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조중훈 전 한진그룹 회장
 조중훈 전 한진그룹 회장
ⓒ 한진그룹제공

관련사진보기

 
'제가'에 실패한 세종대왕의 업보

세종대왕은 훌륭한 성군이지만, '수신제가 치국평천하'의 '제가'는 완벽히 해내지 못했다. 그가 세상을 떠난 지 3년 만인 1453년부터 그의 집안은 유혈 참극으로 점철됐다(계유정난). 둘째아들 수양대군(훗날의 세조)이 왕실 장손인 단종을 무시하고 쿠데타를 일으킨 뒤 '경영권'과 '그룹 회장직'을 순차적으로 빼앗는 일이 벌어졌다.

불상사가 벌어진 것은 단종이 어렸기 때문만도 아니고, 수양대군이 야심찼기 때문만도 아니다. 군주가 어리고 숙부가 야심차다 하여 반드시 그런 일이 벌어지는 것은 아니다. 그런 일이 벌어질 만한 조건이 사전에 형성돼 있었던 것이다.

주상과 세자 이외의 왕족은 국가 경영에 참여하지 않는 게 원칙이었지만, 세종은 이 원칙을 잘 지키지 않았다. 그는 장남인 세자 이향(훗날의 문종)뿐 아니라 일반 왕자들까지도 국정에 참여시켰다.

일례로, 세종 26년 2월 16일자(양력 1444년 3월 15일자) <세종실록>에 따르면, 한자 발음사전인 <고음운회거요>를 훈민정음으로 번역하는 일과 관련해 세종은 "동궁(세자)과 수양대군 이유, 안평대군 이용에게 그 일을 관장하도록" 했다. 수양대군과 안평대군은 여타 분야의 국정에도 참여했다. 다른 왕자들도 각각 임무를 받았다. 왕족을 가급적 조정에 관여시키지 않는 관행을 깨고 세종이 일종의 족벌 경영을 했던 것이다.

세종은 자기가 세상을 떠난 뒤에 문약한 장남이 동생들의 보좌를 받도록 하고자 그렇게 했지만, 그런 조치는 수양대군과 안평대군이 자파 세력을 형성할 기회를 만들어줬다. 야심 많은 수양대군에게는 날개를 달아주는 일과 다름이 없었다. 아무리 야심차더라도 세력과 기회가 없으면 뜻을 펴기 힘들 수밖에 없다. 세종의 족벌 경영은 수양대군에게 세력과 기회를 제공했다.

이처럼 세종 같은 성군도 족벌 경영을 하다 보면, 문제의 싹을 키울 수 있다. 내 뜻대로 되지 않는 게 자녀들인데, 그런 자녀들을 경영에 대거 참여시키다 보면 통제 불능이 될 가능성도 없지 않은 것이다. 자녀들 간의 권력관계를 제대로 조정해주지 못한 상태에서 세상을 떠나게 되면, 경우에 따라서는 비극이나 참극이 발생할 가능성도 없지 않다.

세종뿐 아니라 여타 군주들도 다르지 않았다. 왕실과 비슷한 방식으로 운영된 양반 대지주나 귀족 가문들 역시 마찬가지였다. 현대판 귀족인 재벌 가문도 예외가 아니다. 재벌 기업도 족벌 경영을 하는 순간 계유정난의 가능성을 안고 갈 수밖에 없다.

예나 지금이나 전문적인 경영 능력을 갖춘 사람을 기용하지 않고 '오너 가족'들이 요직을 차지하게 되면 어느 조직이든 효율성이 떨어지고 가족 분규가 생길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한동안 '땅콩 회항'이니 '물컵 갑질'이니 하는 문제로 말썽을 일으켰던 한진그룹 오너 일가가 지금 국민들 눈앞에서 '형제의 난' 조짐을 보이는 원인 중 하나도 족벌 경영의 폐해와 무관치 않다.
 
생전의 조양호 전 한진그룹 회장이 지난 2016년 3월 한 행사장에서 조원태 당시 대한항공 부사장(왼쪽), 조현민 대한항공 전무와 함께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생전의 조양호 전 한진그룹 회장이 지난 2016년 3월 한 행사장에서 조원태 당시 대한항공 부사장(왼쪽), 조현민 대한항공 전무와 함께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 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4형제 분할경영과 '형제의 난'

한진그룹은 창업 회장인 조중훈 때부터 노골적으로 족벌 경영을 했다. 1994년 2월 24일자 <매일경제> 기사 '4형제 계열사 분할경영 가시화, 연공서열서 탈피, 인재 두루 기용'은 "한진그룹이 23일 단행한 정기 인사에서 가장 주목을 끄는 대목은 조중훈 회장이 예고해온 4형제에 의한 계열사 분할경영이 한층 가시화된 점"이라면서 한진의 족벌 경영에 대해 이렇게 설명했다.

"이번 인사에서 3남인 수호 씨를 한진해운 부사장에서 대표이사 사장으로 승진시켜 해운 및 한진중공업의 경영권을 장악할 수 있게 했다. 이에 따라 92년 대한항공 사장으로 승진한 장남 양호 씨와 지난해 한일건설 대표이사 사장에 오른 2남 남호 씨, 한진증권 전문인 4남 정호 씨가 그룹을 사실상 4분하는 체제로 굳어진 셈이다."

영화 <기생충>에서 기택(송강호 분)이 아들 기우(최우식 분)에게 했던 말 중에 "넌 다 계획이 있구나"라는 대사가 있다. 조중훈도 계획이 다 있었다. 네 아들을 중심으로 족벌 경영을 완성하는 것이었다. 그가 타계할 때인 2002년에는 '조양호, 그룹 총괄 및 대한항공', '조남호, 한진중공업', '조수호, 한진해운', '조정호, 메리츠증권 등 금융 분야'라는 분할경영 체제가 마무리돼 있었다.

하지만, 조중훈의 계획이 완벽하지 못했다는 점은 그의 사후에 드러났다. '형제의 난'으로 불릴 정도로 네 아들이 심각한 분쟁을 일으킨 것이다. 장남에 의해 아버지의 유언장이 조작됐다면서 2남과 4남이 소송을 제기하는 일이 벌어졌다. 창업 회장의 족벌 경영이 그의 사후에 무사히 연착륙하지 못하고 집안을 분쟁의 소용돌이 속으로 몰아넣었던 것이다.

한진그룹은 정부 특혜로 성장한 기업이다. 정부가 별도의 돈을 벌어서 한진을 지원한 게 아니다. 그 지원은 국민 세금에 의한 것이었다. 한진이 받은 그 같은 특혜를 보여주는 것 중 하나가 1987년 대한선주 인수다. 1987년 3월 21일자 <중앙일보> '한진, 대한선주 인수'에 따르면, 한진의 인수 조건은 이랬다.

"대한선주의 자산을 초과하는 부채에 대해 은행 측이 50%를 안고 나머지는 한진 측이 15년 거치 15년 분할상환으로 떠안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한선주의 은행 부채는 1987년 화폐가치로 6518억 원이었다. 인수 당시의 잔여 자산은 1천억 원이 안 됐다. 은행 부채에서 자산을 제외한 금액이 5500억 원을 넘었던 것이다. 이 부채의 50%는 은행이 떠안고, 나머지 50%는 30년 상환 조건으로 한진이 인수했다. 인수 기업이 100% 책임져야 할 채무의 절반을 은행이 떠안았던 것이다.

은행이 떠안았다는 것은 은행이 대한선주에 대한 채권을 포기했다는 의미다. 그런데 그 은행은 국민의 은행인 한국외환은행이었다. 1987년은 외환은행이 일반은행으로 전환되기 2년 전이었다. 당시의 한국외환은행법 제4조는 "외환은행의 자본금은 5000억원으로 하고 정부 또는 한국은행이 출자하되 그 출자의 시기와 방법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고 규정했다. 이처럼 국민 기업인 외환은행이 한진그룹의 대한선주 인수를 위해 채권을 스스로 포기했던 것이다. 국민 세금이 이런 식으로 한진에 흘러 들어갔던 것이다.

이런 사례는 한둘이 아니다. 이렇게 국민 세금이 잔뜩 들어갔으므로 형식상의 지분 비율을 떠나 한진그룹의 상당 부분은 국민의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도 마치 개인기업인 양 족벌 경영이 이루어졌던 것이다.

그렇지만 조중훈은 국민들에게 고마움을 품지 않았다. 미안함도 갖지 않았다. 이는 그가 국민의 기본의무인 납세의무를 방기하고 이를 기반으로 족벌 경영을 공고히 한 사실에서도 드러난다. 1999년 10월 4일자 <연합뉴스> '한진그룹 탈세 수법'에 이런 대목이 있다.

"한진그룹 조중훈 명예회장은 90년 이후 자녀들에게 회사 경영권을 물려주기 위해 회사 자금 1천 579억원을 유출시켜 계열사 주식 취득자금으로 이용했다. 조중훈 명예회장은 94년 10월 대한항공 주식 75만 주를 매각하고 이 대금을 5개 은행 지점에서 수표로 찾아 본인 명의의 종합금융사 어음관리계좌에 분산 관리하다가 95년 1월 조양호 등 6명의 수익증권 계좌에 입금시켰다. 이들은 이 돈을 유상증자 대금으로 사용했으며 이러한 수법으로 총 967억원의 소득세와 증여세를 내지 않았다."

족벌 경영을 목적으로, 국민 혈세가 들어간 회사 자금도 유출시키고 소득세·증여세도 탈루했다. 국민 세금으로 특혜를 받은 기업이 감사함을 품기는커녕 도리어 국민을 속이면서 주식회사를 사유화하고 족벌 경영을 벌였던 것이다. 이들의 족벌 경영이 얼마나 반사회적이며 반국민적인 일인지를 보여주는 일이다. 그런 과정을 거쳐 조중훈이 조양호 등에게 재산을 넘기고, 그 재산 일부가 조원태·조현아·조현민에게 넘어간 것이다.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 부인 이명희씨, 차녀 조현민씨, 장녀 조현아씨(왼쪽부터) 등이 지난 2018년 5월 각각 수사기관에 소환되고 있다.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 부인 이명희씨, 차녀 조현민씨, 장녀 조현아씨(왼쪽부터) 등이 지난 2018년 5월 각각 수사기관에 소환되고 있다.
ⓒ 유성호/이희훈

관련사진보기

 
조양호도 아버지 답습, 제2 형제의 난으로

조중훈의 후계자인 조양호도 아버지를 답습했다. 땅콩 회항과 물컵으로 유명한 조양호 자녀들도 그런 방침 덕분에 인상적인 족벌 경영의 발자취를 남길 수 있었다.

1974년 생인 첫째 자녀 조현아는 25세 때인 1999년 대한항공에 입사하고 2009년(35세) 한진 계열사인 칼호텔네트워크 대표이사가 됐다. 1976년 생인 둘째 자녀 조원태는 27세 때인 2003년 한진정보통신 차장이 되고 2008년(32세) 한진 등기이사가 되고 2014년(38세) 한진칼 대표이사가 됐다. 1983년 생인 셋째 자녀 조현민은 24세 때인 2007년 대한항공 과장이 되고 2014년(31세) 대한항공 상무, 2016년(33세) 한진관광 대표이사가 됐다.

조양호는 아버지의 족벌 경영이 결국 '형제의 난'으로 연결되는 것을 뼈저리게 경험했다. 그래서인지 3남매와 함께 족벌경영을 하면서도 조원태 중심의 후계체제를 마무리하려 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기 사후에 '형제의 난'이 벌어지지 않도록 하고자 했던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조양호는 후계제체가 덜 마무리된 작년 4월 8일 70세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그로 인한 후유증이 지금 국민의 눈 앞에서 가시화되고 있다. 후계 구도가 불안정한 틈을 타서 조양호 자녀들이 권력 투쟁을 벌이고 있는 것이다. 조양호를 이어 조원태가 그룹 회장이 됐지만, 첫째 자녀인 조현아가 조원태의 그룹 경영에 반기를 들고 있다.

2월 7일 현재 한진그룹 지주회사인 한진칼의 지분 중에서 조양호 부인 이명희는 5.31%, 조현아는 6.49%, 조원태는 6.52%, 조현민은 6.47%를 갖고 있다. 네 사람의 지분은 24.79%다. 한편, 그레이스홀딩스가 12.45%, 델타항공이 10.00%를 보유하고 있다.

이런 구도 하에서 이명희·조현민 및 델타항공 등의 지원을 받는 조원태 측과, 그레이스홀딩스와 반도건설 등의 지원을 받는 조현아 측이 대립하고 있다. 조원태 측은 33% 정도, 조현아 측은 32% 정도의 지지를 받는 박빙 양상이 전개되고 있다. 양측은 다음 달 열릴 한진칼 주주총회를 향해 분주히 움직이고 있다.

한때는 연이은 갑질로 세상의 이목을 끈 한진 일가가 이처럼 이제는 '형제의 난'의 조짐을 보이는 방법으로 또다시 사회적 주목을 끌고 있다. 국민 세금과 탈세 등에 힘입어 형성된 그룹 지배권을 배경으로 한진 일가가 국민들 앞에서 이전투구를 벌이고 있는 것이다.

그간 한국 재벌들이 족벌 경영을 하고도 무사할 수 있었던 것은 살벌한 경영 환경에 노출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정경유착으로 권력의 보호를 받았기에 오너 일가의 무능함이 가려질 수 있었다. 하지만 정경유착이 점점 더 어려워질 미래의 경영환경에서 살아남으려면, 족벌 경영에서 하루빨리 벗어나지 않으면 안 된다. 족벌 경영을 해서는 안 된다는 것은 세종대왕의 사례로도 이미 충분히 강조됐다. 그것은 세종 같은 성군이 해도 말썽이 생기는 일이다. 

한국 재벌들이 족벌 경영을 탈피해야 하는 것은, 그들이 관리하는 것이 그들의 전유물이 아니기 때문이기도 하다. 수많은 소액주주들의 돈도 거기 들어가 있고, 대기업 지원 형식으로 들어간 국민의 세금도 그 안에 들어가 있다. 남의 돈으로 경영하면서 마치 자기 것인 양 족벌 체제를 유지하는 것은 사회 전체에 죄를 짓는 것이다. 그런데도 한진 일가는 아랑곳하지 않고 오늘도 형제의 난에 여념이 없다.

태그:#재벌 개혁, #한진그룹, #조중훈, #조양호, #족벌 경영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kimjongsung.com.일제청산연구소 연구위원,제15회 임종국상.유튜브 시사와역사 채널.저서:대논쟁 한국사,반일종족주의 무엇이 문제인가,조선상고사,나는 세종이다,역사추리 조선사,당쟁의 한국사,왜 미국은 북한을 이기지못하나,발해고(4권본),패권쟁탈의 한국사,한국 중국 일본 그들의 교과서가 가르치지 않는 역사,조선노비들,왕의여자 등.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