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가 들어가며 제일 두려운 것이 뭘까. 지난 2018년 89세의 일기로 작고한 시인 도널드 홀의 마지막 저작은 <죽는 것보다 늙는 게 걱정인>이다. 100세를 사는 것이 더 이상 기적이 아닌 시대, 죽는 것보다 늙어가는 것이 화두다. 그것도 멀쩡하게 정신줄 놓지 않고 늙어가는 것이 말이다.

실제 중장년층이 암보다 두려워하는 것이 바로 '치매'다. 하지만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 인구 중 치매 환자는 약 75만 명으로 10명 중 1명 꼴로 치매를 앓고 있다. 이 수치가 보여주는 건 치매는 누군가의 현실이며 어쩌면 우리의 미래일 수 있다는 것이다. 치매와의 '현명한 동행'을 모색하기 위해 EBS <다큐 프라임>이 치매 합창단 프로젝트를 가동했다. 

지난 2011년 뉴욕 대학 랭곤 정신병원 신경 정신과 메리 리틀먼은 치매를 앓고 있는 뉴욕 시민을 위한 합창단 <언포게터블스>를 창단했다. 정상적으로 말을 하기 힘든 환자들도 자신들이 익숙하게 불렀던 노래는 따라 부르는 모습에서 착안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도 매년 9월 20일 치매 극복의 날을 기념하여 보건복지부와 중앙 치매 센터 주최로 '치매 극복 실버 합창대회'가 열리고 있다. 

예전에 불렀던 동요나 대중가요 등 추억 속의 노래는 기억 속에 묻혀 있던 추억을 생생하게 소환해 낸다. 실제 2~30대 때 즐겨부르던 노래를 부르게 했을 때 기억력과 인지 능력이 향상되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메모리즈 합창단, 그 무모한 도전
 
 EBS 다큐프라임 -치매인식 개선 프로젝트 <메모리즈 합창단> 한 장면.

EBS 다큐프라임 -치매인식 개선 프로젝트 <메모리즈 합창단> 한 장면. ⓒ ebs

 
서울, 부산, 경기, 강원 등 전국 각지에서 모인 오디션 지원자 중 뽑힌 38명은 모두 치매이거나 치매 전 단계인 경도 인지 장애를 앓고 있다. 메모리즈 합창단의 목표는 2020년 2월 제주에서 개최되는 '제주 국제 합창제' 오프닝 무대에 서는 것이었다. 일주일에 한번 씩 모여, 독창곡 <과수원길>과 합창곡 <사랑해>, <닐리리 맘보>을 연습한다. 이한철씨의 지휘에 맞춰 노래를 부르고 율동까지 해야 하는 험난한 과정, 과연 38명의 합창단원들은 이 과정을 무사히 마칠 수 있을까?

예상대로 쉽지 않았다. 예전에 자주 불렀던 노래지만 기억을 잃은 합창단원들에겐 생소한 곡처럼 들렸다. 겨우 노래를 익혀도 가사를 외우는 것은 '난공불락'이었다. 

하지만 '노래'는 기적을 낳았다. 폭압적인 남편과 살며 웃음을 잃었고 남편이 죽은 후 우울증과 치매를 앓게 된 합창단원은 노래를 부르며 웃음을 되찾았다. 

젊어 기타 연주자로 활동했지만 30대 때 사고로 뇌병변을 앓게 된 합창단원은 그동안 자신이 무엇을 좋아하는지조차 망각하고 살아왔다. 그랬던 그가 아내와 함께 악기점에 들러 기타를 연주하며 잃어버린 시간을 찾았다.

상대적으로 젊은 50대의 나이에 치매를 앓게 된 합창단원은 <사랑해>라는 노래를 통해 기적을 경험한다. 오랫동안 발길을 끊었던 부엌에 들어가 자신을 간병하느라 고생하는 남편의 미역국을 끓인다. 국물 없이 미역과 고기만 넣고 볶아 마련한 남편의 생일상. 남편은 그 상만 봐도 눈물이 앞을 가린다. 비록 국물이 없어도 맛은 예전 아내가 끓여주었던 맛이라는 남편. 노래가 가족에 가져다 준 선물이다. 

물론 음악을 통해 웃음을 찾고, 젊은 날의 기억을 소환했지만 그 시간이 용이한 것만은 아니었다. 노래를 익히고 외우는 것만으로도 벅찬데, 거기에 율동까지 더해지니 난감한 상황이 발생한다. 거기에 누구보다 앞장 서 리더쉽을 발휘하던 반장님이 쓰러지며 합창단과의 여정에서 중도 하차하는 상황까지 발생한다.

하지만 무엇보다 안타까운 건 전세계를 급습한 코로나19다. 3개월이라는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 동안, 합창제 오프닝 무대에 서기 위해 최선을 다하지만 결국 대회 참가를 포기해야 하는 상황에 맞닥뜨린다. 제작진은 한 명 한 명 합창단원들의 모습을 촬영하고 이들 영상을 재편집해 메모리즈 합창단 공연을 완성한다.
 
 <ebs 다큐프라임 -치매인식 개선 프로젝트 <메모리즈 합창단>

ⓒ ebs

 

그새 기억이 흐려진 합창단원은 영상 속 자신의 모습도 헷갈린다. 하지만 무대를 준비해 온 과정은 합창단원은 물론 그 가족들에게도 다시 없을 아름다운 도전의 시간이었다. 메모리즈 합창단의 기록은 '치매'라는 한계에 대한 새로운 지평을 열기에 충분하다.

실제 약물로 치료할 수 있는 영역은 제한적이다. 하지만 지난 2018년 EBS 다큐 프라임 <알츠하이머 보고서>를 통해 보았듯이, 치매는 영양과 환경, 스트레스, 운동 등의 관리를 통해 예방과 진행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합창단원들은 입을 모아 말한다. 집에 있다가 이렇게 나와 사람들을 만나는 것만으로도 한결 기분이 좋다고. 치매가 삶의 끝이 아니라 삶의 과정이 되기 위해서는 <메모리즈 합창단>과 같은 시도가 좀 더 사회적으로 광범위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이정희 시민기자의 개인 블로그(http://5252-jh.tistory.com)와 <미디어스>에도 실립니다.
<EBS 다큐프라임 -치매인식 개선 프로젝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