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북한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주재한 가운데 당 중앙군사위원회 제7기 제4차 확대회의를 열었다고 북한매체들이 24일 보도했다. 사진은 회의를 주재하며 발언하고 있는 김정은 국무위원장. 2020.5.24
 북한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주재한 가운데 당 중앙군사위원회 제7기 제4차 확대회의를 열었다고 북한매체들이 24일 보도했다. 사진은 회의를 주재하며 발언하고 있는 김정은 국무위원장. 2020.5.24
ⓒ 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20여 일 만에 다시 모습을 드러낸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검은 펜을 들고 문서에 서명을 했다. 고개를 내밀고 김 위원장의 서명을 바라보는 인사가 있다. 주위 사람보다 한 걸음 김 위원장에 다가선 모습이다.

북한에서 최고 권력자와의 물리적·신체적 거리는 곧 그의 권력을 나타내기도 한다. 승진인사에 이름을 올렸지만, 다른 네 명 보다 한 발 가까이 김 위원장 곁에 설 수 있었던 인물, 박정천이다.

북한 관영매체 <조선중앙통신> 등은 24일 김 위원장이 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제7기 제4차 확대회의를 열었다고 보도했다. 눈에 띄는 건 인사다. 박정천 군 총참모장이 군 차수(원수와 대장 사이 계급)가 됐다. 총정치국·총참모부·인민무력성 등 현직 군 수뇌부 중 유일한 군 차수 승진이다. 차수는 한국군에는 없는 대장 위 계급에 해당하는 자리다.

이날, 차수로 전격 승진하며 김 위원장의 근거리에 있을 수 있었던 박정천은 어떤 인물일까.

"김정은 눈에 띄었고, 김정은이 발탁한 인물"

박정천 차수는 김정은 위원장이 군 관련 인사를 할 때마다 자주 등장했다. 고위급 군 간부 출신의 탈북민들은 김 위원장 전에는 특별히 알려진 적 없었던 인사로 기억한다.

2016년 탈북한 A씨는 "군에서 특별히 어떤 역할을 했다거나 이름이 오르내린 적 없었던 사람"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북한에서는 김정은의 현지시찰에 동행하는 게 바로 그 사람의 권력을 나타낸다, 박정천은 2016년 전까지 현지시찰에서 모습을 찾아볼 수 없었다"라고 부연했다.

박정천 차수는 2년여 사이에 승진을 거듭했지만, 그보다 앞선 시기에는 진급과 강등을 반복했다. 김정은 정권 초기 중장(별 2개) 계급장을 달고 등장한 후 2013년 4월 상장(별 3개)으로 진급했다. 이후 중장과 상장, 소장 등으로 계급이 오르락내리락하다 한때 영관급인 대좌(우리의 대령)까지 떨어진 적도 있다.

그러다 2016년 3월 '인민군 최고사령부 화력지휘국장'으로 호명돼 중장에 올랐지만, 같은 해 다시 소장으로 계급이 낮아졌다. 동시에 포병국의 국장에서도 강등됐다.

2016년 북한 관영매체 <조선중앙통신>은 김정은의 서해 마합도 방어대 시찰 소식을 전하며 동행자 중 하나로 박정천을 '포병국장인 육군 소장'으로 소개했다. 김 위원장이 군 지휘부를 좌지우지하며 지휘능력을 과시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왔던 시기다.

그가 다시 진급을 한 건 일 년 여 후다. 2017년 4월 11일. 최고인민회의 제13기 5차 회의 회의장에서 박정천 차수는 상장(별 3개) 계급장을 달고 있는 모습이 포착됐다. 김 위원장의 '군 길들이기 인사'를 통과한 걸까. 이후 박정천 차수는 승진을 거듭했다.

그는 2019년에 여러 번 승진했다. 박정천 차수는 인민군 상장에서 대장으로, 인민군 포병국장 자리에 있다가 북한군 서열 2위인 총참모장 자리에 올랐다. 올해 4월에 열린 노동당 정치국 회의에서는 정치국 위원까지 됐다. 정치국 위원은 북한의 핵심인 '당'의 중대한 결정을 하는 자리다. 박정천 차수는 군과 당의 주요 권력을 모두 차지한 셈이다.

북한에서 흔치 않은 포병 출신 총참모장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주재로 열린 노동당 중앙위원회 정치국회의에서 박정천 군 총참모장이 정치국 위원으로 승진했다. 사진은 12일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에 실린 박정천 군 총참모장.
▲ 박정천 인민군 총참모장, "정치국 위원" 승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주재로 열린 노동당 중앙위원회 정치국회의에서 박정천 군 총참모장이 정치국 위원으로 승진했다. 사진은 12일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에 실린 박정천 군 총참모장.
ⓒ 평양 노동신문=뉴스1

관련사진보기

사실 이는 박 차수가 총참모장에 올랐을 때부터 어느 정도 예고됐던 부분이기도 하다. 북한에서 포병 출신이 총참모장에 오른 경우는 흔하지 않다. 과거 북한의 총참모장에는 대부분 군단장이나 총참모부 작전국장 등 정통 야전군 출신들이 임명됐었다. 그런데 박정천 차수는 정통 포병 출신으로 남한의 합참의장에 해당하는 총참모장을 차지했다. 여기에는 김일성군사종합대학 특설반에서 포병을 전공한 김 위원장의 '포병 중시' 방침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북한 고위급 군 관계자 출신인 이탈주민 B씨는 "포병을 중시한 건 1990년대 김정일 때다. 김정일이 포병사령부를 만들었다"라면서도 "하지만 박정천은 포병 사령관이나 주요 직책에 이름을 올린 적이 없다, 알려지지 않은 사람인 셈인데 이럴 경우 북한에서 전문가·교수로 활동했다고 보면 된다"라고 짚었다. 그러면서 "김정은의 눈에 띄었고 김정은이 발탁한 인물"이라고 덧붙였다.

최용환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안보전략연구실장은 "확실히 박정천은 김정은 때 고속승진을 한 인사"라면서 "총참모장이 차수가 된 건 군 서열하고 계급이 안 맞는 부분이 있다, 총정치국장과 서열은 같지만 박정천이 차수에 올랐으니 계급은 높아진 셈"이라고 짚었다.

차수에 오른 박정천은 앞으로 어떤 역할을 하게 될까. 이번 인사를 두고 김 위원장이 새로운 전략무기뿐 아니라 기존 포병전력의 개발에 매진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준다는 분석이 있다. 김 위원장이 재래식 무기를 중시한다는 해석도 있다.

구갑우 북한대학원대 교수는 "포병의 지휘가 상승됐다, 북한은 초대형방사포를 시험하며 재래식 무기에 중요성을 두고 있다"라면서 "당장 핵 개발을 더 한다기보다 재래식 무기의 성능을 꾸준히 개선하려는 것 같다"라고 짚었다.

태그:#북한, #김정은, #박정천, #북한 군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