아침을 대충 먹은 뒤, 가이드를 따라 나섰다. 첫 번째 목적지는 럼 박물관. 그러나 예약 시간 때문에 우리는 박물관으로 곧장 향하지 않았고, 대신 올드 아바나에 있는 유적들을 먼저 구경했다. 스페인 총독관저와 산 프란시스코 성당 등 대부분 스페인 식민지 시대와 관련 있는 것들이었다.

사실 쿠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스페인 식민지 시대를 먼저 이해해야 한다. 우리는 식민지 하면 자연스럽게 일제강점기의 고난을 떠올리지만, 쿠바의 식민지 개념은 우리와 다르다. 이전에 조선이 있었던 우리와 달리 쿠바는 국가 체제가 없었으며, 스페인의 지배 이후 1세기 만에 원주민은 사라졌고, 쿠바는 스페인 제국의 일부로 세계와 접속했기 때문이다.
 
올드 아바나 중심의 산 프란시스코 성당
 올드 아바나 중심의 산 프란시스코 성당
ⓒ 이희동

관련사진보기

 
대항해 시기의 쿠바, 특히 아바나는 세계의 주요 거점 중 하나였다. 스페인이 지배하고 있는 북미와 중남미의 모든 산물들이 쿠바 아바나를 거쳐 대서양을 건너 스페인으로 향했기에, 아바나는 그 어느 곳보다 화려하고 풍요로웠다. 지금이야 중남미 소국의 수도일 뿐이지만 당시 아바나는 가장 막강한 제국이었던 스페인의 주요 도시 중 하나였다.

스페인은 아메리카의 모든 식민지를 잃는 마지막까지도 쿠바를 포기하지 않다가, 결국 미국과의 전쟁에서 패하고 난 뒤 철수하게 된다. 그것이 쿠바의 스페인으로부터의 독립이자 미국 간섭의 시작이었다.

따라서 쿠바에는 스페인의 흔적이 강하게 남아있을 수밖에 없다. 우리는 일제를 지우고 복원할 역사가 있지만, 쿠바는 그렇지 않다. 쿠바인들이 나라를 세운 것은 뺏겼던 국가를 되찾으려는 것이 아니라, 같은 스페인인이지만 쿠바에서 태어났다는 이유만으로 당했던 불평등을 전복하기 위함이요, 노예로서 착취당하던 현실을 뒤집기 위해서였다. 
 
스페인 신부와 원주민 동상
 스페인 신부와 원주민 동상
ⓒ 이희동

관련사진보기

 
이와 같은 맥락으로 가톨릭은 스페인의 국교였지만, 쿠바의 종교이기도 했다. 쿠바인들은 영화 <미션>에서 보듯이 가톨릭의 이름으로 해방을 외쳤으며, 예수를 기리며 자신들의 고난을 이겨냈다. 일제는 신사를 세워 조선을 억압하고자 했지만, 쿠바인들은 성당에서 스페인 제국주의를 타도했다. 그것이 선교사와 원주민 아이가 함께 서 있는 산 프란시스코 성당 앞 동상의 의미였다.

제국주의는 기차와 함께

산 프란시스코 광장을 지나 럼 박물관으로 가는 길에는 기차 한 량이 우두커니 서 있었다. 가이드는 스페인 식민지 시대를 대표하는 유적이라며 간단하게 설명해줬지만, 이후 우리는 인천공항철도에서 일하고 있는 일행으로부터 자세하게 쿠바 철도에 대해서 들을 수 있었다.

쿠바의 철도는 1837년 스페인에 의해 건설되었다. 이는 라틴 아메리카에서도 최초일 뿐만 아니라 1848년에 개설된 스페인 본국의 철도보다도 빠른 시기였다. 영국의 최초 증기기관차의 실용화가 1825년 경이라고 하니, 스페인이 얼마나 서둘렀는지는 쉽게 짐작할 수 있다.
 
제국주의는 기차를 타고 온다
 제국주의는 기차를 타고 온다
ⓒ 이희동

관련사진보기

 
그렇다면 스페인은 왜 이렇게 급하게 쿠바 철도를 개설했을까? 이는 일제가 우리에게 그랬던 것처럼 결국 제국주의의 식민지 수탈을 위해서였다. 한반도의 철도가 지하광물과 쌀 등을 싣고 군산, 원산 등의 항만까지 연결된 것처럼, 쿠바의 철도는 쿠바 전역에서 생산되던 사탕수수의 설탕을 싣고 아바나 항까지 연결된 것이다.

스페인의 착취를 위해 국토를 가로질러 건설된 쿠바의 철도는 독립 이후 주요 교통수단으로 이용되었지만, 소련의 지원과 함께 쇠락했다고 한다. 소련이 풍부한 자국의 원유와 화물차를 지원해주면서 교통 시스템이 철도 대신 도로를 중심으로 개편되었기 때문인데, 쿠바의 도로 시스템은 소련의 붕괴와 함께 위기를 맞게 된다. 1990년대 이후 쿠바가 다시 철도 건설에 관심을 갖는 이유이기도 하다.

실제로 쿠바 시내를 돌아다니면 1950년대 올드카 외에도 1960~1970년대 만들어진 소련제 버스와 트럭들을 쉽게 볼 수 있는데, 이는 그만큼 소련이 동구권 국가들에게 지대한 영향력을 미쳤다는 뜻이기도 하다. 그러니 그들에게 소련의 붕괴는 얼마나 청천벽력 같은 일이었을까.

여기까지 생각이 미치니 슬며시 북한이 떠올랐다. 아직도 일제가 건설한 철도시스템을 그대로 사용하지만, 전기가 모자라 제대로 운영이 되지 않는 북한의 철도. 김정은 위원장이 평창 올림픽 때 특히 KTX에 대해 부러워했던 것은 도로보다 철도가 교통시스템의 중심인 그들로서 당연한 것이었다. 언제쯤 남북의 철도는 제대로 연결될 수 있을까. 쿠바의 철도는 그래봤자 쿠바 섬 동서를 잇지만 우리의 철도는 한반도와 유럽을 연결할 수 있지 않은가.

쿠바와 아바나 클럽 
 
럼 박물관의 그 여성
 럼 박물관의 그 여성
ⓒ 이희동

관련사진보기

 
이윽고 도착한 럼 박물관. 아직 예약한 관람 시간이 되지 않아 기다리고 있는데 어떤 예쁜 쿠바 아가씨가 의자에 앉아 멋들어진 모습으로 시가를 피우고 있었다. 나도 모르게 이끌려 그녀와 함께 자연스럽게 사진을 찍었더니 아뿔싸, 당당하게 돈을 달라고 했다. 전날 해변에서 빤히 봤는데 똑같이 당하다니. 그래도 기꺼운 마음으로 그녀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했다. 내게는 천 원이었지만, 그들에게는 적지 않은 돈이었다.

잠시 뒤 박물관의 해설사가 유창한 영어로 우리를 안내했다. 쿠바와 사탕수수, 그리고 럼과 관련된 짧은 영상을 본 뒤 관람을 시작했는데, 럼의 상표 중 하나인 아바나 클럽의 역사를 설명할 때 그녀의 목소리에는 왠지 모를 자부심이 묻어 있었다. 럼 하면 아바나 클럽이라는 자신감 같았다.

부끄러웠다. 나는 캐나다 어학연수 때 바카디를 맛보고 그것이 곧 럼의 전통이라며, 바카디가 최애주라고 떠들고 다녔었다. 그런데 정작 럼의 본토인 쿠바에서는 아바나 클럽이 최고일 줄이야. 
 
쿠바 사탕수수 공장 모형
 쿠바 사탕수수 공장 모형
ⓒ 이희동

관련사진보기

 
쿠바인들은 공산화 혁명 뒤 국영화가 시작되자 고국을 버리고 미국으로 산업시설을 옮긴 바카디를 배신자로 인식하고 있었다. 실제로 쿠바에서는 바카디를 찾아볼 수 없었다. 그것은 아바나 클럽이 미국에서 판매 금지이고, 쿠바와 정식 수교가 없는 우리나라에서 아바나 클럽을 쉽게 구하지 못하는 이유이기도 했다.

박물관에는 스페인 식민시대 사탕수수로 설탕을 뽑고, 그것으로 럼을 만들었던 쿠바인들의 고된 과정을 보여주는 미니어처와 함께 당시 사용했던 온갖 기구들이 전시되어 있었다. 럼 생산이 얼마나 노동집약적인 산업이고, 스페인 제국주의자들이 그 당시 노예들을 얼마나 착취했는지 알 수 있었다. 결국 이와 같은 착취에 쿠바인들이 분연히 일어서서 독립을 꾀했던 것 아닌가.

이와 같은 박물관을 둘러본 뒤 시음하는 아바나 클럽은 맛이 달랐다. 럼은 사탕수수로 만든 만큼 단맛을 기본으로 하는 술이었지만, 그 한 잔에는 노동의 고단함과 식민지의 모순이 담겨 있었다.

영화 <캐리비안의 해적>을 보면 조니 뎁 분의 주인공 잭 스패로우 선장이 항상 럼을 마신 뒤 취해 있는데, 어쩌면 그것은 취하지 않고는 생활할 수 없었던 쿠바의 고된 현실을 표현한 것인지도 모른다. 실제로 럼은 당시 해적들이 물 대신 마신 음료였고, 공포와 역겨움을 잊게 해주던 하나의 마약이었다.
 
쿠바의 고된 노동자
 쿠바의 고된 노동자
ⓒ 이희동

관련사진보기

 
이렇게까지 럼에 대해 알게 되었는데 어찌 그냥 지나칠 수 있겠는가. 게다가 한국에서는 쉽게 구할 수 없다는 아바나 클럽. 북한산 구조대원인 룸메이트와 나는 20년 산 아바나 클럽을 몇 병씩 주워 담았다. 앞으로 남은 긴 밤 동안 함께 매일 마실 요량이었다.

그러나 그것은 대단한 착각이었다. 그 많던 아바타 클럽은 그날 하룻밤에 모두 사라지고 말았다. 아니, 그 술은 오병이어의 기적처럼 계속해서 새로운 럼을 이끌어내었고, 또한 지금까지 1년 넘게 이어지고 있는 끈끈한 멤버십을 엮어냈다.

브라보, 아바나 클럽! 브라보, 이쿠방 사람들!

태그:#쿠바, #스페인, #아바나, #럼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역사와 사회학, 북한학을 전공한 사회학도입니다. 물류와 사회적경제 분야에서 일을 했었고, 2022년 강동구의회 의원이 되었습니다. 일상의 정치, 정치의 일상화를 꿈꾸는 17년차 오마이뉴스 시민기자로서, 더 나은 사회를 위하여 제가 선 자리에서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