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경빈이가 우리에게 알려주고 싶은 것이 있어서 와줬다."
"아이들의 죽음을 헛되게 해서는 안된다."


컴퓨터 너머로 예은 아빠 유경근씨와 경빈 엄마 전인숙씨가 말했다. 지난 4월, 화상토론을 한 지 7개월 만에 다시 마주한 세월호 가족들과 재외동포들은 3시간 30여분 동안 이야기 꽃을 피웠다.

지난 화상 토론에서는 동수아빠 정성욱님, 박주민 의원과 이야기를 나눴는데, 이번 '세월호의 시간' 북콘서트에서는 예은 아빠 유경근, 경빈 엄마 전인숙, 시연 엄마 윤경희씨와 미류작가가 함께 했다.

10일, 세월호 참사 이후 세월호 가족들과 연대 활동을 이어온 풀뿌리 네트워크 4.16해외연대 6개국 12개 도시 활동가들은 지역 활동 에피소드와 소감, 책 낭독, 4.16재단 프로젝트, 특별수사단에 대한 기대와 우려 등 여러 주제에 걸친 질문과 답변을 화상 연결로 주고받았다.
 
컴퓨터너머 마주한 세월호참사 유가족들과 4.16해외연대 지역 활동가들
▲ 세월호의 시간을 말하다 컴퓨터너머 마주한 세월호참사 유가족들과 4.16해외연대 지역 활동가들
ⓒ 전희경

관련사진보기

세월호 참사 이후 검찰은 구조 과정의 문제를 제대로 수사하지 않았다. 최근, 헬기로 병원에 곧바로 이송했다면 살릴 수 있었을지도 모르는 임경빈군이 방치되어 결국 사망에 이른 사실이 참사 발생 5년 만에야 밝혀졌다.

사회적참사 특별조사위원회(사참위)의 중간 발표 때문인지 검찰은 11월 6일 세월호 참사 재수사를 위한 특별수사단을 설치하겠다고 발표했다. 성역 없는 진상규명은 유가족들과 국민들의 지속적인 요구였다. 특별수사단에 대한 기대와 우려가 교차한다.   

세월호 유가족 유경근씨는 "수사 시작을 환영한다"며 "무엇을 어디까지 수사하는가가 중요하다. 본질은 왜 세월호가 침몰했는지, 누가 어떤 지시를 하고 역할을 했는지, 왜 구조를 안 했는지를 밝히는 것이다. 이것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사참위와 특별수사단의 공조 체계와 가족들의 진상규명 과정 참여를 강조했다. 그는 "자의적 수사와 수사 종결을 두고 볼 수만은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참사 당일 무슨 일이 있었는지 실체적 진실을 밝히는 것", "국정원, 기무사 등 정보기관, 박근혜 청와대와 김기춘이 어떤 지시를 내렸으며, 숨기려 했던 것이 무엇인지를 밝히는 것" 등을 중요한 지점으로 짚었다. 그는 "검찰이 수사는 시작했으나 끝내는 것은 검찰 마음대로 할 수 없다"고 말했다.

경빈 엄마 전인숙씨는 "아이 영상을 보고, (참사 책임자들을) 살인죄로 (감옥에) 넣고 싶다는 생각을 했다"면서 "8명 검찰 인원으로 수사를 제대로 못한다. 검찰에만 맡겨서는 안된다"고 말했다.  
 
한국에서 오후 10시에 시작한 화상토론은 새벽 1시 넘어서까지 이어졌다
▲ 예은아빠 유경근, 경빈엄마 전인숙, 미류작가 한국에서 오후 10시에 시작한 화상토론은 새벽 1시 넘어서까지 이어졌다
ⓒ 전희경

관련사진보기

시카고 세사모의 김수영씨는 매일 아침 차에 달린 노란리본을 보며 "너희들의 죽음이 헛되지 않도록 할게"라고 다짐한다며, 가족들에게는 "견뎌주셔서 고맙다"는 감사인사를 전했다.

"세상을 알아버렸습니다. 함께 가고 싶은 세상이 생겼습니다. 그런 세상을 만들어가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할까요?"

필라델피아 세사모의 이현옥씨는 <그날이 우리의 창을 두드렸다>는 책 속의 구절을 언급하며, 4.16 이후 삶의 변화에 대해 이야기했다. 2017년 4.16해외연대의 서울포럼에서 "해외동포들이 무엇을 할까?"라고 묻는 질문에 예은 아빠는 "사는 곳에서 이웃의 생명과 안전을 위해 활동하십시오"라고 답했다.

이씨는 이 답을 떠올리며 함께 사는 세상을 위해 무엇인가를 해온 자신의 지난 5년을 곱씹었다. 또 김태형씨는 "혼자서 할 수 없는 일이다. 세상의 변화를 만난 적도 없는 사람들과 함께하면서 알게 된 것이 많다"며 "어렵지만 힘을 합치면 진실을 밝힐 수 있으리라는 희망을 가지고 있다"라고 말했다.

미류 작가는 "세상을 알아버렸다. 함께 가고 싶은 세상이 생겼다. 그런 세상을 만들어가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할까?"라고 되물으며 4.16해외연대 지역 활동가들의 경험을 정리했다.

일본 동경 세사모의 임효정씨는 세월호 다큐 <그날 바다> 일본 상영회에 550여 명 관객이 찾아왔으나 현재는 활동이 뜸해졌다고 설명했다. 그리고 '여전히 세월호냐'고 공격하는 분위기가 있다며, 일부 사람들이 그렇게 말하는 이유를 알고 싶다고 했다. 독일 스튜트가르트 세월호를 기억하는 사람들의 이연실씨는 독일 맘카페의 활동 경험, 박근혜 퇴진 집회 경험, 미 대사관 문서 비밀 해제 관련 경험을 나눴다.

애틀란타 세사모의 4.16재단 프로젝트인 국제재판 가능성에 대한 언급도 나왔다. 유엔이나 국제재판소에 세월호참사 책임자들을 진정 또는 제소할 수 있는지에 대해 변호사들에게 받은 자문 내용을 소개하기도 했다. '한국에 있는 피해자가 한국에 있는 정부 관계자를 상대로 소송을 걸어, 정부 관계자를 미국 또는 영국법정, 국제재판소 등에 세우기는 힘들다'라는 요지였다. 

▲ 국제피해자연대 단체와의 연대활동, ▲ 미국 비밀문서 해제 등을 청와대나 사참위에 요구, ▲ 피해자인권 관련 유엔 발언 추진 등에 대해서도 의견을 나눴다.  유경근씨는 재난 참사 가족들의 연대 활동, 4.16재단과 산업재해 희생자 김용균재단의 협력을 언급했다. 그러면서 유가족들이 연대하는 이유는 참사가 다시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고, 희생자들의 죽음을 헛되지 않게 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투쟁이 치유 과정이며 치유 과정은 진실을 만드는 과정"

일본 나고야의 이두희씨는 사참위 웹사이트와 이메일 교신, 트라우마 치유에 대해 언급했다. 미류 작가는 "내 경험을 아무에게도 이야기 못할 때 트라우마가 생긴다"며 "투쟁이 치유 과정이며 치유 과정은 진실을 만드는 과정"이라고 말했다.

노스캐롤라이나의 유정선씨, 남아공 케이프타운의 이은상씨, 태국의 박제욱씨는 삶에서 겪는 어려운 점, 동병상련의 경험을 말하며 끝까지 연대할 것을 다짐했다. 보스턴의 이금주씨와 시애틀의 지가슬씨가 유가족들과 진상규명 끝까지 함께할 것이라고 다짐하며, 화상 접속이나마 만나 힘을 얻게 되어 고맙다고 말했다. 그러자 전인숙씨는 "함께해서 버틸 수 있었다"고 화답했다.

미류 작가의 사회로 진행된 화상토론은 시연엄마 윤경희씨의 마무리 인사와 <진실은 침몰하지 않는다> 노래를 함께 부르는 것으로 마무리 되었다.

세월호 유가족과 4.16시민들이 함께 만들어온 시간을 기억하면서, 앞으로의 활동을 그려보는 '세월호의 시간' 행사는 오는 12월 말까지 여러 지역에서 계속 이어진다.
 
10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세월호가족과 세월호의 시간을 이야기하는 행사를 알리는 포스터
▲ 세월호의 시간  10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세월호가족과 세월호의 시간을 이야기하는 행사를 알리는 포스터
ⓒ 전희경

관련사진보기


태그:#세월호참사, #경빈엄마, #전인숙, #4.16해외연대, #유경근
댓글4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미국 조지아주 애틀란타에서 이코노미스트, 통계학자로 살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