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살이 7kg 정도 쪘다. 성년이 된 이후 최저 몸무게를 아이 낳고 경신했다. 그러다 이제야 적당히 살이 붙은 것이다. 마흔에 첫 출산을 한, 호기심 넘치는 세 살 남아를 키우고 있는 엄마의 육아는 체력과 기운이 8할이므로 이 정도 몸무게를 유지하는 게 좋겠다는 결론을 내렸다.

문제는 팬티가 꽉 낀다는 것이다. 이참에 사각팬티로 갈아 타보자 싶어 며칠 생각날 때마다 검색을 했다. 원래부터도 속옷은 면 100%만 입는데 삼각팬티는 쉽게 구해지지만 사각팬티는 순면으로 된 것이 드물었다.

그도 그럴 것이 사각팬티의 관건은 허벅지 부분이 밀려 올라가지 않도록 딱 고정되게 잡아줘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려면 면으로는 부족하다.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등 기능을 더한 섬유가 들어가 줘야 한다.

"점점 더 많은 의류가 면이나 모직 대신 폴리에스테르와 나일론으로 제조되는데, 둘 다 플라스틱이다."
- <지구에 대한 의무> 스티븐 부라니 외

"전 세계 바다로 유입되는 플라스틱 가운데 3분의 1 이상은 옷을 세탁하면서 나온 것이다."
- <플라스틱 없는 삶> 윌 맥컬럼

"물질의 위계 질서는 폐기되었다. 단 하나의 물질(플라스틱)이 모든 물질을 대체한다.(중략) 훨씬 유연한 동시에 다루기 쉽고 대체된 물질보다 엄청나게 저렴하고 가볍다는 플라스틱만의 독특한 특성은 세계 경제가 폐기 중심의 소비문화로 이동하는 기폭제가 되었다."
- <지구에 대한 의무> 스티븐 부라니 외


얼마 전 읽은 환경 책에서 봤다. 나일론과 폴리에스테르는 플라스틱이라는 것, 바닷속 미세 플라스틱의 3분의1은 우리가 세탁할 때 나오는 섬유에서 기인한다는 것. 플라스틱의 세계는 무궁무진했다. 섬유가 플라스틱이라는 건 좀처럼 상상하기 힘들다.

하여, 나는 순면 사각팬티를 시험 삼아 딱 한 장 샀다. 역시나 밀려 올라가는 게 문제다. 종일 신경 쓰며 잡고 끌어내린다. 이건 안 되겠다. 다시 검색한다. 길이를 5부 정도로 좀 더 길게 만들어 밀려 올라가는 문제를 해결했다는 홍보 문구를 보고 순면 사각팬티를 다시 주문한다. 이번에도 실패다. 면 특성상 잠깐만 입어도 쭉쭉 늘어나 몸에 고정되지 않고 여전히 올라간다. 이건 집에서 반바지처럼 입고 지낸다.

 
사각팬티 (기사의 내용과 관계없습니다)
 사각팬티 (기사의 내용과 관계없습니다)
ⓒ 구글 검색 광고 사진

관련사진보기

  
고민이 된다. 타협하고 나일론으로 만든 기능성 사각팬티를 살 것인가? 타협하지 않고 순면 사각팬티를 입고 연신 잡고 끌어 내릴 것인가? 이도 저도 아니면 그냥 꽉 끼는 삼각팬티를 계속 입을 것인가?

결론은 이렇게 났다.

"이래도 될까" 싶게 큰 사이즈의 순면 삼각팬티를 사보자!

"나랑 같은 사이즈 입는데?"라고 놀리는 남편의 말을 가볍게 넘긴 채 두 사이즈 큰 팬티를 샀다. 결과는 놀랍게도 나한테 딱 맞았다는 것(이제는 팬티 사이즈에 대한 딜레마를 시작할 때인가).

팬티 문제는 일단락이 났다. 섬유의 조성이 눈에 밟히기 시작하자 내 옷장에 걸린 옷들이 못마땅해진다. 옷뿐이랴. 폴리에스테르 100%짜리 기능성 이불도 있다. 심지어 큰맘 먹고 비싸게 주고 산 것이다. 당장 내다 버리진 않으련다. 오래 입고 쓰되 세탁 횟수를 줄이는 것으로 일말의 죄책감과 미약한 뿌듯함을 공존시킨다.


태그:#모이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사랑과 그리움을 얘기하는 국어 교사로, 그림책 읽어주는 엄마로, 자연 가까이 살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