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과 구름과 비

바람과 구름과 비 ⓒ tv조선

 
토요일과 일요일 밤 종편채널 TV조선에서 방영중인 드라마 <바람과 구름과 비>의 원작은 1977년 2월부터 <조선일보>에 연재됐던 동명의 대하 장편 소설이다. 500년을 이어왔지만 김씨 세도가에 휘둘리는 무능한 임금 철종, 훗날 고종의 아버지 대원군이 될 이하응은 자신의 야심을 숨기고 투전판의 개 노릇을 하며 살아가는 세상. 그렇게 중병을 앓고 있는 조선의 끝자락에서 소설가 이병주는 회한의 역사 속에서도 꿋꿋하게 피어나는 우리 민족의 저력을 펼쳐보이고자 하였다.
 
이병주의 원작 소설이 <야경꾼 일지>(2014) 방지영 작가의 손을 거쳐 20부작의 드라마로 새롭게 태어났다. 자신의 아들을 왕재로 삼아 새로운 나라를 세우려던 '야심가 최천중'은 장동 김문 세력의 모략으로 인해 강직한 관리였던 아버지를 잃은 '청년 최천중'으로 거듭난다. 
 
최천중의 아버지 최경은 강화현감이었지만 백성들이 자신의 행차에 머리를 조아리지 않고 생업에 종사할 수 있게 할 만큼 '백성의 삶'을 중시하는 인물이었다. 당연히 권문세가이던 장동 김문 일가에게는 거추장스러운 인물이다. 나라에 바칠 세금을 빼돌리려던 장동김문 일가의 김병운은 그것을 실은 조운선을 불태우고 그 죄를 최경에게 묻는다. 도망칠 수 있었지만 아들을 역적의 아들로 만들고 싶지 않아 거부한 최경은 결국 목숨을 잃고 만다. 겨우 살아난 최천중은 자신을 두고 요절할 운명이라 예언한 '산수도인'의 도움을 받아 스스로 끊어진 길을 다시 잇고자 '사주 명리학'의 통달한다. 
 
최천중을 감싼 오명, 그러나

최천중은 거처로 정한 배오개의 주막에서 공부한 사주 명리학을 발판 삼아 '도사'로 이름을 얻게 되지만, 역적의 아들이라는 '오명'으로 인해 결국 장동 김문에 잡혀간다. 이후 이하응과 이하전의 역모를 내통한 '죄인'의 처지가 된 최천중(박시후 분)은 자신을 사랑하는 옹주 봉련(고성희 분)의 도움으로 피신하지만 조선 팔도가 장동 김문의 세도 세상으로 변한 터라, 더 이상 살기 힘든 처지에 놓인다. 
 
하지만 최천중은 도망자가 되는 대신 장동 김문의 잔치에 '점쟁이'가 되어 등장한다. 무능했던, 거기에 병까지 얻은 철종의 후사에 모두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시점. 그는 사주 명리학을 무기로 모두가 예상치 못한 이하응의 아들 이재황에게 머리를 조아리며 왕재임을 '선언'한다. 죽을 자리에서 삶을 구걸하는 대신 자신을 죽이려 하는 자들의 덜미를 잡는 방식으로 자신의 길을 만든 것이다.
 
최천중의 이 선언은 서로 다른 왕재를 밀고 꿈꾸던 이들의 긴장을 고조시키고, 결국 그는 자신의 존재감을 드러내며 스스로 목숨을 구명할 기회를 얻게 된다. '왕의 권위는 후세를 원하는 사람으로 잘 이어가는 것으로 보장받을 수 있다'며 평생 김문의 눈치를 살피며 살아왔던 철종을 솔깃하게 만들었던 것처럼, 장동 김문의 손아귀에서 왕실의 권위를 빼내어 오고 싶어 하는 신정왕후에게 후사의 힌트를 쥐어준 것처럼, 다시 한 번 자신들의 손으로 꼭두각시 왕을 만들고자 했던 장동 김문 역시 최천중의 '예지력'에 관심을 가지도록 만든 것이다.
 
즉, 모두가 자신들이 왕재로 내세울 카드에 대해 확신을 못하는 상황에서 최천중은 그들이 원하는 바를 읽어줄 수 있다는 능력을 내보이며 스스로의 목숨을 구하는 것을 넘어, 그 '세력의 중심'에서 열쇠를 쥔 인물로 우뚝 선 것이다. 그의 예지력은 그가 공부한 '사주 명리학'을 넘어 권력의 판세와 그들의 욕망을 읽어낸 '혜안'의 산물이다. 
 
물론 그런 그의 도발적 점괘가 그를 위태롭게 만들기도 한다. 차기 왕좌의 자리가 자신의 것이라고 확신하던 이하전에게 단명할 것이라 예언하는 바람에 목숨이 위태로워지기도 한다. 하지만 외려 그런 이하전에게 훗날 고종이 되는 이재황을 방패막이로 삼으라고 회유하며 그가 자신을 책사로 여기도록 만든다.
 
그러나 '왕재' 이재황의 아버지 이하응은 그런 최천중을 개처럼 바닥을 기며 보존해온 자신의 가문을 위협하는 인물로 여겨 총을 겨누기도 한다. 하지만 최천중은 왕 앞에서 그에 대한 오해를 풀면서 이하응이 자신을 적으로 삼을 수 없도록 만든다. 화려한 언사로 권문세족의 홀려 재산을 털어내고 천하를 도모하고자 했던 원작의 야심가는 멸문지화의 운명에서 겨우 살아난 뒤 '명리학'을 무기로 권력에 눈이 먼 사람들의 '욕망'을 읽어내 스스로 권력의 중심에 서는 신선한 캐릭터로 거듭났다.
 
스스로 길을 만드는 영웅 
 
 바람과 구름과 비

바람과 구름과 비 ⓒ tv조선

 
<바람과 구름과 비>에서 최천중이란 인물이 매력적인 건 그저 '권력'을 자신의 세 치 혀로 좌지우지하기 때문만은 아니다. 강직한 강화 군수였던 아버지 아래서 백성을 위한 정치를 펼치기 위해 애를 썼던 청년은 그 스스로는 세상의 일에 끼어들고 싶지 않다고 했지만, 이하응의 말처럼 그의 운명은 그를 세상의 뒷전에 놔두지 않는다.
 
물에 빠져 죽을 뻔하다 다시 맞아 죽을 뻔하던 적도사를 거침없는 일갈로 구해내던 최천중은 갈 곳 없는 아이들을 보살펴주던 유접소가 장동 김문의 온실로 인해 내쫓기는 처지에 이르자 아이들을 구하기 위해 동분서주하다 피습을 당하기까지 한다.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이라면 몇 수 십장의 탄원서를 마다하지 않겠다던 그의 정성이 이하응을 움직이고 다시 이하전을 움직여 유접소를 구해내지만, 장동 김문의 권세는 그것을 무기력하게 한다. 결국 최천중은 자신이 머무는 주막에서 아이들을 거둔다. 그런 그의 명성은 저잣거리에 퍼지고, 전주에서 관리의 횡포에 당한 백성들은 관이 아닌 그를 찾아 억울함을 호소한다. 그리고 그는 그들의 억울함을 풀어주기 위해 거침없이 이하전을 찾는다.
 
이하전이 억울함을 호소하기 위해 온 백성들을 장동 김문을 위한 공격의 빌미로 삼으려 하자 최천중은 '그렇게 백성들의 어려움을 살피지 않는 왕재가 장동 김문과 다를 것이 무엇이냐'고 분노한다. 이 장면에 <바람과 구름과 비>가 그려내고자 하는 영웅의 '진심'이 고스란히 담겨있다.
 
원작에서 최천중은 천하를 도모하고자 삼전도장을 만들지만, 드라마는 그 천하에 대한 야심을 청년 최천중의 강직함과 올곧음을 중심으로 '영웅 서사'로 변화시킨다. 곪을 대로 곪은 나라, 그 속에서 끊어진 자신과 가문의 길을 '명리학'이라는 역설적 무기를 이용해 새로 만들어가는 최천중은 자신의 권력이 아닌 '백성의 삶'에 주목하면서 조금씩 저잣거리의 영웅으로 거듭나고 있는 중이다.
 
최천중이 품을 새 세상은 어떤 모습일까? 드라마는 10권의 소설을 21부작이라는 짧은 서사 속에 풀어내기 위해 매회 군더더기 없는 박진감 넘치는 전개로 관심을 끌고 있다.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이정희 시민기자의 개인 블로그(http://5252-jh.tistory.com)와 <미디어스>에도 실립니다.
바람과 구름과 비
댓글1
이 기사의 좋은기사 원고료 20,000
응원글보기 원고료로 응원하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