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963개 시민사회노동단체 대표들은 25일 오전 11시 서울 종로구 한국기독교회관 2층 조에홀에서 ‘한미연합군사훈련 중단 촉구’ 각계 공동 기자회견을 했다.
▲ 한미연합군사훈련 중단 촉구 기자회견 963개 시민사회노동단체 대표들은 25일 오전 11시 서울 종로구 한국기독교회관 2층 조에홀에서 ‘한미연합군사훈련 중단 촉구’ 각계 공동 기자회견을 했다.
ⓒ 김철관

관련사진보기

 
963개 시민사회노동단체가 기자회견을 통해 "오는 3월로 예정된 한미연합군사훈련 중단하고, 남북대화의 문을 열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6.15남측위원회, 한국노총, 민주노총,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전국여성농민회 등 963개 시민사회노동단체 대표들은 25일 오전 11시 서울 종로구 한국기독교회관 2층 조에홀에서 '한미연합군사훈련 중단 촉구' 공동 기자회견을 했다.

기자회견문을 통해 "한미연합군사훈련 강행은 대결정책을 고집하겠다는 선언"이라며 "지금 한반도 평화의 길에 가장 절실한 것은 신뢰의 회복이며, 관계개선을 향한 실질적인 노력"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바이든 정부는 훈련 중단을 통해 북미대화의 길을 열어야 한다"며 "문재인 정부는 훈련 중단을 즉각 선언하고, 남북관계를 스스로 전진시키는 용기 있는 실천에 나서야 한다"고 밝혔다.

인사말을 한 이창복 6.15남측위원회 상임대표의장은 "2018년 4.27판문점 선언, 9.19평양공동선언을 했지만, 현재 신뢰관계는 파탄이 났다"며 "전쟁연습은 북을 적으로 규정한 것이다, 우리민족의 운명은 우리 스스로 개척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의 장래를 우리 힘으로 개척할 수 있는 지혜와 용기와 끈기를 가져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며 "남북관계가 신뢰를 쌓아갈 수 있고 물꼬를 틀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었으면 좋겠다"고 전했다.

발언을 한 이홍정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총무는 "우리는 세계화된 군산정보복합체 세력에 의해 주도되는 전쟁의 경제학의 논리가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를 제어하는 것을 결코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은 "민주노총은 한미합동군사훈련을 반대하면서 다음주 3월 5일과 6일 평택에서부터 청와대까지 도보행진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김정수 6.15여성본부 상임대표, 권오헌 양심수후원회 명예회장 등도 발언을 통해 "한미연합군사훈련 중단"을 촉구했다.

기자회견은 김경민 한국YMCA전국연맹 사무총장의 사회로 열렸고, 6.15남측위원회 서울본부, 진보대학생넷 등 현장 활동을 실시간으로 연결해 방영했다. 기자회견문은 허권 한국노총 상임부위원장과 양옥희 전국여성농민회 총연합회장이 낭독했다.
  
25일 오전 기자회견에서 허권 한국노총 상임부위원장과 양옥희 전국여성농민회 총연합회장이 기자회견문을 낭독하고 있다.
▲ 기자회견 25일 오전 기자회견에서 허권 한국노총 상임부위원장과 양옥희 전국여성농민회 총연합회장이 기자회견문을 낭독하고 있다.
ⓒ 김철관

관련사진보기

 
다음은 한미연합군사훈련 중단 촉구 공동기자회견 전문이다.

전쟁연습 중단하고 다시 대화로 향하는 문을 엽시다!

우리는 한반도 평화를 만들어온 지난날의 피땀 어린 역사를 돌아보며, 오늘 갈림길에 선 한반도의 운명 앞에 절박한 마음으로 다시 이 자리에 섰습니다.

우리는 대결과 적대의 시간을 마감하고 평화를 일구기 위한 몸부림을 기억합니다.
그런 헌신이 모여 남북공동선언들의 소중한 결실도 보았습니다. 그러나 지켜지지 않은 약속 앞에 신뢰는 금이 갔고, 남북화해협력과 한반도 평화체제의 전망은 불투명합니다

한미연합군사훈련 강행은 대결정책을 고집하겠다는 선언입니다.
지금 한반도 평화의 길에 가장 절실한 것은 신뢰의 회복이며, 관계개선을 향한 실질적인 노력입니다.

한미 당국은 관계개선과 대화의 의지를 보여야 합니다. 우리는 지난 2018년 한미연합훈련 중단 선언이 남북, 북미정상회담의 중요한 실마리였음을 기억합니다.
적대적 행동의 상호 중단이야말로 관계개선의 첫걸음임에도 불구하고 한미 당국은 기존 제재와 군사압박정책만을 고집하고 있습니다.
신뢰 회복의 열쇠는 한미연합군사훈련 중단에 있음을 다시 호소합니다.

훈련 규모 조정에 대한 말도 나옵니다. 그러나 문제는 훈련의 '규모'가 아니라 훈련의 '성격'입니다.

북을 적으로 규정하고, 선제공격과 지휘부 타격, 점령이라는 작전계획에 기초한 훈련의 성격이 본질입니다. 그 때문에 아무리 규모를 조정한다 해도 동포를 향한 전쟁 연습이자 적대 행위 그 자체인 훈련의 위험성이 변하지 않는 것입니다.
'조정'이 아닌 '중단'으로, 정확한 결단을 해야 합니다.

정부는 한미연합군사훈련의 명분이라 말하는 전작권 환수에도 전향적 입장을 가져야 합니다.

'조건에 기반한 전작권 전환'은 이미 '조건의 덫'에 걸린 지 오래입니다. 미국 정부는 조건 충족의 기준을 계속 높여가고 있으며 정부는 그 굴레 속에서 무기도입의 늪에 빠져있습니다. 군사주권의 핵심인 전시작전통제권은 그 능력 여하를 그 누구에게 검증받을 일이 아니며, 주권회복의 관점에서 즉각 환수를 선언해야 합니다.

이제 결단의 시간입니다.
바이든 정부는 훈련 중단을 통해 북미대화의 길을 열어야 합니다.
문재인 정부는 훈련 중단을 즉각 선언하고, 남북관계를 스스로 전진시키는 용기 있는 실천에 나서야 합니다.

한미연합군사훈련을 중단하고 다시 대화의 문을 열어냅시다!

2021년 2월 25일

한미연합군사훈련 중단 촉구 각계 공동 기자회견 참가자 일동
(963개 단체, 선언운동 및 각계 행동명단 별첨)

태그:#한미연합훈련중단 촉구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문화와 미디어에 관심이 많다. 현재 한국인터넷기자협회 상임고문으로 활동하고 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